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목차
1장. 건물 화재의 성상
1.1 절. 연소의 기초이론
1.2 절. 건물 내 화재의 확대연소
2장. 건축 방재 계획
2.1 절. 건축 방재의 개념
2.2 절. 건축방재계획의 기본 방향
2.3 절. 방재계획의 시스템 구성- 화재양상과 방재 요소
2.4 절. Fool proof와 Fail safe
3장. 화재 발생 방지 계획
3.1 절. 기본 방안
3.2 절. 화재 발생 방지 계획
3.3 절. 화재 발견 및 경보설비
4장. 연소확대 방지 계획
4.1절. 기본 방침
4.2절. 방화구획의 계획
5장. 연기 제어 계획
5.1절. 연기제어의 목적
5.2절. 연기제어의 기본 원리
5.3절. 연기 제어의 계획
5.4절. 배연설비
6장 피난계획
6.1절 피난계획의 접근 방법
6.2절. 피난계획의 기본 원칙
6.3절. 피난 시설의 계획
6.4절. 피난시설의 설계
7장 소방지원 계획
7.1절. 소방활동의 기본 방침
7.2절. 소화 * 구조와 건축 계획
8장 소화설비
8.1절 소화기
8.2절 자동식 소화기
8.3절 옥내,옥외 소화전
8.4절 스프링 클러 설비
1.1 절. 연소의 기초이론
1.2 절. 건물 내 화재의 확대연소
2장. 건축 방재 계획
2.1 절. 건축 방재의 개념
2.2 절. 건축방재계획의 기본 방향
2.3 절. 방재계획의 시스템 구성- 화재양상과 방재 요소
2.4 절. Fool proof와 Fail safe
3장. 화재 발생 방지 계획
3.1 절. 기본 방안
3.2 절. 화재 발생 방지 계획
3.3 절. 화재 발견 및 경보설비
4장. 연소확대 방지 계획
4.1절. 기본 방침
4.2절. 방화구획의 계획
5장. 연기 제어 계획
5.1절. 연기제어의 목적
5.2절. 연기제어의 기본 원리
5.3절. 연기 제어의 계획
5.4절. 배연설비
6장 피난계획
6.1절 피난계획의 접근 방법
6.2절. 피난계획의 기본 원칙
6.3절. 피난 시설의 계획
6.4절. 피난시설의 설계
7장 소방지원 계획
7.1절. 소방활동의 기본 방침
7.2절. 소화 * 구조와 건축 계획
8장 소화설비
8.1절 소화기
8.2절 자동식 소화기
8.3절 옥내,옥외 소화전
8.4절 스프링 클러 설비
본문내용
1장. 건물 화재의 성상
1.1 절. 연소의 기초이론
물은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가연성 물질과 가스의 급속한 산화 반응이다. 따라서 가연성 물질(연료)과 산소 및 열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없거나 이 세가지 모두 결합되지 않는 한 불은 발생하지 않는다.다음은 불의 기본 요소와 불을 진압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표 1.1 불의 기본요소 및 진화 방법
산 소 이산화탄소 소화기
분말 소화기
열 소화전
자동 스프링 클러
물 소화기
연 료 가연성 물질의 사용억제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특히 소방호스나 스프링 클러와 같이 사용
연쇄반응 산소가 없어지거나 열이 소실되거나 연료가 소모되거나 제거 될 때까지 원자나 분자는 주위의 산소와 계속 분해되고 재결합됨
1.2 절. 건물 내 화재의 확대연소
실내에서 발생한 화재가 건물내의 각 부분으로 연소 확대 하여 가는 경로는 대게 다음의 세가지 경우로 생각 할 수 있다.
첫째, 화재실의 외부창에서 분출된 화염이 상층의 창을 파괴하여 그 상층의 내부로 연소하는 경우.
둘째, 화재실의 출입구 등 벽의 약점부를 통하여 인접된 방 또는 복도로 연소되어
계단실 등의 수직 샤프트로 상승하여 상층으로 연소하는 경우.
셋째, 공기조절 장치의 덕트류를 통해서 각층으로 연소하는 경우이다.화재실의 온도가 상승하면 창 등이 파손되며 화염이 분출하여 상층연소의 원인이 된다. 화재실의 창에서 분출하는 화염의 형상은 화염의 규모, 개구부의 형태, 상부벽의 상태 등에 따라서 변한다. 창의 상부에 연직벽면이 있는 경우에는 화염은 그 연직벽면에 끌어당겨지는 성질이 있으며 그 정도는 창의 폭과 높이의 비율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그림 1.1 밀폐된 공간에서의 불의 이동실험
2장. 건축 방재 계획
2.1 절. 건축 방재의 개념
방재를 고려할 때 화재 발생방지 – 조기 발견- 초기소화- 방화&피난 – 확대 방지의 순서로 추구하고 있으며 법규에 기초를 둔 방화행정도 이 선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화재는 대부분 인간의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불조심과 초기 소화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것은 인간의 방화의식에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구미의 법규를 살펴보면 확률은 적으나 화재는 반드시 발생하며, 다소의 손해는 부득이하나 건물의 전소와 다수의 인명피해는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적, 물적 손해를 경감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은 화재를 건물의 일부분에 가두어 봉쇄하는 것, 즉 건물의 구획화(comportmentation)이다. 또한 이것이 다수인의 피난을 확보하는 유일한 수단이라는 결론을 수많은 건물화재의 경험을 통해서 얻게 되었따. 즉, 화재의 확대를 방지하여 새로운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구획화의 실현을 위해서는 구획의 벽, 바닥, 문 등의 내화성 확보가 필연적이다.
