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시기 언론의 후보지지 반대론과 문제점 및 극복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 언론의 후보지지의 반대론과 그에 대한 반론

3. 언론의 후보지지 반대논리에 대한 타당성

4. 후보지지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점

5. 언론의 후보지지 도입의 필요성과 긍정적 효과

6.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렵지만 양자를 분리시키기 위해 최대한 노력한 공정한 보도야말로 언론이 권위도 얻고 독자도 얻는 일석이조의 유리한 상업적 전략이다. 『뉴욕 타임즈』나 『워싱턴포스트』와 같은 미국 신문의 권위와 상업성도 의견과 사실의 엄격한 분리와 공정한 보도에서 나온다. 우리 나라에서도 그렇게 의견과 사실을 엄격히 분리한 공정한 언론이 나오면 정말 사람들의 존경을 받고 상업적으로도 성공하는 명실상부한 권위지가 될 수 있다. 이제 우리 사회에서도 그런 진정한 권위지가 나올 때가 되었다.
우리 언론들 특히 편파성이 심한 몇몇 신문들은 특정 후보에 대한 공개적 지지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성향을 노골적으로 드러낼 만큼 솔직하고 자신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그러나 우리 사회가 점점 더 맑아지고 투명해지고 독자들의 의식수준도 높아졌다. 아직까지 우리 언론이 이런 과정에서 예외로 남아 있지만, 언제까지나 그럴 수는 없을 것이다. 오히려 그런 식으로는 살아남기 어려워질 것이다. 과거와 같이 자기의 본색을 숨긴 채 모든 유형의 사람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시대는 끝나가고 있다. 대중지를 표방하는 한 극우적 신문에 대한 맹렬한 반대운동이 그 한 증거다. 앞으로는 솔직하게 자신의 정치적 성향과 지지 정당이나 후보를 밝히는 언론이 신뢰를 받고 확실한 독자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언론들이 상업적 계산과 솔직하지 못한 모습 때문에 후보 지지를 허용해도 공개 지지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예상으로 후보 지지를 허용해도 상관없다는 무책임한 입장에서 언론의 후보 공개 지지를 허용하자는 것이 아니다. 또 구미 선진국들이 하기 때문에 우리도 해야 한다는 선진국 추종주의에서 허용하자는 것도 아니다. 후보 지지는 헌법에 보장된 언론자유를 확대하고, 우리 언론과 사회의 이중성을 없애고, 대선 보도에서 언론으로 하여금 대통령 만들기보다는 후보의 자질과 정책 검증에 더 신경을 쓰게 하고, 의견과 사실의 엄격한 분리를 통해 우리 언론의 발전에 기여하는, 원칙과 공익의 문제이기 때문에 허용하자는 것이다. 언론의 공개적 후보 지지를 허용함으로써 얻을 것은 많아도 잃은 것은 별로 없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동규 (2002). 선거보도의 공정성과 언론사의 정치적 입장 표명. 『언론중재』, 82호(봄호), 15-26.
김학수 (1993). 방송의 공익성: 그 이론적, 실천적 한계의 극복. 『방송연구』, 겨울호, 143-159.
남시욱 (2000). 한국 언론의 선거 보도와 정치적 입장 표명. 『관훈저널』, 74호(봄호), 203-218.
박영상 (2002). 국회 언론발전연구회 주최 ‘언론의 지지후보 표명 어떻게 보는가’ 토론회 발표논문.
김호열. (2002 봄). 선거보도의 법률적 한계. 『관훈저널』, 통권 62호: 153-162.
남시욱. (2002 봄). 선거사설 "중립만이 금은 아니다." 『관훈저널』, 통권 74호: 203-218.
박동진. (2002.2.21). 인터넷과 선거: 한국선거에서 인터넷의 도입과 그 충돌. 함께하는 시민 행동 주최 <인터넷 매체의 선거보도, 어떻게 볼 것인가?> 토론회에서 발표된 논문.
박미영. (2002.2.5). 특정 후보 지지 외국 사례. 『기자협회보』.
선거보도감시연대회의. (2002.5.27). 신문 모니터 4차 보고서(5월17일-23일): 조중동의 이중잣대는 안부러지나.
ccdm.or.kr/election/index.html.
성낙인. (2002.2.19). 인터넷매체 선거보도의 법적 문제. 한국기자협회 주최의 제18회 기자포 럼 <인터넷 매체 선거보도의 법적 문제>에서 발표된 논문.
안영섭. (2002 봄). 사설의 특정 정치 후보 지지. 『관훈저널』, 통권 82호: 219-227.
이영태. (2002.5.29). "언론의 특정 후보 편들기 지나치다." pressian.com.
이효성. (2002.2). 언론의 후보 공개 지지의 득과 실. 『신문과 방송』, 374호: 56-62.
이효성. (2002.1.19). 언론의 후보 공개 지지를 지지한다. ohmynews.com.
정연주. (2002.2.6). 편집국 독립 토론문화 부재 '시기상조'
최경준.이종호. (2001.10.26). "특히 기자들에게 감사, 우린 한식구." ohmynews.com.
『한겨레21』. (1998.1.1). 신문사 사주가 대통령 뽑아라. 189호: 35.
Downie Jr., Leonard. (Oct. 25, 2000). The editorial they. The Washington Post.
Giobbe, Dorothy. (Oct. 26, 1996). Dole wins...in endorsements. Editor & Publisher.
Editor & Publisher. (Jan. 3, 2000). Newspaper elect to endorse.
Editor & Publisher. (Nov. 7, 1998). Novak: Votes no on editorial endorsement.
Jones, Stacy. (Dec. 26, 1996). Declining endorsement. Editor & Publisher.
McNair, Brian. (1995). An introduction to political communication. London: Routledge.
Neuwirth, Robert. (Jan. 17, 1998). Political quandary: Have publishers lost influence over editorial endorsements? Editor & Publisher.
The New York Times. (Oct. 29, 2000). Al Gore for President.
The Washington Post. (Oct. 22, 2000). Al Gore for President.
Welch, Susan, et al. (1999). American government. 7th ed. Belmont, CA: Wadsworth.
Wheeler, Mark. (1997). Politics and the mass media. Oxford: Blackwell.
  • 가격2,7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1.05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96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