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콜럼버스의 지리상의 발견, 그 실체
2.1. 일반화된 콜럼버스와 그의 업적
2.1.1. 꿈과 신념의 탐험가 콜럼버스
2.1.2. 신항로 개척의 비전 제시
2.1.3. 신항로 개척의 결과
2.2. 신대륙 탐험의 주목적
2.3. ‘발견’이라는 용어의 문제점
2.4. 아메리카 및 신대륙의 파괴
3. 결론
4. 참고문헌
2. 콜럼버스의 지리상의 발견, 그 실체
2.1. 일반화된 콜럼버스와 그의 업적
2.1.1. 꿈과 신념의 탐험가 콜럼버스
2.1.2. 신항로 개척의 비전 제시
2.1.3. 신항로 개척의 결과
2.2. 신대륙 탐험의 주목적
2.3. ‘발견’이라는 용어의 문제점
2.4. 아메리카 및 신대륙의 파괴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어 버렸다.
이어 콜롬버스는 11월 19일는 푸에르토리코에 상륙하였다. 그는 그가 발견한 곳을 인도라고 착각하고 \"서인도\"라 하였으며 원주민을 인도사람, 즉, \"인디안\"(Indian) 이라 명명했다.
콜럼버스는 1493 년 9 월 25일 그의 기함 Mariagalante호와 16 척의 배와 선원, 군인, 이주민, 사무원, 법원판사 등 1,200 명을 대동하고 식민을 목적으로 Cadiz항을 출발하여 2차 항해를 떠난다.
11월 3일, 도미니카, 자마이카, 과테말라를 발견하였는데 콜럼버스는 이 곳을 일본의 부근에 있는 섬으로 착각했다. 또한 11월 27일에는 Hispaniola에 남겨둔 그의 선원들이 인디안에 의해 살해된 것을 발견했고, Santo Domingo을 최초의 식민지로 삼고 총독이 되었다.
콜럼버스는 1496년 7월 31일 스페인 Cadiz항에 귀국했다. 그는 1498년 5월 30일 6척의 배와 함께 중국을 찾기 위해 남쪽으로 3 차 항해하였으나, 아메리카 대륙 본토에 상륙하였다. 그곳은 지금의 남미 북단 트리니다드, 토바코, 그라나다, 마가리타 등 이다.
그 후, 1502년 5월 9일 4척의 배와 선원 150명을 데리고 Cadiz항을 4 차 항해 출발 해 1503년 1월 6일 오늘날 중앙아메리카 파나마를 발견하였다.
하지만 이 후 귀족들과의 불화로 그의 큰 뜻을 다펴지 못한 채, 실의 속에서 그가 발견한 땅을 인도라고 믿으며 1505년 세상을 떠났다.
2.1.2. 신항로 개척의 비전제시
1492년 콜럼버스는 희망봉을 발견한 바르톨로뮤 디아스와는 달리, 대서양을 가로질러 그가 인도라고 믿는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였다.
콜럼버스는 이 신항로 개척을 통해 지구는 둥글다고 믿는 그의 신념을 완성함과 더불어, 중금주의가 성행하고 있는 당시 유럽에서는 그의 새로운 항로 개척을 매우 놀라운 발견으로 받아들였다. 이를 계기로 황금을 찾아 나선 유럽인들의 항해가 시작된 것이다. 1498년 바스코 다 가마 역시 대서양을 가로 질러 인도 항로를 개척하였으며, 그로 인해 콜럼버스가 발견한 대륙이 인도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다. 또한 이들은 인도와 아메리카 대륙에서 대대적인 황금과 지하자원을 착취하는 작업을 통해 국가에 막대한 이익을 남기려 했다. 마지막으로 마젤란이 3년에 걸쳐 세계 일주를 하면서 지구는 둥글다는 것을 몸소 증명했다.
콜럼버스의 발견한 대륙이 비록 인도는 아니었지만, 대서양을 가로질러 대륙을 발견한 것 자체가 유럽인들의 신항로 개척에 대한 비전을 마련해 주었다. 또한 신항로 개척을 계기로 문명 간의 교류와 소통이 활발해져 실제로 체감하는 세계는 더욱 좁아지고 하나의 세계사가 시작되고 할 수 있다.
