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의 발전방안.(아름다운재단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go의 발전방안.(아름다운재단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않기 때문에, 전국적인 활동에 어려움을 띄고 있다 단일체적 조직의 성격을 띄기 때문에, 전국적인 운영에 어려움을 띄고 있다.
②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 전국에 지부를 두고 있는 연합체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 따라서 전국적인 사업 활동에 있어서 용이하다. 그러나 전국의 지부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출범과 동시에 생겨났기 때문에, 중앙집권적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 하부조직이기는 하나 지역의 지부는 각 지역단체와의 관계 속에 별적인 조직의 성격을 띄고 있다.
3. 강점 및 약점 ( SWOT분석 )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선진국에서 성공한 지역재단 모델 *운영능력 및 마케팅능력의 부족
*온라인 측면에서의 철저한 사후관리 *가치측면 추구로 효율성 측면 추구의 어려움
*이사진의 높은 사회적 인지도 *내부의 전문시스템 미흡
*재단의 높은 브랜드 value *배분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능력 부족
*기업과의 win-win partner 프로그램 *off-line에서의 사후관리 부족
*아름다운재단의 높은 이미지 *기금종류의 다양함과 복잡한 재정운영에 따른 *재정관리의 전문성 통합성 결여
*재정공개를 통한 투명성 확보 *시민심사단의 현장실사에 따른 배분의 지연
ERP(전산적 자원관리 ERP시스템은 아이디를 부여받은 당원이라면 누구나 온라인으로 당의 자금운용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개방형 SAP 솔루션이 적용.
)
*수평적 조직구조를 통한 활발한 의사활동
Opportunity (기회) Threat (위협)
*기부 문화에 대한 상황과 인식변화 *전문적 인재의 부족
*새로운 형식의 기부시스템 도입 *전문인력 양성 기관 부족
*기업의 공익연계 마케팅 확산 추세 *기부문화에 대한 불신 및 신뢰도 부족
*정부로부터의 독립적인 운영형태 *모금활동에 대한 경쟁
*대중적인 콘서트나 이벤트 전개
Ⅴ. 아름다운재단을 통해 본 NGO의 발전방안
NGO란 Non Government Organization의 약자로서 비정부적 기관이라 뜻하고 있으며, 곧 시민단체를 NGO라 칭하고 있다. NGO는 보통 비정부적이며 비영리를 원칙으로 하는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단체를 의미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NGO단체들은 점점 더 권력화 세속화가 돼어가고있고, 많은 부정부패 비리를 양산하고 있으며 정부의 지원에 의지를 함으로써 정부권력에 예속화 되어가고 있다. 그 결과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잃어가고, NGO단체들은 정부의 정책에 대한 견제 감시 기능의 지지기반을 잃어버림과 동시에 정부의 눈치만 살피는 보조적인 역할에 머무르고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아름다운재단과 같은 정부와의 차별성을 내세우는 순수 민간 NGO개념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타 NGO단체와 아름다운재단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정부의 지원이 전혀 없이 자체 수익창출로 통해 운영을 하는 순수한 민간단체라는 점이다. 그 동안 많은 NGO단체들은 정부의 지원이라는 족쇄로 인해 NGO의 주요기능인 정부에 대한 견제기능 감시기능 활동에 상당부분 제약이 따랐고, 또한 정권의 변화에 따라 시국의 변화에 따라 그 활동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 지금까지 NGO단체들은 그 목소리를 정확히 낼 수 없었다. 물론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는 것이 무조건 나쁘다는 흑백논리는 버려야 하겠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정부와 NGO 단체 간의 관계에서 특별하고 확립된 지원시스템이나 법적제도, 인식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의 지원에 대한 의존은 곧 정부권력의 예속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NGO단체들은 정부의 지원에만 의존할 것이 아닌 자체 재정확보 활동과 재정의 투명성, 지도부의 건전성을 바탕으로 일반국민들의 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하고, 영세단체들을 위한 공동 회계감사지원과 같은 제도를 통해 자기 통제에 따라 국민의 신뢰를 확보해야할 것이다. 또한 하향식 의사결정이 아닌 수평적 조직 구조를 통한 상향식 의사결정 구조로 한사람만의 단체가 아닌 국민들을 위한 국민들의 단체가 되어야할 것이다.
Ⅵ. 맺음말
지난 반세기에 걸쳐 NGO단체들은 사회적 요구에 따라 급속도로 증가하고 성장하여왔다. 그에 따른 빈부의 격차문제와 사회복지의 분야 등 사회전반 분야에 걸쳐 긍정적 작용과 부정적 작용 등 많은 역할을 해왔다. 또한 앞으로 그 역할은 더욱 더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그에 따라 NGO단체들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사회적 책임, 높은 신뢰에 대한 요구도 비례해서 커져갈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NGO단체들은 각 장점들을 기반으로 사회 각 분야의 긍정적 발전에 힘써야할 것이고, 그것이 또한 NGO단체의 본연의 임무일 것이다.
※ 참고 문헌 및 사이트
http://www.kpil.org/ (공익 변호사그룹 공감)
http://www.beautifulfund.org/ (아름다운재단)
http://www.chosun.com/ (조선일보)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http://www.khan.co.kr/ (경향신문)
www.babydasom.org (이른둥이 전문 웹사이트)
http://www.mw.go.kr/ (보건복지 가족부)
http://www.nanet.go.kr/ (국회 도서관)
http://www.segye.com/Articles/NEWS/SOCIETY/Article.asp?aid=20081109002077&subctg1=&subctg2= ( 시민단체 재정현황 )
http://www.segye.com/Articles/NEWS/SOCIETY/Article.asp?aid=20081109002200&subctg1=&subctg2= ( 시민단체 재정공개 입장 )
http://www.beautifulfund.org/foundation/files/images/introduce/AnnualReport_2007.pdf
(아름다운 재단 가계부)
김준기, 『정부와 NGO』, 박영사, 2006
아름다운 재단 編,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실태조사”, 울산발전 통권 제5호 (2004. 봄)
박상필, 『NGO학 강의』, 아르케, 2007
배영옥, “한국의 기부문화에 대한 연구 :아름다운재단 사례를 중심으로”
목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8.11.18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2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