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본문내용
: 옛날의 좁은 길에 대하여, 자동차가 다닐 수 있게 새로 낸 큰길.
*공동산: 공동 묘지
⑴ 이 노래가 불려진 시대적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삶의 모습은 어떤 것인가?
▶답 : 일제의 수탈로 인해 농토를 잃고 삶의 터전마저 빼앗겨 버린 우리 민족의 삶의 모습을 다루고 있다.
⑵ 문학 작품이 가치 있고 의미 있는 경험을 다룬다고 할 때, 이와 같은 경험의 형상화를 통해 추구하고자하는 심리적 효과는 무엇인가?
▶답 : 민족적 수난의 경험을 통해 부정적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고취시키고, 민족적 저항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3. 문학이 현실을 반영한다고 할 때, 문학에 그려진 현실과 실제의 현실은 어떤 관계에 있는지 토의해 보자.
▶답 : 문학 작품은 동시대의 현실적 조건들을 바탕으로 한 상상력의 산물이다. 따라서, 문학 작품은 그 시대의 특징적인 면모들을 반영한다.
4. 문학 작품이 다의성(多義性)을 띠는 이유는 무엇인지, 문학과 과학이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상의 차이점과 관련하여 말해 보자.
▶답 : 과학은 보편적인 법칙을 추구하기 때문에 다의성은 과학의 본질적인 목적 및 특성과 어긋난다. 또한 문학은 작가, 독자, 시대 등 여러 가지 조건들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고, 또 새롭게 창조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의성을 지닐 수밖에 없다.
적용학습
1.다음은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깨달은 바를 전달하고 있는 글이다. 잘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내가 집이 가난해서 말이 없으므로 혹 빌려서 타는데, 여위고 둔하여 걸음이 느린 말이면 비록 급한 일이 있어도 감히 채찍질을 가하지 못하고 조심조심하여 곧 넘어질 것같이 여기다가, 개울이나 구렁을 만나면 곧 내려 걸어가므로 후회하는 일이 적었다. 발이 높고 귀가 날카로운 준마로서 잘 달리는 말에 올라타면 의기양양하게 마음대로 채찍질하여 고삐를 놓으면 언덕과 골짜기가 평지처럼 보이니 심히 장쾌하였다. 그러나 어떤 때에는 위태로워서 떨어지는 근심을 면치 못하였다. 아! 사람의 마음이 옮겨지고 바뀌는 것이 이와 같을까? 남의 물건을 빌려서 하루 아침 소용에 대비하는 것도 이와 같거든, 하물며 참으로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이랴.
그러나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이 어느 것이나 빌리지 아니한 것이 없다. 임금은 백성으로부터 힘을 빌려서 높고 부귀한 자리를 가졌고, 신하는 임금으로부터 권세를 빌려 은총과 귀함을 누리며, 아들은 아비로부터, 지어미는 지아비로부터, 비복(婢僕)은 상전으로부터 힘과 권세를 빌려서 가지고 있다.
그 빌린 바가 또한 깊고 많아서 대개는 자기 소유로 하고 끝내 반성할 줄 모르고 있으니, 어찌 미혹(迷惑)한 일이 아니겠는가?
<중략>
맹자가 일컫기를 남의 것을 오랫동안 빌려 쓰고 있으면서 돌려 주지 아니하면, 어찌 그것이 자기의 소유가 아닌 줄 알겠는가? 하였다.
내가 여기에 느낀 바가 있어서 차마설을 지어 그 뜻을 넓히노라.
<이곡, 차마설(借馬說)>
*비복(婢僕): 여자 종과 남자 종.
*미혹(迷惑): 마음이 흐려서 무엇에 홀림.
*차마(借馬): 말을 빌림.
⑴ 이 글을 통해 새롭게 깨달을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답 : 우리의 살에서 궁극적인 목표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사유의 기회를 제공해 준다.
⑵ 이 글에서 제시하고 있는 상황과 유사한 경험을 우리 생활 주변에서 자유롭게 찾아보자.
▶답 : 공원에 놀러갔다가 쓰레기 봉지가 아까워서 쓰레기를 무방비로 아무 곳에 지저분하게 버리는 행위는 남에게 피해를 주고 최종적으로는 자신의 양심도 상처 입게 된다.
⑶ 이 글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작가의 인식이 어떤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는지 알아보자.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을 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답 : 이러한 구성 방식은 논리적인 설득이나, 체계적복합적다층적인 과정을 통한 실증적인 논리 전개에 비해 세계와 인생에 대한 깨우침 등 본질적인 의미를 추구하는 데 더욱 명료한 인상을 남긴다.
2.다음은 광고 문구와 시이다. 잘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 사랑은 반지 같은 거야. 새끼손가락엔 크고, 다른 손가락엔 작고, 뺄 땐 많이 아파. 사랑할 땐 ОО커피처럼.
㈏ 나무는/ 실로 운명처럼/ 조용하고 슬픈 자세를 가졌다.
