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공학 조암광물, 암석의 성인에 따른 분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반공학 조암광물, 암석의 성인에 따른 분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화성암 [火成岩, igneous rock]
조직에 따른 분류 (깊이에 따른 분류)
조성(성분)에 따라(SiO2 함량에 따라)

퇴적암 [堆積岩, sedimentary rock]
쇄설성 퇴적암 (clastic sedimentary rocks)
화학적 퇴적암과 생물성 퇴적암 (chemical, organic sedimentary rocks)

변성암 [變成岩, metamorphic rock]
변성암의 산출형태
변성암의 조직과 종류
셰일과 이암의 변성작용
현무암의 변성작용
석회암과 사암의 변성작용

본문내용

서도 결정작용이 일어나므로 휘발성분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마그마가 천천히 냉각하면 조립질의 암석이 된다.
그러나 화산분출로 지표에 나온 마그마가 급랭되면 세립질이 된다. 많은 조암광물은 고용체를 이루기 때문에 결정시의 온도나 압력조건에 의해 정출(晶出)하는 결정의 화학조성 및 결정구조가 변한다. 또한 결정이 형성됨에 따라 마그마의 조성은 결정의 조성이 결핍되어 간다. 대체로 결정의 비중은 마그마보다 크기 때문에 마그마 그릇 아래에 침강한다. 그러므로 마그마 하부에는 조기의 결정이 풍부해지고 상부는 빈약해진다. 이와 같이 되어 같은 지역에서도 부분에 따라 여러 가지 암석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사실을 마그마의 분화작용이라고 한다. 마그마 내에서 비휘발성 성분이 먼저 결정하여 각종 암석을 만드는 동안 마그마에는 휘발성분이 농집하게 되어 이때부터 휘발성분을 포함하는 광물이 정출된다. 여기서 페그마타이트에서 보는 황옥, 전기석, 부석, 형석 등을 포함하게 된다.
화성암은 관입암 및 분출암의 산상으로 산출한다. 관입암은 암체의 형성에 따라 저반, 암주, 병반, 암맥, 암상 등으로 구별하며, 이들은 대개 완정질 및 조립질이고 암맥이나 암상은 반정질로서 조립질 반정이 세립질 석기에 섞인 모양을 나타낸다. 이에 대하여 분출암은 화산암이라고도 하며, 마그마가 지표에서 고결한 것을 가리킨다. 이는 용암(유동상태 및 고결상태의 것을 함께 의미한다)과 화산쇄설암으로 세분되는데, 용암은 현무암, 유문암과 같이 마그마가 지표로 흘러 고결된 것에 대해서 화산쇄설암은 화산폭발에 의해서 화산재, 화산탄 등이 공중에 떠 있다가 낙하하여 쌓인 암체로 응회암류가 이에 속한다. 화성암은 지각의 구조운동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지향사의 구조운동의 여러 단계에 따라 형성되는 마그마의 성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각각 서로 다른 조합의 화성암들이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초기에는 초염기성암이나 염기성암이 형성되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화강암, 안산암 조합과 현무암의 분출 등의 순으로 만들어진다. 판구조론으로 화성암의 형성단계의 조합을 설명하게 되었다.
조직에 따른 분류 (깊이에 따른 분류)
분출(화산)암 : 마그마가 급히 냉각, 유리질 또는 세립질
반심성암 : 마그마가 비교적 서서히 냉각, 반상 조직
심성암 : 마그마가 아주 서서히 냉각, 입상, 등립 조직
조성(성분)에 따라(SiO2 함량에 따라)
유 색 : 흑운모, 각섬석, 휘석, 감람석 - 고온 광물, Ca, Mg, Fe 풍부
