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목차
서론
본론
Ⅰ. PBL daily report
Ⅱ. PBL Week 1 DISCUSSION
Ⅲ. PBL Week 2 DISCUSSION
Ⅳ. PBL Week 3 DISCUSSION
Ⅴ. Nursing Diagnosis
결론
본론
Ⅰ. PBL daily report
Ⅱ. PBL Week 1 DISCUSSION
Ⅲ. PBL Week 2 DISCUSSION
Ⅳ. PBL Week 3 DISCUSSION
Ⅴ. Nursing Diagnosis
결론
본문내용
근육들이 약해지면 척추가 점점 앞으로 굽음
요통 : 척추의 여러 부위 가운데 허리 척추뼈(L4, L5)와 골반 척추뼈(S1)에 생기는 문제
통증은 지나치게 무거운것을 든다든가 지나치게 허리를 굳폈을 경우 허리부위의 근육이나 인대(ligment)가 삔다든가(sprain), 늘어난다(strain)거나 경련(spasm)이 일어나며 일어나게 된다. 등뼈(spine)가 지나치게 삔다거나 압박을 받게되면 등뼈사이에 원판(disc)이 파열이 온다든가 밖으로 튀어 나올수(bulge outward)있게 된다. 이런 파열(rupture)은 척수를 통해 우리몸의 사지와 연결된 50여가지 이상의 신경중에 일부를 압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통증이 일어나게 된다.
부상으로 허리주변에 조직이 손상이 있을 경우 회복이 된다하더라도 부상 전 정상조직만큼 강도(strength)나 유연성(flexibility)에서 떨어지게 되고, 만약 반복적인 부상이 있었을 경우 손상조직이 축적이 되며 허리에 약화뿐만 아니라 심각한 부상을 일으킬 수 있게 되겠다.
요통 원인
What are the causes of Back pain?
요통의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① 근육의 이상 : 근육의 긴장, 근육의 염좌, 근육의 구축 또는 위약 등으로 인하여 요통이 발생, 악화하고 재발. 그 외에 비만이나 복부 근육의 위약이 있는 경우 허리주변의 지지가 약해져서 요통이 생길 수 있다.
② 퇴행성 변화 : 구조적 변화에 의한 것으로 추간판 탈출증, 추간판의 퇴행성 병변, 관절의 병변, 척추골 전방 전위증 등이 있다.
③ 골절
④ 감염
⑤ 골반 장기의 병변
원인에 따른 분류
① 심인성
실제 병변은 없으나, 우울증, 스트레스, 정신적 불안감, 노이로제 등으로 인하여 요부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로 비교적 드물다.
② 척추성
허리의 부상이나 타박으로 인해 신경이나 근육의 압박이나 뼈에 손상
관절염(arthritis), 원판질환(disc disease), 골다공증(osteroporosis)과 같은 퇴행성 (degenerative condition) 질환
바이러스간염(viral infection)으로 관절이나 원판에 염증
척추의 선천적 기형(congential abnormalities)
③ 내장인성
췌장질환, 신장 및 요로결석, 자궁질환, 전립선 질환, 장천공 등 복강내 장기 이상이나 후복강내의 병변으로 인한 요통
실제 요부 병변은 없고, 활동시 요통이 증가하거나 안정시 요통이 감소하는 전형적인 요통의 양상을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
보통 병력 상 타장기의 병적 증상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④ 혈관인성
대동맥류, 버거씨병, 동맥경화증 등 혈관질환
척추에 외력이 가해져도 요통은 증가하지 않으며, 하지의 간헐적 파행이 있고, 단지 가만히 서 있는것 만으로도 통증이 호전되는 것이 특징.
⑤ 신경인성
신경근 종양, 신경섬유종 등 중추신경, 척수경막, 신경근의 이상, 대상포진
특히 야간 통증이 심하다.
요통의 원인 질환들
단순 요통 : 대다수의 요통은 질병이라기 보다는 두통, 감기처럼 살아가면서 누구나 겪을 수밖에 없는 증상. 주로 일상 생활에서 무리하여 허리에 부담이 가서 생기는 요통
무거운 물건을 들고 난 후, 잠을 잘못 잔 후, 허리를 삐끗하고나서, 부부관계 후, 노화 현상 등 일상생활에서 허리에 무리가 가는 원인은 너무 많다. 하지만 단순 요통이 발생하는 사람들이 가지는 공통점은 허리에 부담이 가기 이전에 이미 ‘허리가 약해져 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즉, ‘약한 허리’가 단순 요통의 근본적인 원인이다.
단순요통은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예방할 수도 있고 완전히 예방할 수 없더라도 요통의 강도를 줄일 수 있다. 오랜 기간 방치할 경우 단순 요통에 머물지 않고 허리 디스크와 같은 병적이 요통으로 진행할 수 있다.