홀로 내려가는 언덕길/ 그 아랫마을에 등불이 켜듯이
그런 자세로/ 평생을 산다.
철따라 바람이 불고 가는/ 소란한 마을 길 위에
스스로 펴는/ 그 폭넓은 그늘…… .
나무는/ 제자리에 선 채로 흘러가는/ 천 년의 강물이다.
<이형기, 나무>
⑴ ㈎와 ㈏에서 유사한 표현 방법이 나타난 부분을 찾아보자.
▶답 : ㈎ 사랑은 반지 같은 거야. 와 ㈏ 나무는/ 실로 운명처럼/ 조용하고 슬픈 자세를 가졌다.
⑵ ㈎와 ㈏의 언어 표현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답 : ㈎와 ㈏에서 사용된 언어는 모두 비유적 함축이다. 또 ㈎는 문학적 언어를 동원했다 할지라도 광고 카피일 뿐이다. 그러나 ㈏는 나무를 통해 인생의 궁극적인 모습을 문학언어를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
⑶이를 바탕으로 문학 언어와 일상 언어의 관계는 어떠한지 말해 보자.
▶답 : 일상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정보와 지식의 전달을 주목적으로 한다면, 문학 언어는 함축적인 기능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과 세계의 다의적인 해석을 지향한다.
3. 개인적인 체험을 다룬 일기나 편지는 상황에 따라서 문학 작품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 문학 작품이 될 수 있는지 문학의 본질과 관련하여 설명해 보자.
▶답 : 지은이의 독특한 세계관을 통해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유의미한 경험들을 전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훌륭한 문학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02.문학은 우리 삶에 어떤 역학을 하는가
학습활동
내용학습
1. 당대의 사회제도와 개인의 꿈이 대립되는 내용이 잘 드러난 <홍길동전>이라는 작품이다. 잘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홍 공이 황공여 돈슈청(頓首請罪) 왈,
신의 쳔 길동은 좌편 다리의 불근 혈졈(血點)이 잇 오니 일노죠 알니로쇼이다.
고, 여 길동을 지져 왈,
네 지척(咫尺)의 님군이 계시고 아로 네 아비 잇거 이럿틋 쳔고(千古)의 업 지어시니
*공동산: 공동 묘지
⑴ 이 노래가 불려진 시대적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삶의 모습은 어떤 것인가?
▶답 : 일제의 수탈로 인해 농토를 잃고 삶의 터전마저 빼앗겨 버린 우리 민족의 삶의 모습을 다루고 있다.
⑵ 문학 작품이 가치 있고 의미 있는 경험을 다룬다고 할 때, 이와 같은 경험의 형상화를 통해 추구하고자하는 심리적 효과는 무엇인가?
▶답 : 민족적 수난의 경험을 통해 부정적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고취시키고, 민족적 저항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3. 문학이 현실을 반영한다고 할 때, 문학에 그려진 현실과 실제의 현실은 어떤 관계에 있는지 토의해 보자.
▶답 : 문학 작품은 동시대의 현실적 조건들을 바탕으로 한 상상력의 산물이다. 따라서, 문학 작품은 그 시대의 특징적인 면모들을 반영한다.
4. 문학 작품이 다의성(多義性)을 띠는 이유는 무엇인지, 문학과 과학이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상의 차이점과 관련하여 말해 보자.
▶답 : 과학은 보편적인 법칙을 추구하기 때문에 다의성은 과학의 본질적인 목적 및 특성과 어긋난다. 또한 문학은 작가, 독자, 시대 등 여러 가지 조건들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고, 또 새롭게 창조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의성을 지닐 수밖에 없다.
적용학습
1.다음은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깨달은 바를 전달하고 있는 글이다. 잘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내가 집이 가난해서 말이 없으므로 혹 빌려서 타는데, 여위고 둔하여 걸음이 느린 말이면 비록 급한 일이 있어도 감히 채찍질을 가하지 못하고 조심조심하여 곧 넘어질 것같이 여기다가, 개울이나 구렁을 만나면 곧 내려 걸어가므로 후회하는 일이 적었다. 발이 높고 귀가 날카로운 준마로서 잘 달리는 말에 올라타면 의기양양하게 마음대로 채찍질하여 고삐를 놓으면 언덕과 골짜기가 평지처럼 보이니 심히 장쾌하였다. 그러나 어떤 때에는 위태로워서 떨어지는 근심을 면치 못하였다. 아! 사람의 마음이 옮겨지고 바뀌는 것이 이와 같을까? 남의 물건을 빌려서 하루 아침 소용에 대비하는 것도 이와 같거든, 하물며 참으로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이랴.
그러나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이 어느 것이나 빌리지 아니한 것이 없다. 임금은 백성으로부터 힘을 빌려서 높고 부귀한 자리를 가졌고, 신하는 임금으로부터 권세를 빌려 은총과 귀함을 누리며, 아들은 아비로부터, 지어미는 지아비로부터, 비복(婢僕)은 상전으로부터 힘과 권세를 빌려서 가지고 있다.
