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조선의 제 9대왕 성종
2. 비운의 비, 폐비윤씨
3. 성종왕권의 업적
3.1 경국대전편찬
3.2 경연강화, 홍문관설치, 관학진흥
3.3 사림세력 대거 등용
3.4 숭유억불정책
3.5 관수관급제 실시
3.6 동국통감, 동문선, 여지승람 등 다양한 서적 편찬
4. 성종의 취약점
4.1 폐비사건
4.2 훈척과 대간의 알력
4.3 3전을 모시는 부담
4.4 불공정한 인사
4.5 ‘서정’, ‘북정’의 강행과 국력 소모
5. 결론
6. 참고문헌
2. 비운의 비, 폐비윤씨
3. 성종왕권의 업적
3.1 경국대전편찬
3.2 경연강화, 홍문관설치, 관학진흥
3.3 사림세력 대거 등용
3.4 숭유억불정책
3.5 관수관급제 실시
3.6 동국통감, 동문선, 여지승람 등 다양한 서적 편찬
4. 성종의 취약점
4.1 폐비사건
4.2 훈척과 대간의 알력
4.3 3전을 모시는 부담
4.4 불공정한 인사
4.5 ‘서정’, ‘북정’의 강행과 국력 소모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인들로 하여금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게 하였다. 경연강화와 홍문관설치 등은 언론정치가 강화되는 밑거름이 되었다.
3.3 사림세력 대거 등용
더욱이 세조 때의 공신이 대부분인 훈구세력을 견제하기 위하여 김종직(金宗直) 일파의 신진 사림세력(新進 士林勢力)을 많이 등용하여 훈구과 사림간의 세력균형을 이륙, 왕권을 안정시켰고 조선 중기 이후 사림정치의 기반을 조성하였다. 훈구파의 세력이 많은 가운데 훈구파의 학자들과 대립 관계에 있는 사림파를 과감하게 발탁하는 것을 볼때 성종이 인재등용에도 많은 힘을 기울인 것을 알 수 있다.
3.4 숭유억불정책 시행
성종은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중요시 여겨 숭유억불 정책을 철저히 시행하였다. 하여 승려가 되기위해 곡식을 바쳤던 도첩제를 혁파하고 승려를 엄하게 통제하였다. 또한 백성들의 원고(怨苦)를 고려하여 형벌을 가볍게 하고, 장리(贓吏)의 자손은 등용하지 않는 국초 이래의 규정을 완화하여 백성들의 노고를 줄이려 노력하였다.
3.5 관수 관급제 실시
세조 때부터의 직전제(職田制)실시에 따른 토지의 세습과 겸병(兼倂) 및 관리들의 수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종은 새로운 제도인 관수관급제(官收官給制)를 실시하였다. 이는 국가에서 경작자로부터 직접 조(租)를 받아들여 관리들에게 현물 녹봉을 지급하는 제도였는데, 이를 통해 국가의 토지지배권을 강하게 만들었다.
3.6 동국통감, 동문선, 여지승람 등 다양한 서적 편찬
서적의 간행 등의 편찬사업에 힘을 써, 여지승람(輿地勝覽) 동국통감(東國通鑑), 동문선(東文選), 삼국 사절요, 오례의, 악학궤범(樂學軌範) 등을 편찬하며 문운을 진흥시켰다. 세조때부터 편찬하기 시작한 경국대전과 국조오례의를 완성하여 조선 왕조 5백년간의 통치 체제를 확립하였으며 민족문화에 관한 서적도 많이 편찬하였다. 역사에 관한서적(동국통감) 지리에관한서적(동국여지승람) 문학에 관한서적(동문선)등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편찬하였다.
이러한 정책 결과, 조선 전기의 문물제도의 확립에 큰 기여를 했으며 태조이후로부터 닦아온 조선왕조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기반과 체제를 완성시켰다.
그러나 정치, 제도, 문화적인 면에서 좋은 평가가 내려졌던 성종이지만 폐비사건을 비롯한 취약점도 많았다.
4. 성종왕권의 취약성
4.1 폐비사건
성종은 정치에서 성공한 인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정치에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후궁들과 대왕대비의 말만 듣고 왕비를 내
3.3 사림세력 대거 등용
더욱이 세조 때의 공신이 대부분인 훈구세력을 견제하기 위하여 김종직(金宗直) 일파의 신진 사림세력(新進 士林勢力)을 많이 등용하여 훈구과 사림간의 세력균형을 이륙, 왕권을 안정시켰고 조선 중기 이후 사림정치의 기반을 조성하였다. 훈구파의 세력이 많은 가운데 훈구파의 학자들과 대립 관계에 있는 사림파를 과감하게 발탁하는 것을 볼때 성종이 인재등용에도 많은 힘을 기울인 것을 알 수 있다.
3.4 숭유억불정책 시행
성종은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중요시 여겨 숭유억불 정책을 철저히 시행하였다. 하여 승려가 되기위해 곡식을 바쳤던 도첩제를 혁파하고 승려를 엄하게 통제하였다. 또한 백성들의 원고(怨苦)를 고려하여 형벌을 가볍게 하고, 장리(贓吏)의 자손은 등용하지 않는 국초 이래의 규정을 완화하여 백성들의 노고를 줄이려 노력하였다.
3.5 관수 관급제 실시
세조 때부터의 직전제(職田制)실시에 따른 토지의 세습과 겸병(兼倂) 및 관리들의 수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종은 새로운 제도인 관수관급제(官收官給制)를 실시하였다. 이는 국가에서 경작자로부터 직접 조(租)를 받아들여 관리들에게 현물 녹봉을 지급하는 제도였는데, 이를 통해 국가의 토지지배권을 강하게 만들었다.
3.6 동국통감, 동문선, 여지승람 등 다양한 서적 편찬
서적의 간행 등의 편찬사업에 힘을 써, 여지승람(輿地勝覽) 동국통감(東國通鑑), 동문선(東文選), 삼국 사절요, 오례의, 악학궤범(樂學軌範) 등을 편찬하며 문운을 진흥시켰다. 세조때부터 편찬하기 시작한 경국대전과 국조오례의를 완성하여 조선 왕조 5백년간의 통치 체제를 확립하였으며 민족문화에 관한 서적도 많이 편찬하였다. 역사에 관한서적(동국통감) 지리에관한서적(동국여지승람) 문학에 관한서적(동문선)등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편찬하였다.
이러한 정책 결과, 조선 전기의 문물제도의 확립에 큰 기여를 했으며 태조이후로부터 닦아온 조선왕조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기반과 체제를 완성시켰다.
그러나 정치, 제도, 문화적인 면에서 좋은 평가가 내려졌던 성종이지만 폐비사건을 비롯한 취약점도 많았다.
4. 성종왕권의 취약성
4.1 폐비사건
성종은 정치에서 성공한 인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정치에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후궁들과 대왕대비의 말만 듣고 왕비를 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