치료를 요하는 요통
병적 요통 : 간혹 요통은 심각한 병에 의해 발생
허리 척추의 문제를 비롯, 여러 가지 내과 질환, 산부인과 질환, 비뇨기과 질환뿐만 아니라 뇌막염과 같은 신경과 질환도 요통을 일으킬 수 있다.
① 원판탈장(bulging disc, hernated disc, ruptured disc) - 척수내에 원판은 지속적인 압박에 처해 있게 되는데 원판이 약화되거나 퇴하 되면서 연골(catilage)이 척수내 공간이나 신경조직으로 밀리게 되며 신경조직을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대부분의 원판탈장은 척추의 아랫부위인 요추(lumbar) 부위에서 일어나게 되는데 심각한 후유증을 일으키는것으로 마미증후군(cauda equina syndrome)이라 하여 탈장부위가 요추주변의 신경다발 지역이나 좌골신경근(sacral nerves roots)을 압박하는 경우로 치료않고 방치할 경우 영구적 신경손상이 일어날수 있게 된다.
② 좌골신경통(sciatica) - 원판의 파열이나 탈장으로 척수에서 골반을 거쳐 다리로 내려가는 가장 긴 신경인 좌골신경(sciatic nerve)을 압박하게 되면 전기에 감전된것 같은 통증이 골반에서 정강이,때론 발에까지 이어지게 된다. 신경이 원판과 주변 뼈에 끼어져 압박을 받고 있을 경우 통증 뿐만 아니라 저림현상(numbness)이 오고 운동신경계의 영향으로 감각의 교류가 잘안되게는 경우도 있게 되겠다. 좌골신경통은 그외에도 종양(tumor), 물혹(cyst), 암의 전이(metastastic disease), 퇴행성 죄골신경근(degeneration of the sciatic nerve root) 에서도 오게 된다.
③ 척추퇴화(spinal degeneration) - 원판의 소모(wear and tear)로 인해 척추 칸이 좁아지게 되는데 아침에 일어나서 또는 오래 걷거나 서있을 경우 허리부위가 굳어지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지게 된다.
④ 척추협착(spinal stenosis) - 선천성으로 척추관에 뼈의 이상발달로 인해 협착이 일어나고 원판에 손상을 주어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⑤ 골다공증(osteroporsis) -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density)와 강도(strength)을 약화시키는 진행성이고, 신진대사성 뼈질환(metabolic bone disease)이 되
요통 : 척추의 여러 부위 가운데 허리 척추뼈(L4, L5)와 골반 척추뼈(S1)에 생기는 문제
통증은 지나치게 무거운것을 든다든가 지나치게 허리를 굳폈을 경우 허리부위의 근육이나 인대(ligment)가 삔다든가(sprain), 늘어난다(strain)거나 경련(spasm)이 일어나며 일어나게 된다. 등뼈(spine)가 지나치게 삔다거나 압박을 받게되면 등뼈사이에 원판(disc)이 파열이 온다든가 밖으로 튀어 나올수(bulge outward)있게 된다. 이런 파열(rupture)은 척수를 통해 우리몸의 사지와 연결된 50여가지 이상의 신경중에 일부를 압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통증이 일어나게 된다.
부상으로 허리주변에 조직이 손상이 있을 경우 회복이 된다하더라도 부상 전 정상조직만큼 강도(strength)나 유연성(flexibility)에서 떨어지게 되고, 만약 반복적인 부상이 있었을 경우 손상조직이 축적이 되며 허리에 약화뿐만 아니라 심각한 부상을 일으킬 수 있게 되겠다.
요통 원인
What are the causes of Back pain?
요통의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① 근육의 이상 : 근육의 긴장, 근육의 염좌, 근육의 구축 또는 위약 등으로 인하여 요통이 발생, 악화하고 재발. 그 외에 비만이나 복부 근육의 위약이 있는 경우 허리주변의 지지가 약해져서 요통이 생길 수 있다.
② 퇴행성 변화 : 구조적 변화에 의한 것으로 추간판 탈출증, 추간판의 퇴행성 병변, 관절의 병변, 척추골 전방 전위증 등이 있다.
③ 골절
④ 감염
⑤ 골반 장기의 병변
원인에 따른 분류
① 심인성
실제 병변은 없으나, 우울증, 스트레스, 정신적 불안감, 노이로제 등으로 인하여 요부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로 비교적 드물다.
② 척추성
허리의 부상이나 타박으로 인해 신경이나 근육의 압박이나 뼈에 손상
관절염(arthritis), 원판질환(disc disease), 골다공증(osteroporosis)과 같은 퇴행성 (degenerative condition) 질환
바이러스간염(viral infection)으로 관절이나 원판에 염증
척추의 선천적 기형(congential abnormalities)
③ 내장인성
췌장질환, 신장 및 요로결석, 자궁질환, 전립선 질환, 장천공 등 복강내 장기 이상이나 후복강내의 병변으로 인한 요통
실제 요부 병변은 없고, 활동시 요통이 증가하거나 안정시 요통이 감소하는 전형적인 요통의 양상을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
보통 병력 상 타장기의 병적 증상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④ 혈관인성
대동맥류, 버거씨병, 동맥경화증 등 혈관질환
척추에 외력이 가해져도 요통은 증가하지 않으며, 하지의 간헐적 파행이 있고, 단지 가만히 서 있는것 만으로도 통증이 호전되는 것이 특징.