무 색 : 사장석, 정장석, 석영 - 저온 광물, Na, K, Si 풍부
1. 규장질암(felsic rocks)
(1) 화강암 (granite) - 알칼리화강암은 장석 특히, 칼리장석, 석영, 운모를 주성분광물로 하는 완정질이며, 현정질인 등립질 암석. 화강암은 저반으로 넓은 면적을 점하며 노출됨이 보통이나 작은 면적으로 나타나 암주를 만드는 일도 있다. 병반 또는 암맥으로 나타나는 일도 있으나 드물다.
(2) 화강섬록암(granodiorite) - 화강암의 일종으로 사장석을 칼리장석 보다 훨씬 더 많이 포함하여 협의의 화강암보다 석영의 함유량이 적고 유색광물로 흑운모와 각섬석을 포함함.
(3) 화강반암 (granite porphyry)- 광물 성분과 화학 성분은 화강암과 비슷하나 반상조직을 가지고 석기가 세립질이며 완성질이다. 다량의 석영과 정장석이 반정으로 들어 있으며 흑운모, 각섬석, 미사장석, 사장석도 소량포함. 반상화강암은 입자가 보통 화강암과 같고 그 중에 더욱더 큰 장석의 결정이 점재되는 것이고 화강반암은 석기의 입도가 1mm 이하로 작다
(4) 석영반암 (quartz porphyry)- 화강암과 비슷한 광물 및 화학성분을 가진 암석이지만 반상조직을 가진 점, 전체로 세립질인 점이 다르다. 반정은 석영, 정장석, 사장석, 운모이고 석기는 미정질로서 규장질, 미화강암질, 미문상조직을 보여주며 화강반암보다 더 미립질이다. 반정이 보이지 않으면 미화강암,규장암, 문상반암으로 되며 석영반암의 일종.
(5) 페그마타이트 (pegmatite) - 화강암의 마그마가 냉각되는 도중에는 일부에 유동서이 큰 마그마가 모인다. 이것이 이미 고결된 화강암이나 그 주위의 암석을 뚫고 들어가서 대단히 큰 결정으로 된 석영과 장석을 주성분으로 한 암맥을 만든다. 거정화강암이라고도 한다.
(6) 반화강암 (aplite) - 성분은 페그마타이트와 같으나 구성광물이 결정이 1mm이하인 완정질 암맥으로서 백색,회백색, 담갈색을 띤다.
(7) 석영조면암 (liparite) - 광물 및 화학 성분은 화강암과 비슷하나 조직이 화강암과 전혀 다른 분출암이다. 반정으로는 장석과 석영이 소량의 유색광물의 작은 입자들과 같이 나타나면 석기는 음미정질 내지 유리질이다.
(8) 유문암 (rhyolite) - 석영조면암에 유상구조가 보이면 이를 유문암이라 한다.
2. 중성암
(1) 섬장암 (syenite) - 적색, 담회색의 완정질이며 현정질인 조립의 등립질 암석으로서 주성분 광물은 칼리장석과 각섬석이다. 유색광물로 흑운모가 많아지면 흑운모섬장암, 투휘석이 많아지면 투휘석 섬장암이라고 한다.
(2) 몬조니암 (monzonite) - 정장석과 사장석의 분량이 비등한 암석으로 회백색, 완정질 등립질인 심성암이다.
(3) 섬록암 (diorite) - 주성분광물은 사장석과 각섬석이고 간혹 흑운모와 휘석을 포함하며 석영과 정장석을 포함. 색이 짙다.
(4) 섬장반암 - 반암이라하며 화학성분은 섬장암과 같다. 장석을 주로 하고 각섬석과 흑운모를 섞은 미성질 석기 속에 정장석을 반정으로 한 반심성암이다. 야외에서는 반정이 정장석인지를 감정하기 어려우므로 장석을 반정으로 하고 석영을 포함하지 않는 담색 내지 담회색의 반심성암을 장석반암이라고 부른다.
(5) 섬록반암 (diorite porphyrite) - 반암이라하며 화학성분은 섬록암과 같다. 사장석을 주로 하고 휘석, 자철석을 섞은 미정질 석기 속에 사장석, 각섬석, 휘석을 반정으로 한다.
(6) 조면암 (trachyte)- 화학 성분이 섬장암과 같은 분출암이다. 풍화되면 거친 표면을 나타낸다. 회
  • 가격7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0.31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8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