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호홉
1)호흡의과정
2)호흡기관의역할
3)호흡기관의구조
2.사람의 호흡기
1)가스교환과 운반
2)산소의운반
3)CO2의 운반
3.호흡계
1)배경과 일반원리
2)호흡과 순환기관
4.순환계
1)심장 순환
2)심장의 조절 - 외부조절과 내부조절
3)심장의 작용
4)혈압
5)혈액의 순환 경로
6)모세혈관의 역할 - 순환계의 기능 단위
7)정맥
5)순환기계통
1)호흡의과정
2)호흡기관의역할
3)호흡기관의구조
2.사람의 호흡기
1)가스교환과 운반
2)산소의운반
3)CO2의 운반
3.호흡계
1)배경과 일반원리
2)호흡과 순환기관
4.순환계
1)심장 순환
2)심장의 조절 - 외부조절과 내부조절
3)심장의 작용
4)혈압
5)혈액의 순환 경로
6)모세혈관의 역할 - 순환계의 기능 단위
7)정맥
5)순환기계통
본문내용
내부조절
심장의 박동류에 영향
① 외부조절 :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
-심장에 분포하는 신경은 척수와 연수에서 기원
-교감신경 - 심장박동률 증가
-부교감신경 - 심장박동률 감소
② 내부조절 : 호르몬의 분비에 의해 조절
-에피네프린 : 부신에서 분비
-교감신경처럼 심장박동률을 증가시킴
심장박동의 근원 : 우심방의 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
신경충격 → 방실결절(sinoatrial node; AV node)
→ (심실이 수축하기 전에 심방이 수축할 수 있도록 전달 지연) → 심방 수축
그림 심장박동의 조절
→ 심실 수축(방실결절 → 히스근색(bundle of His)) → 심실로 전도
※ 히스근색 → 푸르키녜섬유(purkinje fibers) : 수축 시작
(3) 심장의 작용
수축기: 심실이 수축하는 시기
이완기: 심실이 다시 가득 차는 시기
이완기가 수축기보다 길다.
박동량 : 심장이 한 번 박동할 때 심장을 통과해 나가는 혈액의 양
(4) 혈압
건강한 사람의 수축기 혈압은 120mmHg, 이완기 혈압은 80mmHg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동맥 결합조 직에 생기는 칼슘의 축적, 동맥벽의 탄성 상실,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콜레스테롤 등 의 지방 축적과 평활근의 국소적 성장이 특 징인 동맥병변이나 플라크
⇒ 혈관의 지름이 감소되어 혈압 상승
※ 혈관 수축과 혈관 확장
혈관 확장 - 혈압 감소
혈관 수축 - 혈압 증가
⇒ 소동맥 내의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킴
자율신경계에 의해 지배받으며, 부분적으로 호르몬의 조절도 받음
산소, 이산화탄소, 수소 이온, 여러 약 등도 변화시킬 수 있음
(5) 혈액의 순환 경로
① 간문순환 - 복대동맥으로부터 분지된 동맥들의 작은창자 막을 통해 소화관으로 들어가는 경로
- 작은창자의 융털 내에서 모세혈관상 형성
- 소화된 음식물 ⇒ 모세혈관 → 간문정맥 → 간(제 2의 모세혈관상 형성 → 동양혈관(영양물질 간에 저장)) → 상대정맥 → 심장
② 신장순환
대동맥 → 좌우 신동맥 → 신장(요소, 과다한 수분, 대사산물, 염류 제거) → 신정맥 → 하대정맥 → 심장
③ 심장순환
좌심실 → 대동맥 → 관상동맥 → 맥관연락(망이 형성되어 심장근에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일어나는 관상혈전증 같은 응고현상 방지) → 관상정맥 → 관상동 → 우심방
④ 체순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세포유지에 필요한 물질이 공급되며, 노폐물이 제거
(6) 모세혈관의 역할 - 순환계의 기능 단위