즉, 콜럼버스와 그 이후 항해자들의 모험은 그 목적과는 상관없이 신대륙과 신항로를 유럽과 전 세계에 알리는데 공헌 했다고 할 수 있다.
2.1.3. 신항로 개척의 결과
크게 포르투갈과 에스파냐에서만 약 5개의 신항로 개척으로 유럽에서는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실제로 이 ‘엄청난 변화’는 물론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에 다르게 나타나지만 여기서는 일반화된 유럽의 입장에서 서술해보았다. 먼저, 콜럼버스를 통해 신대륙을 발견한 에스파냐는 중앙 남아메리카에서 대규모의 금 은광을 만들어 막대한 양의 귀금속을 유럽으로 가져왔다. 1520~1860년에 에스파냐에 수입된 은은 18,000 t 이나 되었으며, 금도 200 t 이 넘었다. 당시 유럽의 화폐는 금화나 은화였으므로 이러한 귀금속의 대량 유입은 곧바로 유럽의 화폐 가치를 하락시켜 물가의 앙등을 초래하였다. 그리하여 유럽의 물가는 16세기 약 1세기 동안에 평균 2~4배가량 상승했는데, 이것은 당시로 볼 때 엄청난 상승이었기 때문에 가격혁명(the price revolution)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이러한 가격 혁명은 임금 노동자나 고정된 지대로 생활하는 지주에게는 불리했으나, 상인이나 수공업자에게는 유리하게 작용하여 자본의 축적에 이바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신항로 개척이후 발전 양상은 유럽대륙에서도 두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다. 신항로의 선발 주자인 에스파냐와 포르투갈은 처음에는 막대한 양의 금을 축적했지만 나중에는 상업 혁명이라기보다는 상업 난에 시달리게 된다. 이들은 산업 기반을 발전시키지 않고 부만을 축적하는 중금 주의적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에 지나친 인플레이션으로 경제가 침체되어 에스파냐의 무적함대의 패배 뿐만 아니라 이러한 피해 역시 몰락의 원인이 되고 만다. 그러나 신항로 개척의 후발 주자인 영국과 네덜란드의 경우에는 자신들의 부를 축적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시장 개척에 나서게 된다. 결국, 선발주자와 후발주자의 차이점은 두 쪽 모두 화폐의 가치가 하락한 것은 맞지만 후발주자의 경우 이를 적극적인 투자를 해서 상업자본주의에서 산업자본주의로 발전시킨다. 단순히 돈이 아닌 사업을 위한 밑천을 대는 것이다. 그리고 인클로저 운동 주로 영국에서 볼 수 있었던 토지경영의 현대화 현상으로, 둘러치는 토지의 종류 ·목적, 그리고 방법 등도 가지가지였다. 제1차는 곡물생산보다는 당시 이미 농촌에서 널리 전개되고 있던 모직공업(毛織工業)을 위한 양모생산이 더 유리한 데서 경지를 목장으로 전환, 그리고 그것을 위해 공유지(共有地)와 농민보유지(農民保有地)를 둘러싸는 일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로 말미암아 파생된 농민의 실업과 이농(離農) 현상, 농가의 황폐, 빈곤의 증대는 인클로저에 대한 통렬한 비난을 불러일으켰다. 그런데 17세기 중엽 이후에는 경작능률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방경지(開放耕地)와 공유지의 둘러싸기와 식부면적(植付面積)을 늘리기 위한 미개간지의 둘러싸기가 대규모로 행하여졌는데, 특히 18세기 중엽 이후에는 산업혁명으로 농산물 수요가 급증하게 되어 이런 방법의 둘러싸기가 더욱 촉진되었다. 더욱이 제1차 때와 달리 정부는 그 촉진을 위해 힘썼고, 의회를 통해 합법적으로 시행되기도 했다. 의회를 통한 둘러싸기는 의회 둘러싸기로 불리었으나 1760년대로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840년대까지 계속되다가 1845년 이후 쇠퇴하였다.
