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은어, 속어의 유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은어, 속어의 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사이버 언어의 특징

3. 채팅어의 정의와 특징

4. 채팅어를 통해 살펴보는 인터넷 은어ㆍ속어의 분류
(1) 도치형
(2) 생략형
(3) 변독형
(4) 수수께끼형, 은유형
(5) 차용어형
(6) 음운변화형
(7) 전의형
(8) 의성, 의태형
(9) 축약형
(10) 오타형

5. 분류의 결과와 한계점

6. 마무리

※ 참고 문헌

본문내용

들만이 아는 암호와 같이 사용되는 말이 있는가 하면, 신선한 표현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말인데 특정 커뮤니티 내에서만 통용되어 다른 집단의 사람들은 그 뜻을 잘 모르는 어휘도 늘고 있다. 사이버 공간 내의 은어와 속어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으며 동시에 생명력이 급격히 짧아 일순간 유행하고 마는 경우가 많다. 채팅어는 이러한 은어와 속어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데, 신조어가 분명한 뜻을 지니고 넓은 계층에서 사용되는 것과 차별화 된다.
4. 채팅어를 통해 살펴보는 인터넷 은어ㆍ속어의 분류
본고에서는 채팅어를 중심으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은어와 속어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기본 유형은 『국어 어휘론 개설』(김광해, 2004)를 참고하였는데, 분류기준이 모호한 \'수수께끼형\'과 \'은유형\'은 함께 묶었다. 어휘는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의 \'채팅어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400여개의 단어를 중심으로 하였다. 이 \'채팅어 사전\'은 네티즌이 직접 참여하여 기술하는 것으로 단어별로 얼마나 많은 사람의 공감을 얻었는지 점수화 되어 있다. 이들 어휘 이외에도 인터넷 게시글에서 사용되는 은어나 속어를 몇 가지 첨부하여 분류하였다.
(1) 도치형
흐뭇하다 > 므훗하다 > 므흣하다
가슴 > 슴가
설마 > 마설
가짜 > 짜가
비슷비슷 > 슷비슷비
도치형은 원래의 말을 뒤집어 읽는 것이다. \'므흣하다\'는 \'흐뭇하다\'의 \'흐뭇\'을 뒤집어 읽다가 모음이 아예 변화하였다. 의미에도 약간 차이를 보이는데 \'흐뭇하다\'보다 좀더 성(性)적인 어감을 나타낸다.
(2) 생략형
감사합니다 > 감사 > ㄱㅅ/ ㄳ
죄송합니다 > 죄송 > ㅈㅅ
출석체크 > 출첵 > ㅊㅊ
응 > ㅇ/ㅇㅇ
강제퇴출 > 강퇴 > ㄱㅌ
고고고(go go go) > ㄱㄱㄱ
아깝다 > 아깝 > 깝 > ㄲ ㄲ / ㄲ
장애자 > 애자
급하게 > 급
격렬하게 > 격하게
생략형은 원말의 음절 일부를 생략한 것이다. 자판으로 글자를 입력하는 속도가 말하는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에 빨리 타자를 치기 위해 자음만 입력하는 경우가 많았다. 모음을 생략하는 것은 영어권에서도 많이 나타나는데 약자의 활용이 빈번한 영어에 비해 우리말은 자음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더 생소하게 느껴져 언어 파괴라는 비판도 받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인터넷 공간에서는 이런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단어가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며, 사이버 공간을 벗어나 실제 생활에서도 사용된다. 이를테면, 감사하다는 뜻의 \'ㄳ\' 을 \'그스\'라고 읽거나 \'기역시옷\'으로 말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급하게\'의 생략형인 \'급\'은 다양한 말과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형성하고 있다.
(3) 변독형
오케이(okey) > 오키 > 오키도키 > ㅇㅋㄷㅋ
