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개념
Ⅲ.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의의
Ⅳ.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실제
Ⅴ.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직업교육
Ⅵ.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훈련방법
Ⅶ.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학교역할
1. 학교장, 교감의 지원과 역할
2. 통합학급(교과 담당) 교사의 지원과 역할
3. 특수학급 담당 교사의 지원과 역할
Ⅷ.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문제점
Ⅸ. 향후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내실화 방향
Ⅹ. 결론
참고문헌
Ⅱ.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개념
Ⅲ.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의의
Ⅳ.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실제
Ⅴ.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직업교육
Ⅵ.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훈련방법
Ⅶ.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학교역할
1. 학교장, 교감의 지원과 역할
2. 통합학급(교과 담당) 교사의 지원과 역할
3. 특수학급 담당 교사의 지원과 역할
Ⅷ.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문제점
Ⅸ. 향후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내실화 방향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작용을 초래하였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정신지체인의 직업훈련 모델인 지원고용 모델을 우리 상황에 접목 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제한점들을 살펴보면서 모델의 장점을 살린 정신지체인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훈련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정신지체인의 직업확보와 이직률을 줄이는 고용안정의 의미 있는 역할을 할 것이다.
Ⅸ. 향후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내실화 방향
전환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전환교육담당 전문교사가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특수학교나 증가되고 있는 특수학급에는 전환교육을 담당할 전문교사의 부족이 문제다. 지금까지는 전환교육을 전공한 교사가 없어서 진로 담당교사, 직업교사, 특수교사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특수학교의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을 보면 50%이상이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사로서 직업교육과 재활에 관해 직접적인 훈련이나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자들이다. 이에 특수학교 직업교과 지도를 위해 후에 필요한 실기자격증을 습득하기도 한다. 또 다른 자격증 소지자들은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10~20%의 순수 실기교사들에 의해 직업교과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특수학교 전공과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도 유사하다. 그러나 직업교육 시간 수 증가에 대한 직업교육 담당교사의 적정 수가 부족하며 직업교육계획 실시 및 취업과 추수지도까지 전과정을 개별 직업담당교사의 열의와 노력에 의존하는 등 직업교사에게 과중한 업무가 부담되고 있다. 또한 직업교과 담당교사들이 최근의 전환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시전반에 걸친 전문성이 부족하다. 이들에 대한 전환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교사수행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재교육의 기회가 필요하다. 또한 특수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는 전환교육에 관한 교과목을 필수로 선택하게 하여 예비특수교사에게 전환교육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전환교육 전문교사를 양성함에 있어서 특수교육과 함께 재활교육에 관한 지식을 학습한 전공자를 직업교사로 선발하여 중등교육과정에서 전환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전문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전환교육 담당교사는 각 교과목에서 전환교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계체제를 지원해 주고 전환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시하며, 학교와 지역사회와 연결조절하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Ⅹ. 결론
인간은 사회생활이라는 공동적인 생활양식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 즉 인간은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한 사회인임에 틀림없다. 또, 사회생활의 중요한 부분이 직업생활이기 때문에 사회인이라고 하는 것은 직업과의 관계에 있어서 살아가는 집단적 존재라는 것이고, 사회인이 된다고 하는 것은 바로 직업적 존재가 된다. 그런데 인간은 출생과 더불어 바로 사회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엄밀하게 말하면 사람은 직업에 관한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고, 집단의 일원이 될 수 있는 자질을 갖추는 것에 따라서, 첫 사회인의 일원이 되고, 직업인이 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특수학교 전환교육의 본질적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전환교육은 결과중심의 목표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개념과 정의가 달라지겠지만 특히 특수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나가는 통합시기에 많은 초점을 두고 있다.
참고문헌
- 강정희(2008), 시험제도 개편에 맞춘 특수교육학
- 김진호(2002),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지역사회훈련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적용방안, 특수교육학연구
- 곽승철 외(2003),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경북 : 대구대학교 출판부
- 이효자, 장애학생의 전환교육, 교육연구사
- 직업재활개론
- 전보성(2004), 제 12회 전국단위 특수교육 직무연수, 정신지체학생 전환교육의 실제
이상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정신지체인의 직업훈련 모델인 지원고용 모델을 우리 상황에 접목 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제한점들을 살펴보면서 모델의 장점을 살린 정신지체인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훈련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정신지체인의 직업확보와 이직률을 줄이는 고용안정의 의미 있는 역할을 할 것이다.
