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국에 대한 이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영국 소개
1. 영국의 명칭과 국기
2. 영국의 형성
3. 영국의 자연과 지리
⑴ 잉글랜드
⑵ 스코틀랜드
⑶ 웨일즈
⑷ 북아일랜드
Ⅱ 영국의 경제와 정치
Ⅱ-1. 경제
1. 영국의 최근 경제동향
2. 영국의 주요 경제정책
3. 4대 권역의 경제 특징
(1) 영국 경제의 우위에 선 잉글랜드- ① 경제발달과정 ② 주요산업
(2) 잉글랜드에 부속된 웨일즈- ① 경제발달과정 ② 주요 산업
(3) 연합왕국의 스코틀랜드- ① 경제발달과정 ② 주요 산업
(4) 아일랜드의 경제발전- ① 경제발달과정 ② 주요 산업
Ⅱ-2. 정치
1. 영국의 헌법
2. 선거제도
3. 영국의 중앙정부
(1) 국왕(Monarchy)
(2) 행정부(Government)- ①추밀원 ②총리 ③내각
(3) 의회 (Parliament)
(4) 사법부 (Judiciary)
(5) 정당- ① 노동당 ② 보수당 ③ 자유민주당
4. 영국의 지방정부
(1) 잉글랜드- ① 행정구역 ② 지방자치단체 선거
(2) 웨일즈- ① 행정구역
(3) 스코틀랜드- ① 행정구역 ② 스코틀랜드의 영국 의회 ③ 스코틀랜드의 의회
(4) 북 아일랜드- ① 행정구역 ② 북아일랜드 정치문제
5. 지방자치의 의의
Ⅲ 영국의 사회와 문화
Ⅲ-1. 사회
1. 인구변화와 실업률
2. 사회복지제도
3. 계급구조
4. 교육제도
⑴ 초․중․고등 교육
⑵ 대학 교육
⑶ 스코틀랜드의 교육제도
Ⅲ-2. 문화
1. 언어
2. 종교
3. 예술활동
4. 문학
5. 4대 권역의 문화 특징
⑴ 축구의 나라 잉글랜드
⑵ 스코틀랜드- ① 위스키 ② 전통의상 킬트 ③ 음식 ④ 세인트 앤드류스 골프 코스
⑶ 되살아나는 웨일즈 문화
⑷ 북아일랜드의 옛 문화와 새 문화
Ⅳ 영국의 이해

본문내용

을 수장으로 하는 입헌군주제이다. 입헌군주제의 중심으로써, 영국의 역사와 전통을 가장 위엄 있게 대변해 주는 상징적 존재인 영국왕실은 세습 원칙에 따라 오늘날까지 군주제를 유지해오고 있다.
(1) 국왕(Monarchy)
국가의 원수이며 국민적 통합의 상징인 국왕은 54개의 영연반국가들의 상징적 수장이며, 17개 영연방 국가의 국가 원수이기도 한다. 의회의 소집과 해산, 총리 및 각료의 임면, 법률의 재가와 공포, 선전(宣戰)과 강화, 작위 및 영전(榮典)의 수여, 문·무신의 임면 등은 국왕의 대권인데, 실제로는 내각의 조언대로 행해지는 명목상 권한이다. 1215년의 마그나 카르타 이래 계속된 권한의 의회 이양으로 현재는 군림하나 통치하지는 않는 존재가 되었다.
(2) 행정부(Government)
① 추밀원 (Privy Council)
국무에 관한 고문관들의 집합체로서 자문기관이며, 현재는 형식상의 행정부의 최고기관이다. 국왕의 대권 행사에 따른 추밀원령을 인가하도록 국왕에게 권고하는 일과 의회 소집 및 해산 등 국왕의 포고권 행사에 자문하는 역할 그리고 영연방국가의 사법적 최종심으로서 실질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② 총리 (Prime Minister)
총리는 정부업무 전반에 걸쳐 국왕에게 보고하며, 각의를 주재하고 각료들의 업무를 분장하는 책임을 지고 있으며, 일상 행정업무 이외에 하원 내 다수당의 지도자로서 하원에 정기적으로 출석하여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③ 내각 (Cabinet)
형식상 추밀원의 일부로서 각 부처 장관으로 구성되며 실질적인 행정권을 행사한다. 정책의 최종 결정, 정부의 최고 통솔기능 및 정부 부처 간 업무조정 역할을 한다.
