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존 듀이 교육학을 둘러싼 오해와 혼동
2. 듀이에 대한 프래그머티즘과 실용주의의 혼동
3. 교육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교과의 가치에 대한 혼동
4. 교과의 진보적 조직이라는 아이디어의 오해
5. 적극적 주도적 교육학의 모색
6. 존 듀이 교육학에 대한 교육본위론적 새로운 해석
참고문헌
1. 존 듀이 교육학을 둘러싼 오해와 혼동
2. 듀이에 대한 프래그머티즘과 실용주의의 혼동
3. 교육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교과의 가치에 대한 혼동
4. 교과의 진보적 조직이라는 아이디어의 오해
5. 적극적 주도적 교육학의 모색
6. 존 듀이 교육학에 대한 교육본위론적 새로운 해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따라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그러한 경험들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사회이다. 그런데 다양한 경험들이 추구되고, 또 그 경험들이 자유롭게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은 결국 경험의 계속적인 재구성으로서의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민주주의는 그러한 교육이 숨쉴 수 있는 교육적인 사회, 즉 교육을 위한 사회로서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듀이가 결코 완성된 형태의 교육 이론이나 교육본위론을 제안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프래그머티스트인 듀이로서는 자신의 교육 이론이 그러한 것이라 생각할 수도 없을 것이다. 그의 교육 이론은 그것과는 다른 새로운 교육 이론의 재구성에 도구로서 사용되어야 하는 하나의 이정표이고 징검다리일 뿐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는 듀이의 교육 이론을 발판으로 삼아 새로운 교육 이론을 모색할 수 있을 만큼 그의 교육 이론을 충분히 소화하고 있지는 못한 듯하다. 오히려 우리의 교육계나 교육학계는 그동안 듀이의 교육 이론을 그것의 본래 취지나 의미와는 다르게 해석해 온 감이 있다. 그래서 듀이가 전혀 동의하지 않을 실제적인 조처도 듀이의 진보적인 교육에 해당하는 것으로 둔갑시키고, 또 듀이가 명시적으로 부인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론을 천박한 실용주의를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해 왔다. 이는 듀이 개인의 불행에 그치지 않고, 교육과 교육학의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 만약 듀이에게서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이 아직도 많다고 하면, 더욱 더 그러하다. 여기서 제안한 듀이에 대한 해석과 듀이를 재조명하는 관점은 듀이의 교육 이론을 발판으로 삼아 새로운 교육 이론을 모색한다고 할 때, 한 번쯤 고려해볼 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듀이는 우리에게 과거가 아니라 여전히 살아있는 현재이며, 우리는 듀이라는 현재를 거쳐 그가 시사하고 있을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너무나도 일찍 듀이를 추방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그가 우리에게 들려줄 수 있었을 교육에 대한 아름다운 이야기를 놓쳐 버린 듯하다.
참고문헌
김재만(1982). 한국 교육과 Dewey 교육사상. 한국철학회·한국교육학회·한국 존 듀이 연구회(편). 『존 듀우이와 프라그마티즘』. 서울: 삼일당. 239-259.
김태길(1990). 『존 듀이의 사회철학』. 서울: 명문당.
손승남(2001). 교육적 인간상으로서 신지식인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철학』, 제25집, 교육철학회. 55-71.
엄태동(1999). 『로티의 네오 프래그마티즘과 교육』. 서울: 원미사.
엄태동(2000). 교육의 개념과 반성적 교육 철학. 박성희 외. 『교육학에의 초대』. 서울: 원미사. 15-62.
이돈희(1992). 『존듀이: 교육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홍우(1987). 역자 해설. 이홍우(역). 『민주주의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ⅰ-xxvi.
이홍우(1990). 『교육의 개념』. 서울: 문음사.
장상호(1991). 교육학 탐구 영역의 재개념화. 『교육학 연구』, 91-2.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장상호(1997). 『학문과 교육(상): 학문이란 무엇인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장상호(2000). 『학문과 교육(하): 교육적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Dewey, J. (1899). School and society.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ol. 1.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SS)
Dewey, J. (1902).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ol. 2.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CC)
Dewey, J. (1916a). Democracy and education.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ol. 9.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DE)
Dewey, J. (1916b). Essays in experimental logic.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ol. 10.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EEL)
Dewey, J. (1920). Reconstruction in philosophy.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ol. 12.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RP)
Dewey, J. (1929). The quest for certainty: A study of the rel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John Dewey: The Later Works. Vol. 4.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QC)
Dewey, J.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John Dewey: The Later Works. Vol. 13.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EE)
James, W. (1907). Pragmatism. New York: Prometheus Books.
Peters, R. S. (1966). Ethics and education. London: George Allen & Unwin.
Prado, C. G. (1987). The limits of pragmatism. New Jersey: Humanities Press.
Rorty, R. (1999). Philosophy and social hope. New York: Penguin Books.
