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Humboldt와 Ritter의 사상 비교
① 근대 지리학의 개막
②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의 공통점
③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의 차이점
④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2. 환경결정론과 가능론의 비교
① 근대지리학의 환경 연구
② 환경결정론과 가능론 주요 개념들의 비교
③ 환경경결정론과 가능론이 미친 영향
3. 프랑스ㆍ독일ㆍ미국의 지역연구(area studies) 비교
① 지리학에서의 지역연구의 의미
② 전통적인 프랑스와 독일ㆍ미국 지역지리학의 주요 개념들의 비교
① 근대 지리학의 개막
②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의 공통점
③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의 차이점
④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2. 환경결정론과 가능론의 비교
① 근대지리학의 환경 연구
② 환경결정론과 가능론 주요 개념들의 비교
③ 환경경결정론과 가능론이 미친 영향
3. 프랑스ㆍ독일ㆍ미국의 지역연구(area studies) 비교
① 지리학에서의 지역연구의 의미
② 전통적인 프랑스와 독일ㆍ미국 지역지리학의 주요 개념들의 비교
본문내용
연구 대상지역은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지역이었다. 그러나 관찰을 통해 그 지역에서 나타나는 거의 모든 현상을 상세하게 서로 연관시켜 기술하였으며, 이에 따라 Humboldt는 미시적 지리학(microgeography)의 창시자라고까지 불리워졌다. 이와 같이 Humboldt는 될 수 있는 한 대상지역을 완전하게 연구하여 그 지역에 대한 설명적 기술을 제공하려고 노력하였으며, 모든 현상들간의 관계가 다 밝혀질때까지(즉 계통지리가 완성될 때) 기다리기 보다는 특정현상그룹을 다른 현상그룹과의 지역적 관계속에서 계통적으로 다루었다. 그러나 Humboldt와 달리 Ritter는 지역연구에 있어서 주로 이론에 머물러 있었으며, 실제적으로는 부분적으로만 연구가 행해졌을 뿐이다. 비록 Ritter의 목적은 지역을 종합화하고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것이었으나 지역내의 모든 관련된 현상에 관한 총체적인 연구를 수행하지는 못하였다.
④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 중 지리학이 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들간의 상호관련성을 연구하는 것이라는 사고를 수용할 때 대두되는 문제중의 하나는 다양한 현상그룹간의 관계는 어떠한가라는 점이다. 즉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가 무엇인가 하는 점일 것이다. Humboldt와 Ritter는 단지 지표면의 다양한 현상들과 요소들을 고려하였으며, 지역의 전체적인 특성을 결정짓는데 다양한 현상들과 그 구성요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서로 상호관련되었는가 하는 점에서만 연구의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환경주의론적 논제에 부딪치지 않고 벗어날 수 있었으며, 모든 지표상의 현상들은 분리될 수 없는 통일체라는 그들의 개념에 따를 경우 자연적 요소와 인문적 요소들이 분리되어야 될 필요가 없었다.
오히려 Humboldt와 Ritter가 세상을 떠난 후에 다양한 견해들이 확대되고 학문이 전문화되면서 자연과학분야의 사회과학분야로 이원화되었다. 주제에 의해 세부영역간의 전문화가 서로 연관된 현상들의 기초위에서 밀접한 상호연관성을 갖고 있음을 규명하게 됨으로써,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리학의 각 세분화된 영역들이 부분적으로 통합된 특정한 현상그룹에 대한 이해를 서로 공유하여 지리학의 고유주제인 지표상의 다양함을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주교재(지리학사 권용우.안영진 지음 한울아카데미)를 제외한 주.참고문헌
▷ (한울지리학강좌)근대 지리학의 개척자들 데즈카 아키라 엮음 정암 옮김 한울 아카데미
서론: 지리학의 혁신과 전통....................p.16~18
▷ 址理學叢書 址理學史 李喜演 著 法文社
제 5장 近代의 址理學
II. Humboldt의 生涯와 址理的 思想....................p.137
3. Humboldt의 址理的 思想....................p.145~
IV. Humboldt와 Ritter의 址理的 思想의 共通點과 差異點....................p.163
1. Humboldt와 Ritter의 址理的 思想의 共通點....................p.163~167
2. Humboldt와 Ritter의 址理的 思想의 差異點....................p.167~170
2. 환경결정론과 가능론의 비교
① 근대지리학의 환경 연구
과거의 지리학은 관심의 대상이 거의 인간에 머물고 있었다. 그러한 이유는 지리학 연구의 목적이 대부분의 경우 행정과 일상생활에 관한 실용적인 요구에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지만, 동시에 자연에 대한 인식이 너무 부족했던 데에도 유래하고 있다. 인간과 환경 사이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막연한 인식이 지리학에서 개개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결정론이라는 일반원리로 정립된 것은 19세기 말이며, 근대 환경론은 스토아(stoic) 철학의 자연법 사상을 극복하기 위해 발전되어 왔던 베이컨(Bacon)의 경험주의와 데카르트(Decarte)의 합리주의에서 출발하였다.
