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대운하 점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반도 대운하 점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머리말

II. 대운하 점검
1. 자연조건, 운하에 적절한가?
2. 물동량은 충분할까?
3. 속도 너무 느리진 않을까?
4. 물류비 절감효과 있나?
5. 총비용 어느정도?
6. 골재채취해 비용 충당되나?
7. 대기오염 절감효과 있나?

III. 맺음말

IV. 참고자료

본문내용

배로 옮기고 나서 다시 차를 이용해 목적지까지 가야 한다. 배에 싣고 내리고 하는 비용이 추가되는 것이다. 때문에 장거리 운송이 아니면 배로 운송하는 것이 차로 운송하는 것보다 비용이 더 드는 것이다.
4.2. 있다
운송비 부담 해마다 급증
10%만 맡아도 8조원 절감
한국관세협회의 시내운송료와 내륙운송료 자료, 철도청 발표의 철도지선료, 철도운송료 및 상하차료 등의 자료를 참조하여 2006년 가격으로 환산한 경부간 20피트 컨테이너의 왕복운송료를 보면, 운하가 도로에 비해 약 33만~35만원이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류비 중 운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 46.5%, 2003년 52.7%, 2005년 58.3%로 급격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도로운송이 아닌 운하를 통해 냉장고를 수송할 경우, 수출시 제품 원가당 개당 20~40달러의 인하 효과가 생긴다.
나아가 물류비를 10%절감할 경우, 제조업의 매출액이 30%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운하를 통한 수송분담율 1% 증가는 국가물류비를 8000억원 이상 절감하는 효과가 생긴다.
5. 총비용 어느정도?
5.1. 32조~54조 든다
교량 재건비만 4조8000억
암반 굴착비 등 합치면 54조
고속철도는 처음에 6조원을 예상했지만, 결국 20조원이 들어갔다. 경부운하 역시 그런 길을 가게 될 것이 분명하다. 48개 교량의 재건 비용만 최소 4조8000억원이다. 한강과 낙동강 바닥 곳곳의 암반지대 굴착비용도 큰 변수이다. 운하 공사를 강 바닥의 퇴적물을 준설하는 간단한 공사로 생각하지만 바닥을 깊게 파야 하는 상류로 갈수록 암반이 드러나는 곳이 많다. 이밖에 상수원 오염에 따른 취수원 이전비와 강변여과수 시설비용, 제방 보강 비용, 여름철홍수와 태풍으로 인한 관리비용 등 누락된 부분들을 포함하게 되면 실제 공사비는 32조~54조원에 달할 것이다.
5.2. 14조 든다
공사비 14조~17조 될 것
일자리창출 등 효과도 37조
개략적인 공사비는 14조~17조원이 든다. 다리는 현재 약 20개가 철거재가설개폐교로 전환될 계획이고, 그 비용은 이 공사비에 포함돼 있다. 암반지대 굴착비용은 한강낙동강 일부 구간의 준설 때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해당 구간은 길지 않고, 암반이 있어도 설계 시 반영해 조정하면 된다. 운하 유지관리비용은 통상 유지관리이익, 즉 운영수입과 함께 고려해야 하나 한반도 대운하의 경제성 분석 시 운영수입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외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1.03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91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