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論
Ⅱ. 4․3 항쟁의 배경과 전개
1. 4․3 항쟁의 배경
2. 4․3 항쟁의 전개
1) 4‧3의 시기 구분
2) 4‧28평화회담과 5‧10단독선거 반대투쟁
Ⅲ. 4‧3항쟁의 민간인학살
1. 초토화작전의 배경
1) 국내의 정치상황
2) 미국의 대한정책
3) 초토화의 배경
2. 민간인학살의 실상
1) 4·3의 인명피해
2) 민간인학살 시기의 인명피해 실태
Ⅳ. 민간인학살의 문제점
1. 민간인학살의 개념과 유형
2. 대표적 민간인학살의 예
1) 나치 독일의 민간인학살
2) 보도연맹원 학살사건
3. 4‧3 민간인학살의 이데올로기
Ⅴ. 結 論
* 참고문헌
Ⅱ. 4․3 항쟁의 배경과 전개
1. 4․3 항쟁의 배경
2. 4․3 항쟁의 전개
1) 4‧3의 시기 구분
2) 4‧28평화회담과 5‧10단독선거 반대투쟁
Ⅲ. 4‧3항쟁의 민간인학살
1. 초토화작전의 배경
1) 국내의 정치상황
2) 미국의 대한정책
3) 초토화의 배경
2. 민간인학살의 실상
1) 4·3의 인명피해
2) 민간인학살 시기의 인명피해 실태
Ⅳ. 민간인학살의 문제점
1. 민간인학살의 개념과 유형
2. 대표적 민간인학살의 예
1) 나치 독일의 민간인학살
2) 보도연맹원 학살사건
3. 4‧3 민간인학살의 이데올로기
Ⅴ. 結 論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가해자일 경우에는 학살의 모든 기억들이 조직적으로 은폐된다. 기억은 조작되고 학살의 역사는 반대로 승리의 신화로 정착된다. 제주4·3도 예외는 아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진상규명 작업은 군사정권에 의해 오랫동안 억압당했으며, 관련자들은 옥고를 치르거나 입을 다물었고 관련기록들은 폐기되었으며, 공식석상에서 4·3을 언급하는 것이 금기시 되었다. 그리고 이 후 오랫동안 중·고교 교과서 필자가 중·고등학교에 재학시절에는 사실 이러한 현대사의 굴곡에 대해서는 아예 배운바가 없다. 심지어 초등학교 시절 박정희와 전두환이 훌륭한 사람이라고 배운 기억도 있다. 대부분의 국사교육은 독립운동사까지만 이루어지며 4·3을 비롯한 4·19, 5·18, 6·29 선언 등 한국현대사에 한 획을 긋는 사건들은 전혀 언급이 되지 않거나 언급되어도 극미한 것이 사실이다. (국사편찬위원회 外,『고등학교 국사(하)』, p.202~221, 교육부, 1998)
에서 4·3은 북한의 사주에 의한 공산폭동이었다.
이러한 폭동설은 1999년 12월 16일 국회본회의에서4·3특별법이 통과될 때 연설한 한나라당 국회의원 김용갑의 반대연설 연설문의 자세한 내용은 이진우, 國軍을 배신한 대한민국 國會,『월간조선』, 2000.1 참조
에 잘 나타나 있다.
하지만 1980년대의 민주화운동과 더불어 4·3항쟁에 대한 기억들이 분출되기 시작했고, 이는 조직적인 진상규명운동으로 결집되었다. 결국 제주도민의 진상규명에 대한 의지와 진상규명운동세력의 헌신적 투쟁은제주4·3특별법통과로 그 결실을 보게 되었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2년여 동안의 조사를 통해 2003년 확정 발간된『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는 제주4·3의 배경과 전개과정, 그리고 피해상황을 자세히 적고 있다. 이를 토대로 진상조사보고서는 제주4·3사건을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 위원회,『제주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2003, p.536
” 즉 ‘국가 공권력에 의한 인권유린’으로 규정했다.
제주4·3항쟁의 기간 동안 민간인 25,000~30,000여 명으로 추정되는 엄청난 인명피해와 재산상의 피해를 냈다. 진압작전에서 전사한 군인은 180명 내외, 경찰 전사자는 140여 명 또한 대동청년단, 서북청년회, 대한청년단, 향보단, 민보단, 청년방위대, 학생연맹 등 우익단체의 인명피해는 639명 제주보훈지청이 제주도의회에 보낸 4·3사건 피해와 관련한 국가유공자 명단은 총 657명이다(제주보훈지청,「국가유공자 및 유족 명단 송부」, 1996. 12. 18). 또한 제주보훈지청이 제주4·3사건위원회에 보낸 명단은 총 478명이다(제주보훈지청,「제주4·3사건관련 국가유공자 및 유족 명단 등 송부」, 2002. 4. 29). 위 두 공문 첨부 명단을 상호 대비 검색한 결과, 중복된 명단을 일원화시키면 4·3사건 관련 국가 유공자는 총 744명이며 이 가운데 경찰출신 105명을 제외한 639명이 우익단체원에 해당한다.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 위원회, 앞의 책, 2003, p.375~376)
이 사망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인명피해의 불균형한 대비로만 보아도 엄청난 인명이 무고하게 희생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제주4·3항쟁의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민간인 학살이 가지는 문제점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설정하여 밝히려 하였다.