전모세혈관 괄약근(precapillary sphi nter) : 모세혈관상을 선택적으로 닫고 여는 평활근
모세혈관상으로 들어가는 혈액 : 영양분, 이온, 수분, 산소 등을 잃는 대신 이온, 수분, 이산화탄소, 기타 대사노폐물들을 수거하여 모세혈관상을 떠남 ⇒ 확산기울기와 수압에 의해 발생
수압 - 모세혈관의 소동맥 쪽이 크고, 많은 물질들은 수압에 따른 단순한 여과 과정에 의해 모세혈관벽 통과
그림 동맥, 모세혈관, 정맥
그림 정맥내의 혈류
- 소맥쪽은 수분이 모세혈관을 빠져나가 단백질이 많은 원형질 상태이기 때문에 수압이 감소하고 고장액 상태로 존재 ⇒ 삼투압에 따라 수분이 혈액으로 들어가고, 이온은 농도기울기에 의해 밖으로 확산
(7) 정맥(압력이 감소된 상태)
심장으로 가기 위한 기작 : 한쪽으로만 열리는 판막
약간의 평활근에 의한 역할
몸을 움직일 때 일어나는 근육운동
가슴 부위의 호흡운동→혈관벽 압박
순환기 계통
1. 심장
심장은 피를 신체의 각 부분에 보내기 위하여 "펌프" 작용을 하고 있으며, 1분간 성인은 60 - 80회( 평균 72회) 정도 박동하고 있으며 어린이의 경우는 어른 보다 더 빠르다( 90회정도 )
2. 혈관=혈관에는 동맥, 정맥, 모세혈관이 있다.
① 동맥
동맥은 심장으로부터 나오는 피를 몸의 각 부분으로 퍼져 있는 모세혈관에 전한다.
② 정맥=몸의 각 부분으로 흐터진 피를 다시 심장으로 전한다.
③ 모세혈관=가장 작은 혈관
3. 피
① 피는 빨갛고 독특한 냄새가 있으며 찝질하고 끈적 끈적한 액체로서 그 색은 대체로 짙은 다홍색이다
② 몸 체중이 약 50㎏ ~ 60㎏ 되는 사람은 4,000cc ~ 5,000cc( 보통은 6리터 )의 피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1,000cc의 피를 흘리게 되면 생명이 위독해 지고, 1,500cc( 30% )의 피를 흘리면 생명을 잃는다.
③ 피는 우리 신체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④ 혈액의 구성
가. 혈장
혈액의 55% 정도를 차지하며 주성분은 물이고 알부민의 제조원료를 사용한다.
색깔은 노란색을 띄우고 절혈구를 운반하며, 또 배설물을 신장이나 폐장, 피부로 운반하여 양분을 전한다.
나. 적혈구= 산소를 운반하고 피를 붉게 한다.
다. 백혈구= 항균작용을 한다.
라. 혈액순환과정=심장 → 대동맥 → 소동맥 → 모세관 → 정맥 → 심장가
폐순환(Pulmonary circulation)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내보내고 산소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수행하는 순환이다.
< 순 서 > ①우심실 →②폐동맥 →③폐포(액체에서 기체로 기화) →배출시작 →
④폐 → ※ 인체 순환한 공기(피에 녹은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변환) = (기화) ⑤기관지 → ⑥기관 →⑦코, 입 -----→숨 내쉬기(이산화탄소 내보내기)-----숨 들여 쉬기(산소 받아들여 전달하기)----→ 코, 입 →⑨기관 →⑩기관지 →⑪폐 →⑫폐포(기체에서 액체로 혈액에 용해) →※새로 들어온 공기(기체 상태에서 피에 녹아 액체 상태로 변환) = (용해) ⑬폐정맥 →⑭왼쪽 심방까지의 순환을 말한다.
전신순환(Systemic circulation)
=폐에서 얻어진 산소가 심장의 왼 심실에서 신체 각부를 돌아 전달되고 오른 심방으로 환원되는 순환을 말한다.
< 순 서 > ①왼심실 →②대동맥 →③동맥 →④소동맥 →⑤실핏줄 →⑥인체 각 조직
※산소+영양분(전달) -- 액체 상태-- 이산화탄소+노폐물(돌려 받기)⑦실핏줄 →⑧소정맥 →⑨정맥 →⑩대정맥 →⑪우심방까지의 순환을 말한다.
