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문제 제기
1.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 본론
2.1 연극의 기원
2.2 연극에 대한 비뚤어진 생각들
2.2.1 연극은 고급문화이다??
2.2.2 연극은 비싸다?
2.3 연극보러 가자~!!
2.3.1 나에게 꼭 맞는 연극&공연은?
2.3.2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연극
2.4 연극관람. 어떻게?
2.4.1 연극관람 예절.
2.4.2 연극은 엿장수 마음대로 보라.
3 결론
4 참고문헌
1.1 연구의 문제 제기
1.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 본론
2.1 연극의 기원
2.2 연극에 대한 비뚤어진 생각들
2.2.1 연극은 고급문화이다??
2.2.2 연극은 비싸다?
2.3 연극보러 가자~!!
2.3.1 나에게 꼭 맞는 연극&공연은?
2.3.2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연극
2.4 연극관람. 어떻게?
2.4.1 연극관람 예절.
2.4.2 연극은 엿장수 마음대로 보라.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꿉놀이 안한 아이는 없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하는 소꿉놀이, 병원놀이, 인형놀이가 연극이고, 재롱잔치때 하였던 것들이 다 연극적 요소를 가지고 있던 것이다.
이렇게 연극이 없는 삶은 없다. 연극이란 절대 멀리있는 어려운 것이 아니다.
단지 어려운 고급문화여서 연극을 접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연극에 대해 관심이 없고 연극공연장을 찾지 않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은 연극을 찾지 않는 것이다.
2.3.2 연극은 비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연극을 고급한 사치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요즘 연극입장료는 대학생 경우 보통 12천원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세종문화회관에서 하는 대규모의 화려한 공연은 보통3~4만선을 하고 있다.
이런 가격들은 분명 학생들이 즐겨하는 영화에 비해 가격이 두 세 배정도 비쌀 수 있다. 하지만 연극이 영화보다 비싼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연극은 기계로 찍어내는 공산품이 아니기 때문이다.
대중문화, 다시 말해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예술 문화들은 마치 공장에서 똑같은 물건을 대량 생산해내는 공산품이라면, 연극은 같은 품목이라도 일일이 처음부터 끝까지 손으로 만들어내는 수공업품 같은 물건이다. 그러니 당연히 비쌀 수밖에 없다. 사람 품값, 정성이 값이 더 들어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극은 비싼 만큼 더 영화보다 커다란 감동이 있다. 매 공연마다사람이 직접하는 정성이 있고, 그들의 사람냄새가 있다. 소극장의 경우 코앞에 사람이 나와서 살아있는 연극을 하고 나는 그 앞에서 배우와 함께 숨을 쉬고 연극 하나하나에 반응한다. 이런 것이 영화와 다른 특별한 연극의 재미고 맛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연극은 사실적으로 영화보다 비싸다. 하지만 연극을 비싸서 못 본다는 말을 거짓말이다. 보통의 대학생들의 수입이 아닌 지출 세목을 생각해보자.
영화 한편을 보려면? 그것도 7천원이다. 게다가 주말엔 많은 멀티플렉스 영화관이 8천원을 받는다. 이렇게 생각해보자. 이 가격은 충분히 연극보다 싸다. 하지만 한달에 영화는 보통 3~4편을 본다. 싼대신 지출의 빈도가 높은 것이다. 왜 7천원하는 영화는 한달에 3~4편을 보면서 12천원짜리 대학로에 깔려있는 연극은 비싸기 때문에 일년에 한두편도 안본단 말인가.
그뿐인가. 일상적으로 지출하는 노래방 값, 담배가격과 술자리에서 지출하는 돈, 거기다가 일년에 몇 번은 사게되는 비싼 옷 값을 생각하면, 연극값은 그야말로 껌값이다.
그리고 연극을 꼭 12천원에 보는 바보같은 대학생은 없다. 모두가 아는 사랑티켓과 여러 가지 할인티켓, 그리고 발에 채이는 할인 해택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연극은 절대로 비싼 사치품 같은 존재는 아니다.
2.4 연극보러 가자~!!
연극을 보러가려고 하지만 그 많은 연극중에 어떤 종류가 있는지 많은 학생들이 알지 못한다. 지금부터 어떤 연극 종류가 있는지, 어떻게 연극를 저렴하게 볼수 있고, 특별하게 즐길수 있는지 말해보려 한다.
2.4.1 나에게 꼭 맞는 연극&공연은?
① 난 특별한게 좋아. 남들과 다른 공연이 보고 싶어요. 소리도 지르고 싶고 뛰어다니는 활동적인게 필요해~!! ⇒ 퍼포먼스 & 마당극
퍼포먼스의 뜻은 대충 전시되는 미술 조각품같은것과 달리 사람이나 물건이 참여하여 예술적 작품이 되는 공연적인 예술을 말하는거라 할수 있다. 요즘 어느순간부터 난타나 델리구아다같은 Non-Verbal 퍼포먼스 가 유행하고 있다. Non-Verbal Perfomance란 아무런 대사없이 리듬과 비트로만 구성된 장르를 말한다.
난타는 역동적이고 음악과 사람들의 강렬한 행위로 관객들에게 원시적 폭발력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힘과 속도감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nanta.co.kr
전반적으로 이들 공연들은 리듬과 비트로 구성된 작품이면서도 뚜렷한 줄거리와 드라마가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델리구아나 같은 경우에는 관객들과 함께 야단법석을 부리는 토털 포퍼먼스가 인상적이다 파이넨셜뉴스
같이 소리지리고 날라다니는 이런 공연은 젊은 학생들의 에너지를 방출하기 더없이 훌륭한 기회가 될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퍼포먼스와는 분위기가 예매하게 비슷한, 관객활동이 활발한 우리민속극인 마당극이 있다. 마당극도 위의것과 같은 공연장에서의 관객과 무대가 일치되는 분위기의 연극이다. 대학교에 들어와 급격히 줄어든 부모님과의 사이 이런 마당극 한편을 함께 보는 것도 뜻깊을 것이다.