2.2 절. 건축방재계획의 기본 방향
법규는 안전을 위한 최저기준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초고층 건축과 같이 특히 대규모적인 것에 대하여는 단지 법규의 규정만으로는 충분히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실제 이러한 필요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까지의 방재에 대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방재계획의 기본 방향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절. 연소의 기초이론
물은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가연성 물질과 가스의 급속한 산화 반응이다. 따라서 가연성 물질(연료)과 산소 및 열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없거나 이 세가지 모두 결합되지 않는 한 불은 발생하지 않는다.다음은 불의 기본 요소와 불을 진압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표 1.1 불의 기본요소 및 진화 방법
산 소 이산화탄소 소화기
분말 소화기
열 소화전
자동 스프링 클러
물 소화기
연 료 가연성 물질의 사용억제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특히 소방호스나 스프링 클러와 같이 사용
연쇄반응 산소가 없어지거나 열이 소실되거나 연료가 소모되거나 제거 될 때까지 원자나 분자는 주위의 산소와 계속 분해되고 재결합됨
1.2 절. 건물 내 화재의 확대연소
실내에서 발생한 화재가 건물내의 각 부분으로 연소 확대 하여 가는 경로는 대게 다음의 세가지 경우로 생각 할 수 있다.
첫째, 화재실의 외부창에서 분출된 화염이 상층의 창을 파괴하여 그 상층의 내부로 연소하는 경우.
둘째, 화재실의 출입구 등 벽의 약점부를 통하여 인접된 방 또는 복도로 연소되어
계단실 등의 수직 샤프트로 상승하여 상층으로 연소하는 경우.
셋째, 공기조절 장치의 덕트류를 통해서 각층으로 연소하는 경우이다.화재실의 온도가 상승하면 창 등이 파손되며 화염이 분출하여 상층연소의 원인이 된다. 화재실의 창에서 분출하는 화염의 형상은 화염의 규모, 개구부의 형태, 상부벽의 상태 등에 따라서 변한다. 창의 상부에 연직벽면이 있는 경우에는 화염은 그 연직벽면에 끌어당겨지는 성질이 있으며 그 정도는 창의 폭과 높이의 비율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그림 1.1 밀폐된 공간에서의 불의 이동실험
2장. 건축 방재 계획
2.1 절. 건축 방재의 개념
방재를 고려할 때 화재 발생방지 – 조기 발견- 초기소화- 방화&피난 – 확대 방지의 순서로 추구하고 있으며 법규에 기초를 둔 방화행정도 이 선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화재는 대부분 인간의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불조심과 초기 소화는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것은 인간의 방화의식에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구미의 법규를 살펴보면 확률은 적으나 화재는 반드시 발생하며, 다소의 손해는 부득이하나 건물의 전소와 다수의 인명피해는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적, 물적 손해를 경감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은 화재를 건물의 일부분에 가두어 봉쇄하는 것, 즉 건물의 구획화(comportmentation)이다. 또한 이것이 다수인의 피난을 확보하는 유일한 수단이라는 결론을 수많은 건물화재의 경험을 통해서 얻게 되었따. 즉, 화재의 확대를 방지하여 새로운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구획화의 실현을 위해서는 구획의 벽, 바닥, 문 등의 내화성 확보가 필연적이다.
2.2 절. 건축방재계획의 기본 방향
법규는 안전을 위한 최저기준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초고층 건축과 같이 특히 대규모적인 것에 대하여는 단지 법규의 규정만으로는 충분히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실제 이러한 필요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까지의 방재에 대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방재계획의 기본 방향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천자료
- 전시연출
- [로봇]Rovot(로보트)에 관한 정의
- 에너지 절약 건축에 대한 조사
- 기계재료 텀프로젝트 자전거 3단기어
- 빗물이용 사례
- [해양사고][해양안전]해양사고(해상안전사고)의 원인과 해양사고(해상안전사고)의 현황, 해양...
- Ubiquitous 유비쿼터스 적용사업 사례 부작용과 역기능 - 나의견해
- 유체역학 필수요약정리
- 대기오염저감기술적용사례 (소각시설편)
- 영화 타워링의 줄거리 및 느낀점 감상문
- IT 융합기술과 유비쿼터스 적용사례
- [산업경쟁력][방송산업]산업경쟁력과 방송산업, 문화산업, 산업경쟁력과 출판산업, IT산업, ...
- [운송물류학과·물류학] 물류관리사 시험대비 국제물류론 핵심요약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