을 통해 면직물의 수요 증가로 기존의 농토에 목장을 경영하게 되어 기존의 농민들을 내
이어 콜롬버스는 11월 19일는 푸에르토리코에 상륙하였다. 그는 그가 발견한 곳을 인도라고 착각하고 \"서인도\"라 하였으며 원주민을 인도사람, 즉, \"인디안\"(Indian) 이라 명명했다.
콜럼버스는 1493 년 9 월 25일 그의 기함 Mariagalante호와 16 척의 배와 선원, 군인, 이주민, 사무원, 법원판사 등 1,200 명을 대동하고 식민을 목적으로 Cadiz항을 출발하여 2차 항해를 떠난다.
11월 3일, 도미니카, 자마이카, 과테말라를 발견하였는데 콜럼버스는 이 곳을 일본의 부근에 있는 섬으로 착각했다. 또한 11월 27일에는 Hispaniola에 남겨둔 그의 선원들이 인디안에 의해 살해된 것을 발견했고, Santo Domingo을 최초의 식민지로 삼고 총독이 되었다.
콜럼버스는 1496년 7월 31일 스페인 Cadiz항에 귀국했다. 그는 1498년 5월 30일 6척의 배와 함께 중국을 찾기 위해 남쪽으로 3 차 항해하였으나, 아메리카 대륙 본토에 상륙하였다. 그곳은 지금의 남미 북단 트리니다드, 토바코, 그라나다, 마가리타 등 이다.
그 후, 1502년 5월 9일 4척의 배와 선원 150명을 데리고 Cadiz항을 4 차 항해 출발 해 1503년 1월 6일 오늘날 중앙아메리카 파나마를 발견하였다.
하지만 이 후 귀족들과의 불화로 그의 큰 뜻을 다펴지 못한 채, 실의 속에서 그가 발견한 땅을 인도라고 믿으며 1505년 세상을 떠났다.
2.1.2. 신항로 개척의 비전제시
1492년 콜럼버스는 희망봉을 발견한 바르톨로뮤 디아스와는 달리, 대서양을 가로질러 그가 인도라고 믿는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였다.
콜럼버스는 이 신항로 개척을 통해 지구는 둥글다고 믿는 그의 신념을 완성함과 더불어, 중금주의가 성행하고 있는 당시 유럽에서는 그의 새로운 항로 개척을 매우 놀라운 발견으로 받아들였다. 이를 계기로 황금을 찾아 나선 유럽인들의 항해가 시작된 것이다. 1498년 바스코 다 가마 역시 대서양을 가로 질러 인도 항로를 개척하였으며, 그로 인해 콜럼버스가 발견한 대륙이 인도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다. 또한 이들은 인도와 아메리카 대륙에서 대대적인 황금과 지하자원을 착취하는 작업을 통해 국가에 막대한 이익을 남기려 했다. 마지막으로 마젤란이 3년에 걸쳐 세계 일주를 하면서 지구는 둥글다는 것을 몸소 증명했다.
콜럼버스의 발견한 대륙이 비록 인도는 아니었지만, 대서양을 가로질러 대륙을 발견한 것 자체가 유럽인들의 신항로 개척에 대한 비전을 마련해 주었다. 또한 신항로 개척을 계기로 문명 간의 교류와 소통이 활발해져 실제로 체감하는 세계는 더욱 좁아지고 하나의 세계사가 시작되고 할 수 있다.
즉, 콜럼버스와 그 이후 항해자들의 모험은 그 목적과는 상관없이 신대륙과 신항로를 유럽과 전 세계에 알리는데 공헌 했다고 할 수 있다.
