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정치, 사회적 상황과 사건을 반영한 대중가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대, 정치, 사회적 상황과 사건을 반영한 대중가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범위

Ⅱ. 이론적 배경
1. 대중가요의 정의 및 특징
2. 대중가요의 가사에 반영된 사회상

Ⅲ. 대중가요로 보는 사회상
1. 일제 강점기 시대와 한국전쟁시기
2. 1970년대
3. 1980년대
4. 1990년대
5. 2000년대

Ⅳ. 결론

본문내용

더불어 장르와 내용 등에서 광범위하게 창작발표되고 사람들의 입을 통해 불리고 있다.
대중가요는 ‘노래’라는 측면에서 리듬이나 멜로디 등과 같은 음악적인 측면과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노랫말, 그 가사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제목 등과 같은 언어적인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1950년대와 60년대의 트로트, 1970년대의 포크, 1980년대의 디스코와 락, 1990년대의 랩, 오늘날의 테크노 등은 각 시대의 주류를 이루던 대표적인 음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주류 음악들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 노래가 모두 한국어로 된 노랫말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동일 언어의 사용을 통해 문화를 공유하며, 그러한 공유된 문화는 사람들의 심리특성을 담지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로 기술된 노랫말 속에는 한국인의 공유된 문화 및 심리특성들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향가나 고려가요, 시조 가사(歌辭) 등이 사료(史料)적으로 가치(價値)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것처럼, 오늘날의 대중가요도 그러한 자료(資料)로서 기능(機能)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사건 상황이나 문화를 나타낸 대중가요를 찾아보고
가사를 살펴보고자 한다.
2. 연구 범위
대중가요가 나타나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 시기는 일제시대이다. 따라서 본연구의 범위를 일제시대에서부터 2000년도까지로 하였으며, 이를 일제강점기시대와 한국전쟁시기,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로 나누어 시대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대중가요의 정의 및 특징
1) 대중가요의 정의
근대 이후 대중매체에 의해 전달되면서 나름의 작품적 관행을 지닌 서민들의 노래 이영미,『한국 대중가요사』, 시공사, 1998, p.19.
2) 대중가요의 특징
대중가요, 특히 대중적 인기를 누린 대중가요는 그들 작품이 당대 이를 선택한 대중들의 사회심리, 욕망과 조응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고 대중의 경험과 관심사, 인식과 정서, 욕망 등을 어떤 식으로든 드러냄으로써 대중과의 공감대를 이루며, 특히 오랫동안 많은 대중 대중들과 함께 있어왔던 대중의 욕망과 경험, 사고방식과 정서들을 매우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적실하게 드러낸다 이영미, 앞의 책, p.18.
▶대중가요의 특징을 다음의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영미, 앞의 책, p.19.
① 대중가요는 근대사회의 산물이다. 그런 점에서 전근대 시대의 공동체를 바탕으로 하는 서민들의 노래인 민요와 달리 도시의 대중으로부터 수용 층을 넓혀 나갔다.
② 음반 매체나 방송매체 등 대중매체를 주 전달 매체로 삼고 있으므로, 구비 전승되는 예술의 적층성을 갖고 있지 않으며 창작자와 오리지낼리티가 비교적 분명하다. 또한 대량복제, 대량생산됨으로써 음반 산업의 이윤추구의 논리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으며 당연히 매우 전문적인 예술이다.
③ 일제시대 이래 새로 만들어진 대중가요 나름의 작품 관행을 지니고 있다. 대중가요는 한국 전통 음악의 노래도 아니고 서양식 고급음악과도 다른(물론 둘 다의 영향을 받기는 했지만)나름의 작품적 전통을 지니고 있다.
④ 대중가요는 서민문화(popular culture)에 속한다. 대중가요는 특정한 상층 귀족이나 엘리트의 예술이 아니다. 대중가요는 지배적인 노래문화이므로 당대 대중들에게 광범위하게 유포되고 수용된다. 특정 집단에 들어가야만 향유할 수 있는 구전가요나 민중가요 같은 하위문화들과 달리 대중가요는 그 사회를 살아가면 누구나 예외 없이 향유하고 익히게 되는 노래문화이다
2. 대중가요의 가사에 반영된 사회상
노랫말은 음률에 그 의미를 실어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의 기능과 유사하다. 따라서 노랫말은 정서 마음 의식 사고 가치관태도 등을 표현하고 수용하는 의사소통의 역할을 담당하며, 이를 통해서 창작자와 수용자들의 공감을 형성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언어는 사상(事狀)을 표현하는 일상 및 사회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기호이며, 모든 기호는 그 지칭하는 기호와 그와 관련된 해석내용, 그리고 그 지칭대상을 가지고 있다.(Saussure) 따라서 그 해석내용은 기호의 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의미이며, 이는 또 다른 의미를 생산하는 기호로 작용한다. 대중가요의 가사(歌詞)는 언어이자 기호로서 해석내용에 다른 의미를 산출하며, 노랫말을 통해 생성된 의미는 노래를 향유하는 사회구성원들과 공유된다. 이러한 공유된 의미는 결코 역사-문화적인 환경과 무관하지 않으며, 동시에 현재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특정 소설이나 저술, TV 드라마가 인기를 얻는 것은 그 내용이 그 시기의 어떤 사회적심리적 현상에 영합되기 때문인데, 특정 노래가 인기를 얻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일 것이다. 따라서 한국 대중가요 가사를 통해서 일제 강점기 시대부터 지금까지의 노랫말 속에 비춰진 사람들의 공유된 의미, 사회심리적 현상을 추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Ⅲ. 대중가요로 보는 사회상
1. 일제 강점기 시대와 한국전쟁시기
1) 일제 강점기 시대
일제 강점기 시대의 대중가요는 당대를 살아가던 우리 민족의 애환을 생생하게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 대다수이다.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성격, 특히 일제의 민족 탄압과 민족 문화를 말살하려는 문화 정책 아래서 주로 창작된 대중가요는 당시의 많은 시인들이 작사가로 참여하여 우리 민족과 대중들의 삶과 나라를 잃은 슬픔을 표현하고 있다.
(1) 망국의 슬픔, 향수와 조국에 대한 그리움
▶ 이애리수 「황성 옛터」
황성 옛터에 밤이 되니 월색만 고요해 / 폐허의 설운 회포를 말하여 주노나 / 아 외로운 저 나그네 홀로 잠 못 일워 / 구슬픈 벌레 소리에 말없이 눈물져요
⇒ 노래해석: 우리 겨레의 망국의 슬픔이 은유된 노래
▶ 고복수 「타향살이」
타향살이 몇 해던가 / 손꼽아 헤어보니 / 고향 떠나 십여 년에 / 청춘만 늙어
고향 앞에 버드나무 / 올 봄도 푸르련만 / 버들피리 꺾어 불던 / 그때가 옛날
⇒ 노래해석: 정든 고향산천을 떠나온 이향민(離鄕民)의 억제할 수 없는 향수와 조국에 대한 그리움
(2) 식민지 시대의 설움
▶ 「방랑가」
피 식은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11.1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09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