(3) 의회 (Parliament)
의회는 최고의 입법 기관으로써 여왕, 상원 및 하원으로 구성되며 입법행위를 위해서는 형식상 3자의 합의가 필요하다. 실제에 있어서는 정당정치제도가 확립되어 있으므로 의회는 입법행위를 함에 있어서 일반국민의 여론동향을 의식하며, 관례 및 전통에 따르고 있다. 의회의 기능은 입법, 조세를 통한 정부활동 수단제공 및 정부의 행정 및 예산집행을 감독하며, 관습에 따라 중요한 국제조약 및 협정의 비준 전에 정부와 협의를 한다.
(4) 사법부 (Judiciary)
지역별로는 잉글랜드, 웨일즈,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가 제각기 다른 법체계와 법정을 유지해 오고 있으나 잉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의 법체계는 상호 유사성이 많다. 각 지역 모두 형법과 민법의 양 법체계가 별도로 존재하며, 근래에 제정되는 성문법은 영국전체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5) 정당 (Political Party)
① 노동당(The Labour Party)
노동당은 보수당 및 자유당 조직이 의회 내의 그룹에서 출발하여 선거구로 확산된 것과는 달리 의회 밖의 정치, 경제, 사회운동이 의회 내에서의 대표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당조직으로 발전한 것이다. 지구당과 중앙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 보수당(The Conservative and Unionist Party)
17세기 후반에 국교단일화를 주장하면서 국왕 편에 섰던 인사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Tory당이 1832년의 의회 개혁법으로 인한 참정권 확대에 따라 근대적 의미의 정당으로 발전했다.
③ 자유민주당 (Liberal Democrats)
사민당과 자유당이 양당 전 당원의 투표를 통하여 합당을 최종 결정하고 1988년 3월에 정식 출범했다.
4. 영국의 지방정부
영국 지방자치단체의 법적 지위는 헌법이 아닌 영국의회에서 제정한 법률에 의해 그 존재와 권한이 부여되고 있다. 때문에 지방의원의 선출원칙, 행정조직, 사무권한 등이 국회의 법률적 권한에 귀속되어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나 규칙 등에 관한 입법권 등은 사실상 완전한 독립성과 자율성을 확보 받지 못한 점이 있다.
1997년 지방정부개편추진위원회가 중심이 되었던 잉글랜드, 그리고 웨일즈, 스코틀랜드의 개편논의는 모두 완결되어 1997년 4월 1일 13개 단일지방정부가 생겨났으며, 1998년 4월 1일에는 19개의 단일지방정부가 다시 생겨났다.
현재 영국의 지방자치단체는 크게 광역자치단체로서 카운티, 기초자치단체로서 런던보로, 런던시티, 디스트릭 및 단층자치단체를 들 수 있으며, 이보다 하위 개념으로서 교구나 커뮤니티가 존재하고 있다. 아래의 그림은 영국의 지방자치제도를 간략하게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영국의 4대 권역은 지방행정 구조와 자치방식은 지역적 특성과 서로 다른 역사적 배경, 문화적 차이에 따라 현실적으로 조금 다른 사회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1) 잉글랜드
잉글랜드는 전체 5,750만 인구 중 약 80%, 전 국토의 절반(53%)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심 지역으로 사회 경제 정치면에서 압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① 행정구역
잉글랜드의 경우 가장 상위 행정단위로 9개의 지역(Reg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다시 카운티(county)로 나눠지는데, 카운티는 지리적 의미의 카운티(48개)와 행정적 의미의 카운티(82개)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행정적 의미의 카운티는 메트로폴리탄 카운티(Metropolitan County), 비 메트로폴리탄 카운티(35개), 유니터리 오토리티(40개), 대 런던의 4가지로 구분된다. 6개의 메트로폴리탄 카운티는 타인-웨어(Tyne and Wear), 웨스트미들랜즈(West Midlands), 머시사이드(Merseryside), 대만체스터(Greater Manchester), 웨스트요크셔(West Yorkshire), 사우스요크셔(South Yorkshire)이다. 카운티는 다시 디스트릭트로 나누어지는데, 메트로폴리탄 카운티의 경우 메트로폴리탄 디스트릭트(District=borough)로 비메트로폴리탄 카운티의 경우 비 메트로폴리탄 디스트릭트라고 불린다.
② 지방자치단체 선거
지방자치단체(Council)는 주민직선에 의해 4년 임기로 선출된 의원(Councillor)에 의해 운영 되며, 시장은 대의원들이 1년씩 교대로 맡는다.
(2) 웨일즈
① 행정구역
지방행정단위는 1972년 지방행정법(1974년 4월 시행)에 따라 클루이드, 디버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10.25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74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