2.1.3. 신항로 개척의 결과
크게 포르투갈과 에스파냐에서만 약 5개의 신항로 개척으로 유럽에서는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실제로 이 ‘엄청난 변화’는 물론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에 다르게 나타나지만 여기서는 일반화된 유럽의 입장에서 서술해보았다. 먼저, 콜럼버스를 통해 신대륙을 발견한 에스파냐는 중앙 남아메리카에서 대규모의 금 은광을 만들어 막대한 양의 귀금속을 유럽으로 가져왔다. 1520~1860년에 에스파냐에 수입된 은은 18,000 t 이나 되었으며, 금도 200 t 이 넘었다. 당시 유럽의 화폐는 금화나 은화였으므로 이러한 귀금속의 대량 유입은 곧바로 유럽의 화폐 가치를 하락시켜 물가의 앙등을 초래하였다. 그리하여 유럽의 물가는 16세기 약 1세기 동안에 평균 2~4배가량 상승했는데, 이것은 당시로 볼 때 엄청난 상승이었기 때문에 가격혁명(the price revolution)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이러한 가격 혁명은 임금 노동자나 고정된 지대로 생활하는 지주에게는 불리했으나, 상인이나 수공업자에게는 유리하게 작용하여 자본의 축적에 이바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신항로 개척이후 발전 양상은 유럽대륙에서도 두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다. 신항로의 선발 주자인 에스파냐와 포르투갈은 처음에는 막대한 양의 금을 축적했지만 나중에는 상업 혁명이라기보다는 상업 난에 시달리게 된다. 이들은 산업 기반을 발전시키지 않고 부만을 축적하는 중금 주의적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에 지나친 인플레이션으로 경제가 침체되어 에스파냐의 무적함대의 패배 뿐만 아니라 이러한 피해 역시 몰락의 원인이 되고 만다. 그러나 신항로 개척의 후발 주자인 영국과 네덜란드의 경우에는 자신들의 부를 축적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시장 개척에 나서게 된다. 결국, 선발주자와 후발주자의 차이점은 두 쪽 모두 화폐의 가치가 하락한 것은 맞지만 후발주자의 경우 이를 적극적인 투자를 해서 상업자본주의에서 산업자본주의로 발전시킨다. 단순히 돈이 아닌 사업을 위한 밑천을 대는 것이다. 그리고 인클로저 운동 주로 영국에서 볼 수 있었던 토지경영의 현대화 현상으로, 둘러치는 토지의 종류 ·목적, 그리고 방법 등도 가지가지였다. 제1차는 곡물생산보다는 당시 이미 농촌에서 널리 전개되고 있던 모직공업(毛織工業)을 위한 양모생산이 더 유리한 데서 경지를 목장으로 전환, 그리고 그것을 위해 공유지(共有地)와 농민보유지(農民保有地)를 둘러싸는 일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로 말미암아 파생된 농민의 실업과 이농(離農) 현상, 농가의 황폐, 빈곤의 증대는 인클로저에 대한 통렬한 비난을 불러일으켰다. 그런데 17세기 중엽 이후에는 경작능률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방경지(開放耕地)와 공유지의 둘러싸기와 식부면적(植付面積)을 늘리기 위한 미개간지의 둘러싸기가 대규모로 행하여졌는데, 특히 18세기 중엽 이후에는 산업혁명으로 농산물 수요가 급증하게 되어 이런 방법의 둘러싸기가 더욱 촉진되었다. 더욱이 제1차 때와 달리 정부는 그 촉진을 위해 힘썼고, 의회를 통해 합법적으로 시행되기도 했다. 의회를 통한 둘러싸기는 의회 둘러싸기로 불리었으나 1760년대로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840년대까지 계속되다가 1845년 이후 쇠퇴하였다.
을 통해 면직물의 수요 증가로 기존의 농토에 목장을 경영하게 되어 기존의 농민들을 내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담배 패키지 디자인 발전사
상점이 EC를 선택한 까닭은?
기호식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현대인의 기호식품(담배, 술 등)
흡연과 금연에 관한 보고서
기호식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식초가 몸에 좋은데 이유가 있다
[우수 평가 자료] 세계는 평평하다 서평-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양 미술사 - E. H.
[흡연][간접흡연][여성흡연][청소년흡연][금연][금연방법][담배][흡연률][여성흡연률][금연보...
성병의 종류
국내 담배시장의 현황 및 이해
세계 교통 발전
[일상생활사] 담배의 원산지와 전래과정, 담배의 어원, 담배가 우리나라에 전래될 때, 담배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