첫째, 제주4·3항쟁이 발생한 배경은 무엇이며 어떻게 진행되었나?
둘째, 민간인학살의 실상은 어떠한가?
셋째, 민간인 학살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31사건 이후 510 단선단정 반대투쟁까지의 제주도의 상황에 대해 살펴보고 초토화 작전과 민간인학살의 실상을 중심으로 이러한 민간인학살의 원인과 국가 폭력에 의한 집단학살(genocide)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료로는 문헌자료에 ①제민일보 4·3취재반,『4·3은 말한다』전5권, 전예원, 1994 ②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 2003 ③역사문제연구소 外,『제주4·3연구』, 역사비평사, 1998 ④최장집 外,『解放前後史의 認識』권4, 한길사, 1989 그리고 ⑤각종 연구논문 및 간행물 등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Ⅱ. 43 항쟁의 배경과 전개
1. 43 항쟁의 배경
1947년 3월 1일은 제주현대사에서 분수령으로 기록될 만큼 역사흐름의 한 획을 그은 날이었다. 제28주년 3·1절 기념식을 맞아 제주도 좌익세력이 주도한 시위에서 군정경찰이 발포함으로써 빚어진 이 날의 사건은 주요한 기폭제가 되어 그때까지 큰 소요가 없었던 제주사회를 들끓게 만들었다. 이 발포사건에 항의, 관공서의 총파업이 시작되었고 군정당국은 이에 맞서 응원경찰과 서청 등 우익 청년단체원들을 제주에 대거 내려보내 물리력으로 검거공세를 전개함으로써 미군정과 제주도 좌익세력이 전면 대립국면으로 돌입했다. 즉 3·1절 발포사건은 ‘4·3으로 가는 도화선’ 이 되고 말았던 것이다.
이날 오후 2시경 기념행사가 끝난 후 군정당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가두시위가 시작되었다. 오후 2시 45분경 Hq. 6th Inf Div, G-2 Periodic Report, No.500, March 2, 1947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 위원회, 앞의 책, 2003, p.109 재인용)
관덕정 앞 광장에서 기마경관이 탄 말에 어린이가 채어 소란이 일어난 무렵에는 시위행렬이 광장을 벗어난 시점이었다. 현장 목격자들의 증언과 언론의 보도내용을 종합하면 시위군중이 지나간 다음이어서 건물 옆쪽에 듬성듬성 100~200명의 관람관중이 있었을 뿐이었다. 기마경관이 어린이가 채인 사실을 몰랐던지 그대로 가려고 하자 주변에 있던 군중들이 야유를 퍼부었고 일부 군중들은저 놈 잡아라!고 소리치며
에서 4·3은 북한의 사주에 의한 공산폭동이었다.
이러한 폭동설은 1999년 12월 16일 국회본회의에서4·3특별법이 통과될 때 연설한 한나라당 국회의원 김용갑의 반대연설 연설문의 자세한 내용은 이진우, 國軍을 배신한 대한민국 國會,『월간조선』, 2000.1 참조
에 잘 나타나 있다.
하지만 1980년대의 민주화운동과 더불어 4·3항쟁에 대한 기억들이 분출되기 시작했고, 이는 조직적인 진상규명운동으로 결집되었다. 결국 제주도민의 진상규명에 대한 의지와 진상규명운동세력의 헌신적 투쟁은제주4·3특별법통과로 그 결실을 보게 되었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2년여 동안의 조사를 통해 2003년 확정 발간된『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는 제주4·3의 배경과 전개과정, 그리고 피해상황을 자세히 적고 있다. 이를 토대로 진상조사보고서는 제주4·3사건을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 위원회,『제주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2003, p.536
” 즉 ‘국가 공권력에 의한 인권유린’으로 규정했다.