⑤ 신경인성
신경근 종양, 신경섬유종 등 중추신경, 척수경막, 신경근의 이상, 대상포진
특히 야간 통증이 심하다.
요통의 원인 질환들
단순 요통 : 대다수의 요통은 질병이라기 보다는 두통, 감기처럼 살아가면서 누구나 겪을 수밖에 없는 증상. 주로 일상 생활에서 무리하여 허리에 부담이 가서 생기는 요통
무거운 물건을 들고 난 후, 잠을 잘못 잔 후, 허리를 삐끗하고나서, 부부관계 후, 노화 현상 등 일상생활에서 허리에 무리가 가는 원인은 너무 많다. 하지만 단순 요통이 발생하는 사람들이 가지는 공통점은 허리에 부담이 가기 이전에 이미 ‘허리가 약해져 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즉, ‘약한 허리’가 단순 요통의 근본적인 원인이다.
단순요통은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예방할 수도 있고 완전히 예방할 수 없더라도 요통의 강도를 줄일 수 있다. 오랜 기간 방치할 경우 단순 요통에 머물지 않고 허리 디스크와 같은 병적이 요통으로 진행할 수 있다.
치료를 요하는 요통
병적 요통 : 간혹 요통은 심각한 병에 의해 발생
허리 척추의 문제를 비롯, 여러 가지 내과 질환, 산부인과 질환, 비뇨기과 질환뿐만 아니라 뇌막염과 같은 신경과 질환도 요통을 일으킬 수 있다.
① 원판탈장(bulging disc, hernated disc, ruptured disc) - 척수내에 원판은 지속적인 압박에 처해 있게 되는데 원판이 약화되거나 퇴하 되면서 연골(catilage)이 척수내 공간이나 신경조직으로 밀리게 되며 신경조직을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대부분의 원판탈장은 척추의 아랫부위인 요추(lumbar) 부위에서 일어나게 되는데 심각한 후유증을 일으키는것으로 마미증후군(cauda equina syndrome)이라 하여 탈장부위가 요추주변의 신경다발 지역이나 좌골신경근(sacral nerves roots)을 압박하는 경우로 치료않고 방치할 경우 영구적 신경손상이 일어날수 있게 된다.
② 좌골신경통(sciatica) - 원판의 파열이나 탈장으로 척수에서 골반을 거쳐 다리로 내려가는 가장 긴 신경인 좌골신경(sciatic nerve)을 압박하게 되면 전기에 감전된것 같은 통증이 골반에서 정강이,때론 발에까지 이어지게 된다. 신경이 원판과 주변 뼈에 끼어져 압박을 받고 있을 경우 통증 뿐만 아니라 저림현상(numbness)이 오고 운동신경계의 영향으로 감각의 교류가 잘안되게는 경우도 있게 되겠다. 좌골신경통은 그외에도 종양(tumor), 물혹(cyst), 암의 전이(metastastic disease), 퇴행성 죄골신경근(degeneration of the sciatic nerve root) 에서도 오게 된다.
③ 척추퇴화(spinal degeneration) - 원판의 소모(wear and tear)로 인해 척추 칸이 좁아지게 되는데 아침에 일어나서 또는 오래 걷거나 서있을 경우 허리부위가 굳어지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지게 된다.
④ 척추협착(spinal stenosis) - 선천성으로 척추관에 뼈의 이상발달로 인해 협착이 일어나고 원판에 손상을 주어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⑤ 골다공증(osteroporsis) -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density)와 강도(strength)을 약화시키는 진행성이고, 신진대사성 뼈질환(metabolic bone disease)이 되
추천자료
[교육행정] 학교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창조성 고양을 위한 연구개발평가에 관한 고찰
교원평가제도에 대한 개념과 의의, 대표적인 찬반 의견 그리고 나의 견해
한국관광공사의 운영효율성 평가를 통한 기능의 재정립
함평나비축제의 평가와 분석
학교평가의 책무성 증진 방안
성인 정신지체인의 일반적 특성, 적응행동, 작업평가 및 작업수행력간의 상관관계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체계에 있어 직업평가의 내용과 적용
[의료정보]병원에서의 전자차트시스템에 대한 평가 및 기대효과
교육평가의 모든 것
프로젝트학습(PBL, 프로젝트중심수업)의 정의와 특징, 프로젝트학습(PBL, 프로젝트중심수업)...
심리평가
본인이 관심 있는 분야의 민간사회복지기관 한 곳을 선정하여 사회복지조직의 내용을 중심으...
지역도시경제론 - 박근혜정부의 부동산 정책 분석 및 평가(일본 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