그 빌린 바가 또한 깊고 많아서 대개는 자기 소유로 하고 끝내 반성할 줄 모르고 있으니, 어찌 미혹(迷惑)한 일이 아니겠는가?
<중략>
맹자가 일컫기를 남의 것을 오랫동안 빌려 쓰고 있으면서 돌려 주지 아니하면, 어찌 그것이 자기의 소유가 아닌 줄 알겠는가? 하였다.
내가 여기에 느낀 바가 있어서 차마설을 지어 그 뜻을 넓히노라.
<이곡, 차마설(借馬說)>
*비복(婢僕): 여자 종과 남자 종.
*미혹(迷惑): 마음이 흐려서 무엇에 홀림.
*차마(借馬): 말을 빌림.
⑴ 이 글을 통해 새롭게 깨달을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답 : 우리의 살에서 궁극적인 목표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사유의 기회를 제공해 준다.
⑵ 이 글에서 제시하고 있는 상황과 유사한 경험을 우리 생활 주변에서 자유롭게 찾아보자.
▶답 : 공원에 놀러갔다가 쓰레기 봉지가 아까워서 쓰레기를 무방비로 아무 곳에 지저분하게 버리는 행위는 남에게 피해를 주고 최종적으로는 자신의 양심도 상처 입게 된다.
⑶ 이 글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작가의 인식이 어떤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는지 알아보자.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을 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답 : 이러한 구성 방식은 논리적인 설득이나, 체계적복합적다층적인 과정을 통한 실증적인 논리 전개에 비해 세계와 인생에 대한 깨우침 등 본질적인 의미를 추구하는 데 더욱 명료한 인상을 남긴다.
2.다음은 광고 문구와 시이다. 잘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 사랑은 반지 같은 거야. 새끼손가락엔 크고, 다른 손가락엔 작고, 뺄 땐 많이 아파. 사랑할 땐 ОО커피처럼.
㈏ 나무는/ 실로 운명처럼/ 조용하고 슬픈 자세를 가졌다.
홀로 내려가는 언덕길/ 그 아랫마을에 등불이 켜듯이
그런 자세로/ 평생을 산다.
철따라 바람이 불고 가는/ 소란한 마을 길 위에
스스로 펴는/ 그 폭넓은 그늘…… .
나무는/ 제자리에 선 채로 흘러가는/ 천 년의 강물이다.
<이형기, 나무>
⑴ ㈎와 ㈏에서 유사한 표현 방법이 나타난 부분을 찾아보자.
▶답 : ㈎ 사랑은 반지 같은 거야. 와 ㈏ 나무는/ 실로 운명처럼/ 조용하고 슬픈 자세를 가졌다.
⑵ ㈎와 ㈏의 언어 표현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답 : ㈎와 ㈏에서 사용된 언어는 모두 비유적 함축이다. 또 ㈎는 문학적 언어를 동원했다 할지라도 광고 카피일 뿐이다. 그러나 ㈏는 나무를 통해 인생의 궁극적인 모습을 문학언어를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
⑶이를 바탕으로 문학 언어와 일상 언어의 관계는 어떠한지 말해 보자.
▶답 : 일상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정보와 지식의 전달을 주목적으로 한다면, 문학 언어는 함축적인 기능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과 세계의 다의적인 해석을 지향한다.
3. 개인적인 체험을 다룬 일기나 편지는 상황에 따라서 문학 작품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 문학 작품이 될 수 있는지 문학의 본질과 관련하여 설명해 보자.
▶답 : 지은이의 독특한 세계관을 통해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유의미한 경험들을 전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훌륭한 문학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02.문학은 우리 삶에 어떤 역학을 하는가
학습활동
내용학습
1. 당대의 사회제도와 개인의 꿈이 대립되는 내용이 잘 드러난 <홍길동전>이라는 작품이다. 잘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홍 공이 황공여 돈슈청(頓首請罪) 왈,
신의 쳔 길동은 좌편 다리의 불근 혈졈(血點)이 잇 오니 일노죠 알니로쇼이다.
고, 여 길동을 지져 왈,
네 지척(咫尺)의 님군이 계시고 아로 네 아비 잇거 이럿틋 쳔고(千古)의 업 지어시니
키워드
추천자료
특수아 진단과 평가(정리자료)
경제학원론 (미시) -기말고사부분 자료정리
[08.2학기 최신] 사회복지행정 이론 정리자료
교육사회학(김신일지음) 제3장 요약/정리자료
조선시대의 춤[요약,정리자료]
인터넷강의) 이미지관리와 커뮤니케이션 기말정리자료
초등 4학년 수학 지도 정리자료
원광대학교 현대사회와 범죄 인터넷강의 정리자료
[간호학]문헌고찰 정리자료
[경찰윤리론]경찰윤리 중간고사 정리자료
<도시, 건축, 미학> 자료정리 (건물과 모뉴멘트와 광장의 관계, 광장의 중앙을 자유롭게 두는...
자원봉사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내용을 정리한자료
끌리는 컨셉 법칙 요약 정리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