듀이가 결코 완성된 형태의 교육 이론이나 교육본위론을 제안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프래그머티스트인 듀이로서는 자신의 교육 이론이 그러한 것이라 생각할 수도 없을 것이다. 그의 교육 이론은 그것과는 다른 새로운 교육 이론의 재구성에 도구로서 사용되어야 하는 하나의 이정표이고 징검다리일 뿐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는 듀이의 교육 이론을 발판으로 삼아 새로운 교육 이론을 모색할 수 있을 만큼 그의 교육 이론을 충분히 소화하고 있지는 못한 듯하다. 오히려 우리의 교육계나 교육학계는 그동안 듀이의 교육 이론을 그것의 본래 취지나 의미와는 다르게 해석해 온 감이 있다. 그래서 듀이가 전혀 동의하지 않을 실제적인 조처도 듀이의 진보적인 교육에 해당하는 것으로 둔갑시키고, 또 듀이가 명시적으로 부인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론을 천박한 실용주의를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해 왔다. 이는 듀이 개인의 불행에 그치지 않고, 교육과 교육학의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 만약 듀이에게서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이 아직도 많다고 하면, 더욱 더 그러하다. 여기서 제안한 듀이에 대한 해석과 듀이를 재조명하는 관점은 듀이의 교육 이론을 발판으로 삼아 새로운 교육 이론을 모색한다고 할 때, 한 번쯤 고려해볼 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듀이는 우리에게 과거가 아니라 여전히 살아있는 현재이며, 우리는 듀이라는 현재를 거쳐 그가 시사하고 있을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너무나도 일찍 듀이를 추방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그가 우리에게 들려줄 수 있었을 교육에 대한 아름다운 이야기를 놓쳐 버린 듯하다.
참고문헌
김재만(1982). 한국 교육과 Dewey 교육사상. 한국철학회·한국교육학회·한국 존 듀이 연구회(편). 『존 듀우이와 프라그마티즘』. 서울: 삼일당. 239-259.
김태길(1990). 『존 듀이의 사회철학』. 서울: 명문당.
손승남(2001). 교육적 인간상으로서 신지식인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철학』, 제25집, 교육철학회. 55-71.
엄태동(1999). 『로티의 네오 프래그마티즘과 교육』. 서울: 원미사.
엄태동(2000). 교육의 개념과 반성적 교육 철학. 박성희 외. 『교육학에의 초대』. 서울: 원미사. 15-62.
이돈희(1992). 『존듀이: 교육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홍우(1987). 역자 해설. 이홍우(역). 『민주주의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ⅰ-xxvi.
이홍우(1990). 『교육의 개념』. 서울: 문음사.
장상호(1991). 교육학 탐구 영역의 재개념화. 『교육학 연구』, 91-2.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장상호(1997). 『학문과 교육(상): 학문이란 무엇인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장상호(2000). 『학문과 교육(하): 교육적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Dewey, J. (1899). School and society.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ol. 1.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SS)
Dewey, J. (1902).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ol. 2.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CC)
Dewey, J. (1916a). Democracy and education.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ol. 9.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DE)
Dewey, J. (1916b). Essays in experimental logic.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ol. 10.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EEL)
Dewey, J. (1920). Reconstruction in philosophy.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ol. 12.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RP)
Dewey, J. (1929). The quest for certainty: A study of the rel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John Dewey: The Later Works. Vol. 4.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QC)
Dewey, J.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John Dewey: The Later Works. Vol. 13. Carbondale &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EE)
James, W. (1907). Pragmatism. New York: Prometheus Books.
Peters, R. S. (1966). Ethics and education. London: George Allen & Unwin.
Prado, C. G. (1987). The limits of pragmatism. New Jersey: Humanities Press.
Rorty, R. (1999). Philosophy and social hope. New York: Penguin Books.
키워드
추천자료
- 옛이야기의 개념과 교육적 가치 및 활용방안
- 교육활동의 가치 - 무엇을 위한 교육인가?
- 만화, 연애소설, 대중가요 등이 학교 교육내용이 될 수 있는가? 그 교육적 가치를 논하라.
-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와 올바른 제시방법
- 사회과(교육,수업) 개념학습과 탐구학습, 사회과(교육,수업) 의사결정학습과 문제해결학습, ...
- [그림책][포스트모더니즘][유아언어교육][그림책의 읽어주기]그림책의 정의, 그림책의 특징, ...
- 가족생활교육과 가치
- 가족생활교육에서의 가치와 다양성
- 교육의 가치
- 국어교육_ 소설교육에서 가치탐구활동의 설계
- [놀이지도] 놀이의 교육적 가치 - 놀이와 영유아교육과정, 놀이와 교육과정 연계의 장점과 방법
- [한국전통문화] 김홍도의 풍속화에 나타나는 조선 후기의 풍습의 단면(교육문화, 혼례문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