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전략, 장애별 학습전략과 지도원리 과제분석 등 자료 조사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습전략, 장애별 학습전략과 지도원리 과제분석 등 자료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학습전략이란
- 학습전략의 개념 및 분류
- 교수학습 전략의 호율화를 위한 전제조건
- 교수자 중심과 학습자 중심의 교수 절차 비교

2. 장애별 학습전략
- 중도,중복장애학생
- 정서장애 및 행동장애
- 지체부자유

3. 학습지도의 원리

4. 과제분석

5 교수학습 방법

6 교과지도

본문내용

연습해야 유지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해서, 적절한 기준에 도달한 후 도달하기까지 필요했던 학습회기의 50% 정도에 해당하는 만큼을 더 연습시키도록 권하고 있다.
▷ 분산연습을 통한 학습
기술의 유지를 돕는 또 한 가지 방법은 분산된 학습시간을 통한 연습이다. 예를 들어 한 기술을 계속 연속해서 열 번 연습시키는 집중학습(Massed practice)보다 하루 중 학교생활에 분산시켜 연습시키는 것이다. 한꺼번에 몰아서 연습하는 것보다, 서로 다른 시간에 나누어 연습하게 되면 초기 학습 후 유지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 간헐 강화
행동을 새로 습득하게 하고자 할 때에는 강화를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매번 지속적으로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습득된 행동이 중재가 끝난 후에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강화를 사용하는 방법은 일단 행동이 충분히 습득된 후에는 간헐적으로 강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모든 간헐강화는 행동이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 유지 스케줄 사용
장애가 심한 학생들이 배우는 기능적인 기술 중에는 자주 사용되지 않거나 매우 불규칙하게 사용되는 기술들이 있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만큼의 빈도로 연습이 되어 행동이 유지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규칙적으로 연습기회를 주는 유지 스케줄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그렇지 않게 되면, 일단 습득되었던 행동이라도 잊어버리게 되어 다시 재교수 해야 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 가정과 기타 장소에서 학습된 기술 사용하기
교수의 우선 순위로 선정된 목표행동들은 기술을 처음 배운 학교에서 뿐 아니라 가정, 지역사회의 다른 환경에서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기술일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일단 기술이 습득된 후 초기 교수 장소 이외의 여러 환경과 장소에서 기술을 연습하게 되면 행동의 유지가 잘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장애가 심한 아동일수록 이와같이 여러 상황에 적용, 연습할 수 있는 목표행동들을 선정하여 교수하는 것이 행동의 유지가 잘 안되는 이들에게는 더욱 바람직하다. 교사가 이러한 행동유지를 고려하여 초기 습득후 여러 환경과 조건에서 연습할 수 있도록 계획하여, 장애아동에게 흔히 발생하는 습득 후 유지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2) 일반화
학교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교에서 배운 것들을 다른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학교에서 배운 읽기나 쓰기, 셈하기 등의 기술을 실생활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학교에서만 수행하기를 바라는 교사는 없을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학교에서 잘 가르치면, 자연스럽게 필요한 다른 상황에서도 그 기술을 사용할 것을 기대하는데,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많은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단순한 기대는(train and hope approach, Stokes & Baer, 1977) 효과가 적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일반화는 새로운 기술의 습득 뿐 아니라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교육적으로 중요한 점은 적절한 일반화된 반응을 훈련시킬 수 있도록 교수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시하는 것이다. 다음은 교수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요소별로 일반화를 촉진하기 위한 방법을 Wolery, Bailey, & Sugai(1988)가 제시한 바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 환경적 변인
일반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교수상황 전반에 걸친 일반적인 자극 조건인 상황적 변인을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첫째로는 직접 자연스러운 상황(natural environment)에서 가르치는 것으로서, 지역사회 중심의 교수(community-based instruction)를 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교수 상황을 가능한 한 일반화가 일어나야 할 상황과 비슷하게 하는 것이다. 셋째로는 다수의 다양한 교수 상황을 이용하는 것이다. 넷째로는 다수의 다양한 교수자를 이용하는 것이다.
▷ 선행사건
여기에서 의미하는 선행사건적 교수변인은 교수에 사용되는 예, 교사의 지시와 다른 설명들, 촉진과 촉진의 소거절차 등이 포함된다. 학생들은 철저하게 배우고 숙달한 기술을 더 잘 일반화시키므로(Guess, 1980), 실패를 통해서 배우기보다는(trial-and error instruction) 성공할 수 있는 과제와 교사의 도움으로 실패 없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errorless learning), 충분히 숙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 외에도 교수 사례를 선택하고 제시하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이 일반화를 촉진할 수 있다.
- 교수 사례의 선정
첫째, 교수사례를 선정할 때 자연적인 환경에 있을 가능성이 높은 예, 변별자극을 교수에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음식점에서 주문을 하는 것을 가르친다면, 실제로 점원이 사용하는 말들을 교수할 때도 이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선택된 예들이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극범위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판매기 이용하기를 가르친다면 한 기계로만 가르치기보다는 여러 가지의 자동판매기의 다양한 유형(예:동전 넣는 위치, 지폐 이용의 유무 등)들을 고려하여 몇 가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셋째, 여러 개의 사례를 이용하여 제한된 자극 통제가 되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다.
- 교수사례의 제시
교수 사례가 선정되면 이를 적절히 제시하여야 한다. 집중적인 연습보다는 분산된 연습이 더 일반화에 바람직하다((Wolery et al., 1988). 하루 중 여러 번에 걸쳐 학습하고 있는 행동을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동시적인(concurrent) 교수가 한 가지씩 차례로 가르치는 것보다 일반화를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예를 들면 사물의 이름을 가르치는데 2-3개를 동시에 가르치는 것이 한 가지를 완전히 가르치고 다음 것을 가르치는 것보다 낫다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한 가지를 가르치기 시작하면서 다른 것도 소개하는 것이다. 물론 다수의 상황에서 다수의 교수자가 이와 같은 교수를 실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새로 습득한 기술이 적절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하므로, 그러한 상황을 만들어준다. 예를 들면, 계란을 삶는 것과 부치는 것을 가르친 후, 집에서 어떤
  • 가격2,4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8.10.15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57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