심장의 박동류에 영향
① 외부조절 :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
-심장에 분포하는 신경은 척수와 연수에서 기원
-교감신경 - 심장박동률 증가
-부교감신경 - 심장박동률 감소
② 내부조절 : 호르몬의 분비에 의해 조절
-에피네프린 : 부신에서 분비
-교감신경처럼 심장박동률을 증가시킴
심장박동의 근원 : 우심방의 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
신경충격 → 방실결절(sinoatrial node; AV node)
→ (심실이 수축하기 전에 심방이 수축할 수 있도록 전달 지연) → 심방 수축
그림 심장박동의 조절
→ 심실 수축(방실결절 → 히스근색(bundle of His)) → 심실로 전도
※ 히스근색 → 푸르키녜섬유(purkinje fibers) : 수축 시작
(3) 심장의 작용
수축기: 심실이 수축하는 시기
이완기: 심실이 다시 가득 차는 시기
이완기가 수축기보다 길다.
박동량 : 심장이 한 번 박동할 때 심장을 통과해 나가는 혈액의 양
(4) 혈압
건강한 사람의 수축기 혈압은 120mmHg, 이완기 혈압은 80mmHg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동맥 결합조 직에 생기는 칼슘의 축적, 동맥벽의 탄성 상실,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콜레스테롤 등 의 지방 축적과 평활근의 국소적 성장이 특 징인 동맥병변이나 플라크
⇒ 혈관의 지름이 감소되어 혈압 상승
※ 혈관 수축과 혈관 확장
혈관 확장 - 혈압 감소
혈관 수축 - 혈압 증가
⇒ 소동맥 내의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킴
자율신경계에 의해 지배받으며, 부분적으로 호르몬의 조절도 받음
산소, 이산화탄소, 수소 이온, 여러 약 등도 변화시킬 수 있음
(5) 혈액의 순환 경로
① 간문순환 - 복대동맥으로부터 분지된 동맥들의 작은창자 막을 통해 소화관으로 들어가는 경로
- 작은창자의 융털 내에서 모세혈관상 형성
- 소화된 음식물 ⇒ 모세혈관 → 간문정맥 → 간(제 2의 모세혈관상 형성 → 동양혈관(영양물질 간에 저장)) → 상대정맥 → 심장
② 신장순환
대동맥 → 좌우 신동맥 → 신장(요소, 과다한 수분, 대사산물, 염류 제거) → 신정맥 → 하대정맥 → 심장
③ 심장순환
좌심실 → 대동맥 → 관상동맥 → 맥관연락(망이 형성되어 심장근에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일어나는 관상혈전증 같은 응고현상 방지) → 관상정맥 → 관상동 → 우심방
④ 체순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세포유지에 필요한 물질이 공급되며, 노폐물이 제거
(6) 모세혈관의 역할 - 순환계의 기능 단위
전모세혈관 괄약근(precapillary sphi nter) : 모세혈관상을 선택적으로 닫고 여는 평활근
모세혈관상으로 들어가는 혈액 : 영양분, 이온, 수분, 산소 등을 잃는 대신 이온, 수분, 이산화탄소, 기타 대사노폐물들을 수거하여 모세혈관상을 떠남 ⇒ 확산기울기와 수압에 의해 발생
수압 - 모세혈관의 소동맥 쪽이 크고, 많은 물질들은 수압에 따른 단순한 여과 과정에 의해 모세혈관벽 통과
그림 동맥, 모세혈관, 정맥
그림 정맥내의 혈류
- 소맥쪽은 수분이 모세혈관을 빠져나가 단백질이 많은 원형질 상태이기 때문에 수압이 감소하고 고장액 상태로 존재 ⇒ 삼투압에 따라 수분이 혈액으로 들어가고, 이온은 농도기울기에 의해 밖으로 확산
(7) 정맥(압력이 감소된 상태)
심장으로 가기 위한 기작 : 한쪽으로만 열리는 판막
약간의 평활근에 의한 역할
몸을 움직일 때 일어나는 근육운동
가슴 부위의 호흡운동→혈관벽 압박
순환기 계통
1. 심장
심장은 피를 신체의 각 부분에 보내기 위하여 "펌프" 작용을 하고 있으며, 1분간 성인은 60 - 80회( 평균 72회) 정도 박동하고 있으며 어린이의 경우는 어른 보다 더 빠르다( 90회정도 )
2. 혈관=혈관에는 동맥, 정맥, 모세혈관이 있다.