제주4·3항쟁의 기간 동안 민간인 25,000~30,000여 명으로 추정되는 엄청난 인명피해와 재산상의 피해를 냈다. 진압작전에서 전사한 군인은 180명 내외, 경찰 전사자는 140여 명 또한 대동청년단, 서북청년회, 대한청년단, 향보단, 민보단, 청년방위대, 학생연맹 등 우익단체의 인명피해는 639명 제주보훈지청이 제주도의회에 보낸 4·3사건 피해와 관련한 국가유공자 명단은 총 657명이다(제주보훈지청,「국가유공자 및 유족 명단 송부」, 1996. 12. 18). 또한 제주보훈지청이 제주4·3사건위원회에 보낸 명단은 총 478명이다(제주보훈지청,「제주4·3사건관련 국가유공자 및 유족 명단 등 송부」, 2002. 4. 29). 위 두 공문 첨부 명단을 상호 대비 검색한 결과, 중복된 명단을 일원화시키면 4·3사건 관련 국가 유공자는 총 744명이며 이 가운데 경찰출신 105명을 제외한 639명이 우익단체원에 해당한다.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 위원회, 앞의 책, 2003, p.375~376)
이 사망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인명피해의 불균형한 대비로만 보아도 엄청난 인명이 무고하게 희생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제주4·3항쟁의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민간인 학살이 가지는 문제점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설정하여 밝히려 하였다.
첫째, 제주4·3항쟁이 발생한 배경은 무엇이며 어떻게 진행되었나?
둘째, 민간인학살의 실상은 어떠한가?
셋째, 민간인 학살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31사건 이후 510 단선단정 반대투쟁까지의 제주도의 상황에 대해 살펴보고 초토화 작전과 민간인학살의 실상을 중심으로 이러한 민간인학살의 원인과 국가 폭력에 의한 집단학살(genocide)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료로는 문헌자료에 ①제민일보 4·3취재반,『4·3은 말한다』전5권, 전예원, 1994 ②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 2003 ③역사문제연구소 外,『제주4·3연구』, 역사비평사, 1998 ④최장집 外,『解放前後史의 認識』권4, 한길사, 1989 그리고 ⑤각종 연구논문 및 간행물 등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Ⅱ. 43 항쟁의 배경과 전개
1. 43 항쟁의 배경
1947년 3월 1일은 제주현대사에서 분수령으로 기록될 만큼 역사흐름의 한 획을 그은 날이었다. 제28주년 3·1절 기념식을 맞아 제주도 좌익세력이 주도한 시위에서 군정경찰이 발포함으로써 빚어진 이 날의 사건은 주요한 기폭제가 되어 그때까지 큰 소요가 없었던 제주사회를 들끓게 만들었다. 이 발포사건에 항의, 관공서의 총파업이 시작되었고 군정당국은 이에 맞서 응원경찰과 서청 등 우익 청년단체원들을 제주에 대거 내려보내 물리력으로 검거공세를 전개함으로써 미군정과 제주도 좌익세력이 전면 대립국면으로 돌입했다. 즉 3·1절 발포사건은 ‘4·3으로 가는 도화선’ 이 되고 말았던 것이다.
이날 오후 2시경 기념행사가 끝난 후 군정당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가두시위가 시작되었다. 오후 2시 45분경 Hq. 6th Inf Div, G-2 Periodic Report, No.500, March 2, 1947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 위원회, 앞의 책, 2003, p.109 재인용)
관덕정 앞 광장에서 기마경관이 탄 말에 어린이가 채어 소란이 일어난 무렵에는 시위행렬이 광장을 벗어난 시점이었다. 현장 목격자들의 증언과 언론의 보도내용을 종합하면 시위군중이 지나간 다음이어서 건물 옆쪽에 듬성듬성 100~200명의 관람관중이 있었을 뿐이었다. 기마경관이 어린이가 채인 사실을 몰랐던지 그대로 가려고 하자 주변에 있던 군중들이 야유를 퍼부었고 일부 군중들은저 놈 잡아라!고 소리치며
추천자료
[한국지리] 한국의 지형과 기후, 산업연구
컨벤션센터 건립계획과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거제도(巨濟島) 조사
제주도사회복지기관 실태조사
스마트웨어
금호리조트와 한화호텔리조트 비율분석,금호리조트재무분석,한화리조트재무분석,재무분석사례...
KBS여론창출전략,공영방송,공영방송이념,KBS,KBS조직구조,KBS적자,KBS문제,KBS발전방향,KBS해...
[스포츠사회화] 스포츠사회화의 개념, 이론 유형
[교육대학원 한국어학과 석사과정-한국어교육개론] 한류 열풍에 따른 세계 속의 한국어교육 현장
마리나 시설의 개념, 특징과 유형,입지조건, 국내외 마리나 시설 사례 조사
위기청소년 저소득가정 청소년 온오프라인 멘토링_청소년멘토링, 프로포절, 청소년프로그램, ...
가정 분열의 원인은 다양하다. 그 중 이혼의 형태가 일반적인데 이는 어떤 사회문제를 유발한...
★ 여행사실무론 - 고백투어, 3C분석, STP, 4P, 손익분석, 고객분석, 경쟁지역분석, 해당상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