야동 > 얏홍
제대로 > 지대, 지댕
왕창 > 와방
쪽주다 > 꼽주다
혹하다 > 홍간다
님아 > 님하 > 림하
형 > 켓
변독형은 원래의 말을 다른 방식으로 읽는 것이다. 영어의 \'오케이\'에서 변형된 \'오키도키\'는 \'도키\'가 어디에서 나온 말이며 왜 붙었는지 분석하기가 쉽지 않다. \'야동\'은 본래 \'야한 동영상\'의 줄임말인데, 은비성이 깨지면서 발음이 변화하였다. \'쪽주다\' 의 \'쪽\'은 \'창피함을 느끼다\'라는 뜻으로 \'쪽주다\'는 \'상대에게 창피를 당하게 하다\'라는 뜻으로 쓰였으나 다르게 읽으면서 \'꼽주다\'라는 말이 생겼다. 주로 새로운 어감을 주기 위해, 단어 자체를 강하게 발음하거나 독특한 느낌을 주기 위해 다른 방법으로 읽는 듯 하다.
(4) 수수께끼형, 은유형
허튼짓을 하다 > 삽질, 뻘짓
낚시질, 낚이다
실수로 날린 미사일 > 밥샷
남의 아이디로 채팅하다 > 뻐꾹팅
빠른 레벨 업 > 광랩
특징없이 쓸모없는 캐릭터 > 똥캐
방명록에 흔적을 남기다 > 발도장
미남 > 걸조
싫음, 거부감 > 갈비
탁항 > 타캉
잘 못하는 사람 > 발컨
수수께끼형과 은유형은 상당히 재미있으면서도 의미를 곧바로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삽질\'은 열심히 땅을 팠지만 그것이 자신의 무덤이었다는 것에서 유래하는데, 해 봤자 아무런 쓸모도 없는 허튼짓이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낚시/낚시질\'은 일상 언어에서는 그 뜻을 찾기 힘든 독특한 단어인데, 제목을 그럴듯하게 써서 조회수를 높이려고 하지만 실상 내용은 별거 아닌 경우를 말한다. \'낚이다\'는 여기에서 나온 말로 \'속다\'의 가벼운 뜻으로 쓰인다. 또 \'밥샷\'은 외국의 유명인 \'밥 샘\'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게임 중 실수로 미사일을 잘 못 쏘았을 때, 그의 실수를 빗대어서 말한 것이라고 한다. 뻐꾸기가 남의 둥지에 알을 낳는 습성에서 나온 \'뻐꾹팅\'은 자신의 아이디가 아닌 남의 아이디로 로그인을 하여 채팅을 하는 것을 말한다. \'광랩\'은 빠른 속도로 레벨을 올리는 것을 빛의 속도에 빗대어 \'광속도로 하는 레벨 업\'을 줄인 것이다. 잘생긴 사람을 뜻하는 \'걸조\'는 \'걸어다니는 조각상\'에서 유래하였으며 거부감을 표현하는 \'갈비\'는 \'갈수록 비 호감\'이라는 말을 축약한 것이다. \'타캉\'은 채팅에서 엉뚱한 말을 하거나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 등 채팅방의 물을 흐리는 사람을 말한다. 얼핏 들으면 그 뜻을 짐작하기 어려운데 한자로 \'물흐릴 탁\'자에 물이 담긴 곳, 즉 어항을 뜻하는 \'항\'을 써서 \'탁항\'이라고 하다가 발음나는대로 사용하는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발컨\'은 게임에서 나온 말로 \'잘 못하는 초보자\'를 말하는데 \'발로 컨트롤하다\'의 줄임말이다.
(5) 차용어형
바보, 얼간이 > 칭총
삐까리하다 > 까리하다
간지나다
차용어형은 본래 외국어의 은어를 차용한 것이나 외국어에서 온 말을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동양계 미국인을 비하하던 \'칭총\'은 중국인을 \'칭크, 칭키\'로 낮춰 부르는 데에서 나온 말인데 이 말이 그대로 은어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차용어로 볼 수 있다. \'까리하다\'는 \'삐까리하다\'에서 첫 음절이 생략된 것인데 \'삐까리\'는 일본어의 \'히카리\'에서 나온 것으로 \'빛나다\'라는 뜻이다. \'까리하다\'는 대체로 \'잘생기고 멋져 보인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간지나다\'의 \'간지\'도 감정을 뜻하는 일본어로 \'촌스러운듯 하면서도 멋지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6) 음운변화형
아깝 > 아까비
추천 >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0.11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5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