목차
1. Title 세균의 동정실험(IMVIC test)
2. Purpose
3. Introduction
4. Result
5. Discussion
6. Reference
2. Purpose
3. Introduction
4. Result
5. Discussion
6. Reference
본문내용
기 때문에 양성반응이 나왔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배지가 전체적으로 붉은 것은 아니고 윗부분만 붉게 나왔는데, 이는 배지가 반고체 상태이므로 시약이 스며들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만약 배지가 액체 상태에 가까웠다면 붉게 변한 정도가 더 많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Escherichia coli 이외의 다른 균들은 tryptophan을 분해하는 효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음성반응이 나왔다고 추측된다.
Methyl red 실험에서는 Escherichia coli가 배지 내의 포도당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기 때문에 양성반응의 결과를 가져왔다고 생각된다. Escherichia coli 이외의 다른 균은 당을 분해해서 산을 생성하지 않거나, pH를 낮추지 않는 다른 물질을 생성했기 때문에 음성반응의 결과를 가져왔다고 추측한다.
Voges-Proskauer 실험에서는 Escherichia coli가 포도당을 발효해서 유기산을 생성했기 때문에 MR-VP배지가 핑크색에 가깝게 변했다. 다른 균은 유기산을 생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하지 않았다고 추측된다.
Citrate 실험은 배지 자체가 녹색(중성)이었는데 이는 BTB로 인한 결과이다. 배지가 푸르게 변한 Enterobacter aerogenes와 Salmonella typhi는 Citrate를 사용하여 암모니움 염에서 암모니아를 생산하여 배지를 알칼리화하였기때문에 BTB가 들어있는 배지도 푸르게 변한 양성반응의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Escherichia coli는 Citrate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중성상태인 녹색을 계속하는 음성반응을 나타냈다.
이번 실험에서 주의해야할 사항은 백금이, 백금선은 사용전후에 화염멸균을 해야 한다는 점이고, 사면배지에 도말할 때에 밑에서 위쪽으로 지그재그로 도말해야 한다. 또 실험에 사용하는 사면배지를 만들 때에는 시험관의 끝부분까지 배지로 만드는 것보다는 시험관의 2/4~3/4 정도에 배지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번 실험에서는 시약이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시약을 섞어 사용하는 경우를 주의하도록 하고, Voges-Proskauer실험은 시약을 사용한 뒤 반응이 바로 오지 않으므로 10~15분 정도 기다리도록 한다.
6. Reference
* 일반 미생물학, 김영민 외 7인, 라이프 사이언스, 2004, 164~167 p
* 식품 미생물학 탐구당
* 식품미생물학 실험서, 허윤행, 지구 문화사, 1997.3.20
Methyl red 실험에서는 Escherichia coli가 배지 내의 포도당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기 때문에 양성반응의 결과를 가져왔다고 생각된다. Escherichia coli 이외의 다른 균은 당을 분해해서 산을 생성하지 않거나, pH를 낮추지 않는 다른 물질을 생성했기 때문에 음성반응의 결과를 가져왔다고 추측한다.
Voges-Proskauer 실험에서는 Escherichia coli가 포도당을 발효해서 유기산을 생성했기 때문에 MR-VP배지가 핑크색에 가깝게 변했다. 다른 균은 유기산을 생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하지 않았다고 추측된다.
Citrate 실험은 배지 자체가 녹색(중성)이었는데 이는 BTB로 인한 결과이다. 배지가 푸르게 변한 Enterobacter aerogenes와 Salmonella typhi는 Citrate를 사용하여 암모니움 염에서 암모니아를 생산하여 배지를 알칼리화하였기때문에 BTB가 들어있는 배지도 푸르게 변한 양성반응의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Escherichia coli는 Citrate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중성상태인 녹색을 계속하는 음성반응을 나타냈다.
이번 실험에서 주의해야할 사항은 백금이, 백금선은 사용전후에 화염멸균을 해야 한다는 점이고, 사면배지에 도말할 때에 밑에서 위쪽으로 지그재그로 도말해야 한다. 또 실험에 사용하는 사면배지를 만들 때에는 시험관의 끝부분까지 배지로 만드는 것보다는 시험관의 2/4~3/4 정도에 배지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번 실험에서는 시약이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시약을 섞어 사용하는 경우를 주의하도록 하고, Voges-Proskauer실험은 시약을 사용한 뒤 반응이 바로 오지 않으므로 10~15분 정도 기다리도록 한다.
6. Reference
* 일반 미생물학, 김영민 외 7인, 라이프 사이언스, 2004, 164~167 p
* 식품 미생물학 탐구당
* 식품미생물학 실험서, 허윤행, 지구 문화사, 1997.3.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