Ⅸ. 향후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내실화 방향
전환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전환교육담당 전문교사가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특수학교나 증가되고 있는 특수학급에는 전환교육을 담당할 전문교사의 부족이 문제다. 지금까지는 전환교육을 전공한 교사가 없어서 진로 담당교사, 직업교사, 특수교사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특수학교의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을 보면 50%이상이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사로서 직업교육과 재활에 관해 직접적인 훈련이나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자들이다. 이에 특수학교 직업교과 지도를 위해 후에 필요한 실기자격증을 습득하기도 한다. 또 다른 자격증 소지자들은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10~20%의 순수 실기교사들에 의해 직업교과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특수학교 전공과나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도 유사하다. 그러나 직업교육 시간 수 증가에 대한 직업교육 담당교사의 적정 수가 부족하며 직업교육계획 실시 및 취업과 추수지도까지 전과정을 개별 직업담당교사의 열의와 노력에 의존하는 등 직업교사에게 과중한 업무가 부담되고 있다. 또한 직업교과 담당교사들이 최근의 전환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시전반에 걸친 전문성이 부족하다. 이들에 대한 전환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교사수행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재교육의 기회가 필요하다. 또한 특수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는 전환교육에 관한 교과목을 필수로 선택하게 하여 예비특수교사에게 전환교육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전환교육 전문교사를 양성함에 있어서 특수교육과 함께 재활교육에 관한 지식을 학습한 전공자를 직업교사로 선발하여 중등교육과정에서 전환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전문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전환교육 담당교사는 각 교과목에서 전환교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계체제를 지원해 주고 전환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시하며, 학교와 지역사회와 연결조절하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Ⅹ. 결론
인간은 사회생활이라는 공동적인 생활양식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 즉 인간은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한 사회인임에 틀림없다. 또, 사회생활의 중요한 부분이 직업생활이기 때문에 사회인이라고 하는 것은 직업과의 관계에 있어서 살아가는 집단적 존재라는 것이고, 사회인이 된다고 하는 것은 바로 직업적 존재가 된다. 그런데 인간은 출생과 더불어 바로 사회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엄밀하게 말하면 사람은 직업에 관한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고, 집단의 일원이 될 수 있는 자질을 갖추는 것에 따라서, 첫 사회인의 일원이 되고, 직업인이 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특수학교 전환교육의 본질적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전환교육은 결과중심의 목표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개념과 정의가 달라지겠지만 특히 특수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나가는 통합시기에 많은 초점을 두고 있다.
참고문헌
- 강정희(2008), 시험제도 개편에 맞춘 특수교육학
- 김진호(2002),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지역사회훈련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적용방안, 특수교육학연구
- 곽승철 외(2003),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경북 : 대구대학교 출판부
- 이효자, 장애학생의 전환교육, 교육연구사
- 직업재활개론
- 전보성(2004), 제 12회 전국단위 특수교육 직무연수, 정신지체학생 전환교육의 실제
추천자료
-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하여
- 장애인 특수교육 현황 및 문제점진단과 개선방안
- 장애인복지종사자 교육훈련의 이해와 전문성에 대한 고찰
- [정보화론]우리나라 장애인 정보화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 [정보화론]우리나라 장애인 정보화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 장애인 교육에 관한 고찰
- 장애인 교육
- 장애인 교육 복지
- 여성장애인의 교육과 취업
- [★우수레포트★, 여성장애인 복지] 여성장애인과 성(性)의 관련성 및 현실, 장애인 성교육 실...
- 장애인 성교육 부제문제
- 장애인의 평생교육 및 문화, 체육활동 확대 방안을 서술 [장애인 활동]
- 장애인 평생교육 및 문화ㆍ체육활동 확대 방안
- (장애인복지론) 장애인 교육과정을 생애 주기별로 정리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