② 연극만으로는 부족해. 음악이 함께하는 예술적 무대를 보여주세요. ⇒ 뮤지컬&오페라
뮤지컬이나 오페라는 대사를
이렇게 연극이 없는 삶은 없다. 연극이란 절대 멀리있는 어려운 것이 아니다.
단지 어려운 고급문화여서 연극을 접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연극에 대해 관심이 없고 연극공연장을 찾지 않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은 연극을 찾지 않는 것이다.
2.3.2 연극은 비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연극을 고급한 사치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요즘 연극입장료는 대학생 경우 보통 12천원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세종문화회관에서 하는 대규모의 화려한 공연은 보통3~4만선을 하고 있다.
이런 가격들은 분명 학생들이 즐겨하는 영화에 비해 가격이 두 세 배정도 비쌀 수 있다. 하지만 연극이 영화보다 비싼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연극은 기계로 찍어내는 공산품이 아니기 때문이다.
대중문화, 다시 말해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예술 문화들은 마치 공장에서 똑같은 물건을 대량 생산해내는 공산품이라면, 연극은 같은 품목이라도 일일이 처음부터 끝까지 손으로 만들어내는 수공업품 같은 물건이다. 그러니 당연히 비쌀 수밖에 없다. 사람 품값, 정성이 값이 더 들어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극은 비싼 만큼 더 영화보다 커다란 감동이 있다. 매 공연마다사람이 직접하는 정성이 있고, 그들의 사람냄새가 있다. 소극장의 경우 코앞에 사람이 나와서 살아있는 연극을 하고 나는 그 앞에서 배우와 함께 숨을 쉬고 연극 하나하나에 반응한다. 이런 것이 영화와 다른 특별한 연극의 재미고 맛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연극은 사실적으로 영화보다 비싸다. 하지만 연극을 비싸서 못 본다는 말을 거짓말이다. 보통의 대학생들의 수입이 아닌 지출 세목을 생각해보자.
영화 한편을 보려면? 그것도 7천원이다. 게다가 주말엔 많은 멀티플렉스 영화관이 8천원을 받는다. 이렇게 생각해보자. 이 가격은 충분히 연극보다 싸다. 하지만 한달에 영화는 보통 3~4편을 본다. 싼대신 지출의 빈도가 높은 것이다. 왜 7천원하는 영화는 한달에 3~4편을 보면서 12천원짜리 대학로에 깔려있는 연극은 비싸기 때문에 일년에 한두편도 안본단 말인가.
그뿐인가. 일상적으로 지출하는 노래방 값, 담배가격과 술자리에서 지출하는 돈, 거기다가 일년에 몇 번은 사게되는 비싼 옷 값을 생각하면, 연극값은 그야말로 껌값이다.
그리고 연극을 꼭 12천원에 보는 바보같은 대학생은 없다. 모두가 아는 사랑티켓과 여러 가지 할인티켓, 그리고 발에 채이는 할인 해택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연극은 절대로 비싼 사치품 같은 존재는 아니다.
2.4 연극보러 가자~!!
연극을 보러가려고 하지만 그 많은 연극중에 어떤 종류가 있는지 많은 학생들이 알지 못한다. 지금부터 어떤 연극 종류가 있는지, 어떻게 연극를 저렴하게 볼수 있고, 특별하게 즐길수 있는지 말해보려 한다.
2.4.1 나에게 꼭 맞는 연극&공연은?
① 난 특별한게 좋아. 남들과 다른 공연이 보고 싶어요. 소리도 지르고 싶고 뛰어다니는 활동적인게 필요해~!! ⇒ 퍼포먼스 & 마당극
퍼포먼스의 뜻은 대충 전시되는 미술 조각품같은것과 달리 사람이나 물건이 참여하여 예술적 작품이 되는 공연적인 예술을 말하는거라 할수 있다. 요즘 어느순간부터 난타나 델리구아다같은 Non-Verbal 퍼포먼스 가 유행하고 있다. Non-Verbal Perfomance란 아무런 대사없이 리듬과 비트로만 구성된 장르를 말한다.
난타는 역동적이고 음악과 사람들의 강렬한 행위로 관객들에게 원시적 폭발력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힘과 속도감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nanta.co.kr
전반적으로 이들 공연들은 리듬과 비트로 구성된 작품이면서도 뚜렷한 줄거리와 드라마가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델리구아나 같은 경우에는 관객들과 함께 야단법석을 부리는 토털 포퍼먼스가 인상적이다 파이넨셜뉴스
같이 소리지리고 날라다니는 이런 공연은 젊은 학생들의 에너지를 방출하기 더없이 훌륭한 기회가 될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퍼포먼스와는 분위기가 예매하게 비슷한, 관객활동이 활발한 우리민속극인 마당극이 있다. 마당극도 위의것과 같은 공연장에서의 관객과 무대가 일치되는 분위기의 연극이다. 대학교에 들어와 급격히 줄어든 부모님과의 사이 이런 마당극 한편을 함께 보는 것도 뜻깊을 것이다.
② 연극만으로는 부족해. 음악이 함께하는 예술적 무대를 보여주세요. ⇒ 뮤지컬&오페라
뮤지컬이나 오페라는 대사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