그 후 경험주의와 합리주의 등 기계론적 자연철학은 18세기 계몽주의 철학으로 발전하면서, 환경론적 사고를 명시적으로 드러내게 되었다. 사실 지리학에서는 무엇보다도 19세기 중ㆍ후반에 독일 낭만주의 철학 사상에 등장한 헤르더(Herder)와 헤겔(Hegel)의 풍토론적 세계인식과 목적론을 수용하여 지표상에서 전개되는 인간의 역사 가운데서 신의 의지를 발견하려고 시도한 리터의 지리사상에서 결정론
④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 중 지리학이 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들간의 상호관련성을 연구하는 것이라는 사고를 수용할 때 대두되는 문제중의 하나는 다양한 현상그룹간의 관계는 어떠한가라는 점이다. 즉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가 무엇인가 하는 점일 것이다. Humboldt와 Ritter는 단지 지표면의 다양한 현상들과 요소들을 고려하였으며, 지역의 전체적인 특성을 결정짓는데 다양한 현상들과 그 구성요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서로 상호관련되었는가 하는 점에서만 연구의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환경주의론적 논제에 부딪치지 않고 벗어날 수 있었으며, 모든 지표상의 현상들은 분리될 수 없는 통일체라는 그들의 개념에 따를 경우 자연적 요소와 인문적 요소들이 분리되어야 될 필요가 없었다.
오히려 Humboldt와 Ritter가 세상을 떠난 후에 다양한 견해들이 확대되고 학문이 전문화되면서 자연과학분야의 사회과학분야로 이원화되었다. 주제에 의해 세부영역간의 전문화가 서로 연관된 현상들의 기초위에서 밀접한 상호연관성을 갖고 있음을 규명하게 됨으로써, Humboldt와 Ritter의 지리적 사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리학의 각 세분화된 영역들이 부분적으로 통합된 특정한 현상그룹에 대한 이해를 서로 공유하여 지리학의 고유주제인 지표상의 다양함을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주교재(지리학사 권용우.안영진 지음 한울아카데미)를 제외한 주.참고문헌
▷ (한울지리학강좌)근대 지리학의 개척자들 데즈카 아키라 엮음 정암 옮김 한울 아카데미
서론: 지리학의 혁신과 전통....................p.16~18
▷ 址理學叢書 址理學史 李喜演 著 法文社
제 5장 近代의 址理學
II. Humboldt의 生涯와 址理的 思想....................p.137
3. Humboldt의 址理的 思想....................p.145~
IV. Humboldt와 Ritter의 址理的 思想의 共通點과 差異點....................p.163
1. Humboldt와 Ritter의 址理的 思想의 共通點....................p.163~167
2. Humboldt와 Ritter의 址理的 思想의 差異點....................p.167~170
2. 환경결정론과 가능론의 비교
① 근대지리학의 환경 연구
과거의 지리학은 관심의 대상이 거의 인간에 머물고 있었다. 그러한 이유는 지리학 연구의 목적이 대부분의 경우 행정과 일상생활에 관한 실용적인 요구에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지만, 동시에 자연에 대한 인식이 너무 부족했던 데에도 유래하고 있다. 인간과 환경 사이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막연한 인식이 지리학에서 개개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결정론이라는 일반원리로 정립된 것은 19세기 말이며, 근대 환경론은 스토아(stoic) 철학의 자연법 사상을 극복하기 위해 발전되어 왔던 베이컨(Bacon)의 경험주의와 데카르트(Decarte)의 합리주의에서 출발하였다.
그 후 경험주의와 합리주의 등 기계론적 자연철학은 18세기 계몽주의 철학으로 발전하면서, 환경론적 사고를 명시적으로 드러내게 되었다. 사실 지리학에서는 무엇보다도 19세기 중ㆍ후반에 독일 낭만주의 철학 사상에 등장한 헤르더(Herder)와 헤겔(Hegel)의 풍토론적 세계인식과 목적론을 수용하여 지표상에서 전개되는 인간의 역사 가운데서 신의 의지를 발견하려고 시도한 리터의 지리사상에서 결정론
추천자료
카지노가 국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정선지역을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의 특징과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환경영향평가 [분석/조사]
독일, 일본의 산재보험과 미국의 산재보험 사회적응 프로그램, 그리고 우리나라의 사례(대법...
친환경 도시 계획을 위한 정보
독일의 관광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에 있어 주요장애와 조직적 전망
독일의 통일교류와 남북한 교류협력의 비교분석
캐나다의 역사,사회,문화적 환경과 정부구조
북한의 영재교육과정 사례, 중국의 영재교육과정 사례, 미국의 영재교육과정 사례, 호주의 영...
주요 국가별, 외국의 다문화교육 정책 동향, 현황
행동주의 반두라의 이론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간략하게 서술하고 이론의 주요 개념 중 자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