① 동맥
동맥은 심장으로부터 나오는 피를 몸의 각 부분으로 퍼져 있는 모세혈관에 전한다.
② 정맥=몸의 각 부분으로 흐터진 피를 다시 심장으로 전한다.
③ 모세혈관=가장 작은 혈관
3. 피
① 피는 빨갛고 독특한 냄새가 있으며 찝질하고 끈적 끈적한 액체로서 그 색은 대체로 짙은 다홍색이다
② 몸 체중이 약 50㎏ ~ 60㎏ 되는 사람은 4,000cc ~ 5,000cc( 보통은 6리터 )의 피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1,000cc의 피를 흘리게 되면 생명이 위독해 지고, 1,500cc( 30% )의 피를 흘리면 생명을 잃는다.
③ 피는 우리 신체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④ 혈액의 구성
가. 혈장
혈액의 55% 정도를 차지하며 주성분은 물이고 알부민의 제조원료를 사용한다.
색깔은 노란색을 띄우고 절혈구를 운반하며, 또 배설물을 신장이나 폐장, 피부로 운반하여 양분을 전한다.
나. 적혈구= 산소를 운반하고 피를 붉게 한다.
다. 백혈구= 항균작용을 한다.
라. 혈액순환과정=심장 → 대동맥 → 소동맥 → 모세관 → 정맥 → 심장가
폐순환(Pulmonary circulation)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내보내고 산소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수행하는 순환이다.
< 순 서 > ①우심실 →②폐동맥 →③폐포(액체에서 기체로 기화) →배출시작 →
④폐 → ※ 인체 순환한 공기(피에 녹은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변환) = (기화) ⑤기관지 → ⑥기관 →⑦코, 입 -----→숨 내쉬기(이산화탄소 내보내기)-----숨 들여 쉬기(산소 받아들여 전달하기)----→ 코, 입 →⑨기관 →⑩기관지 →⑪폐 →⑫폐포(기체에서 액체로 혈액에 용해) →※새로 들어온 공기(기체 상태에서 피에 녹아 액체 상태로 변환) = (용해) ⑬폐정맥 →⑭왼쪽 심방까지의 순환을 말한다.
전신순환(Systemic circulation)
=폐에서 얻어진 산소가 심장의 왼 심실에서 신체 각부를 돌아 전달되고 오른 심방으로 환원되는 순환을 말한다.
< 순 서 > ①왼심실 →②대동맥 →③동맥 →④소동맥 →⑤실핏줄 →⑥인체 각 조직
※산소+영양분(전달) -- 액체 상태-- 이산화탄소+노폐물(돌려 받기)⑦실핏줄 →⑧소정맥 →⑨정맥 →⑩대정맥 →⑪우심방까지의 순환을 말한다.
추천자료
한국재벌(현대그룹)의 성장과정과 발전 모순구조에 관한 고찰
[비교행정론E형]일본 관료제의 정책결정과정에서 족의원(族議員)의 역할구조
2010년 2학기 비영리조직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주요시민단체의 지배구조,의사결정과정)
협상의 구조와 협상의제) 협상의 구성과 정치경제적 효과, 협상의제 선정과 전개과정
미누친(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개념, 치료목표와 과정, 치료기법)
정치발전론 - 1950년대 한국의 재생산 과정과 구조
[규제입법 (規制立法)] 규제입법과정과 규제입법구조
[전자정부] 정보자원관리 {업무구조관리, 관리상의 발전, 운영과정, 전자정부관리의 효율화}
교육운동 참여(敎育運動 參與)의 자유변경의 과정과 구조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전략적가족치료모델 PPT(전략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과정, 전략적구조주의모델, 전략적가...
남성생식기, 남성생식, Male Reproduction, 남성생식기구조, 정자형성과정, 남성의성기능, 테...
현대중공업 기업경영 법,현대중공업의 지배구조,현대중공업 성장과정,태광그룹 편법 상속 비...
남성생식기, 남성생식, Male Reproduction, 남성생식기구조, 정자형성과정, 남성의성기능, 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