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부 호흡기계 건강문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하부 호흡기계 건강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지 않고 팽창됨.
▶호흡운동: 외부 공기를 폐 속으로 흡인하는 흡기와 폐 속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호기로 이루어진다.
① 흡기: 이에 관여하는 근육들이 수축함으로서 일어나며 이때 에너지를 소비
② 호기: 수축했던 근육이 이완되고, 변위되었던 늑골이 제자리로 돌아가는 수동적 운동으로 에너지 소모는 거의 없음.
▶늑골사이근의 횡경막은 주된 호흡 근육이다.
- 바깥 늑골 사이근의 수축늑골은 위쪽과 바깥쪽으로 이동 흉곽의 전후경이 넓어짐 흉강의 부피가 커짐 공기가 기도내로 흡인
- 횡경막의 수축융기부가 아래로 내려와 팽팽해짐 늑골이 위와 바깥으로 움직임 흉강의 부피가 커짐 흉막강내의 음압이 커짐 공기가 빨려 들어옴.
2. 기능
1) 호흡생리
▶기능
- 신체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는 제거함
- 호흡에 의해 체외로 열을 발산시켜 체온을 조절하며 체내의 산염기 균형을 유지
(1) 환기
▶기도를 따라 폐로 드나드는 공기의 흐름이며, 흡기와 호기에 의해 산화된 신선한 공기는 폐로 들어가고 사용된 공기는 체외로 나가는 순환과정
▶뇌의 호흡 중추, 말초에 잇는 호흡 감수체, 뇌척수액의 화학적 성분, 이산화탄소의 분압, 산소의 분압, 혈액의 pH, 통증, 체온, 정서적 변화, 육체적 활동에 영향을 받는다.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도는 막힌 곳이 없고 폐는 탄성이 있어 팽창성이 좋아야 하며, 흉곽을 이루는 근육은 튼튼해야 한다.
- 폐 환기량이 줄어듬폐포내 산소농도 감소 혈관수축 혈류양 감소 환기부전
- 폐 어느 부분 관류 감소 기관지가 수축 환기가 줄어듬 저산소혈증
- 안정시 페포를 드나드는 환기량은 4L/분이고 관류량은 5L/분으로 환기량-관류량 비율이 4/5, 즉 0.8:1 일 때 폐의 가스교환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2) 확산
▶폐포에서의 가스교환은 가스의 분압 차에 의해 확산이 일어나기 때문이고, 가스분자는 분압이 높은 곳으로부터 낮은 곳으로 확산 한다.
▶인체가 정상적인 가스교환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 폐포 내의 충분한 산소 농도
- 산소와 결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혈색소
- 혈액을 충분히 포화시킬 수 있는 폐포내 산소의 확산
- 세포에 필요한 충분한 산화 혈색소의 운반 능력
- 운반된 산소를 사용하는 조직의 능력 등
(3) 폐신장성, 탄성 반동, 기도 저항
▶폐신장성(compliance, 탄성): 압력을 가했을 때 폐가 팽창되는 정도를 말하며 팽창이 잘되는 폐는 폐신장성이 높음을 의미. 경폐압(폐포내 압력, 흉막강내 압력)변화에 따른 폐용량 변화
- 폐신장성 저하: 폐수종이나 성인 호흡장애 증후군과 같이 폐포 내에 수액이 축적
- 폐신장성 감소: 폐섬유화 병소, 삼출성 흉막
▶탄성 반동(elastic recoil): 폐가 확장된 시점에서 폐를 허탈시켜 팽창되기 이전으로 되돌아가고자하는 압력으로 폐포벽과 세기관지와 모세혈관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이 탄력섬유로 구성되어서 작용하는 압력.
▶기도저항: 호흡 중에 이겨내야 하는 힘으로 천식,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은 기도 저항이 높다.
(4) 가스운반
▶산소운반: 폐포-모세혈관에서 확산성 가스교환.
혈액내로 이동한 산소좌심방 혈액순환 호기성 대사과정 사립체 이동
▶산화혈색소: 산소와 결합되어 있는 혈색소
▶산소용적: 혈색소가 완전히 산소로 포화되었을 때 혈액이 운반 할 수 있는 산소의 양
▶산소함량: 혈액100ml가 실제로 운반할 수 있는 산소의 양 + 혈장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의 양을 혈장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의 양
▶산소포화도 : 전체 혈색소중에서 산소와 실제 결합되어 있는 혈색소가 차지하는 비율
▶혈색소의 산소 해리곡선: 동맥혈 산소분압과 혈색소의 산소포화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S자형 곡선으로 혈색소와 산소의 친화성을 나타낸다.
▶헤모글로빈의 산소 해리곡선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원인으로는 알칼리증, 체온 저하, PaCO2의 저하 등이 있다. 우측이동은 친화성이 낮음을 의미하고 산증, 체온상승, PaCO2의 상승, 2,3-DPG의 상승에 의해 생긴다.
▶CO2운반 과정: 세포 대사결과 생성된 CO2는 모세혈관 내로 확산되고 약5%정도는 혈장에 용해된 상태로 운반되고 나머지95%는 혈색소와 결합한다.
(5) 수소이온 균형
▶폐는 우리 몸의 H+의 균형을 유지한다. 호흡 장애가 생기면 호흡성 산증이나 호흡성 알칼리증이 발생하고 그 결과 H+불균형이 발생한다.
- 호흡성 산증: 과탄산증으로 인해 오는 심각한 현상
- 호흡성 알칼리증: 이산화탄소 부족
2) 호흡 조절
(1) 신경성 조절
▶호흡 중추는 연수에 있으며 흡기와 호기 중추가 따로 있다.
▶근원 호흡 중추: 다른 모든 호흡 중추와 감수체의 신경성 활동이 연수 안에서 받아지는 것
▶원심신경: 횡격막의 운동을 지배하는 횡격막 신경과 늑골사이근의 운동을 지배하는 흉수의 척수신경들
▶구심성 신경섬유: 미주신경 내에 들어있으며 주로 폐에서 시작하며, 그 밖에 피부, 비강, 후두 및 복부 내장에서 시작하여 호흡중추에 이르는 것도 있음
▶뇌교
- 흡식중추: 지속적인 흡기운동을 시키며 뇌교의 하부 2/3되는 영역에 위치
- 호흡조정중추: 지속성 흡식 중추를 억제하여 호흡의 리듬을 주며 뇌교의 상부 1/3되는 영역에 위치
▶흡기가 절정에 달하면 신장감수체가 흥분→구심신경→흡식중추 억제→지속성 흡입중추억제
▶Hering-Breuer흡기반사: 흡식 중추의흥분→호흡조정중추흥분→지속성 흡식중추 억제→흡식중추억제→ 호기
▶대뇌피질은 의식적으로 숨을 멈추거나 과호흡을 할 수 있게 한다. 미주신경의 조절 외에도 호흡에 작용하는 감마원심 신경계에 의한 회환기전에 의해서도 조절된다. 즉 억제성 폐질환에서는 호흡 근육의 수축이 충분하지 못하므로 안정시 호흡량이 적어진다.
3) 화학적 조절
▶중추화학감수체도 연수에 있으며 이들 영역은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척수액 속의 수소이온 농도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호흡조절에서 매우 중요하다.
▶대동맥소체와 경동맥소체에 있는 말초화학감수체는 혈액속의 화학적 변화, 즉 동맥혈액에 산소분압이 감소될 때 반응한다.
▶압력감수체는 혈압의 급격한 상승에 반응하여 호흡 중추를 일시적으로 억압하여 호흡을 느리고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1.27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66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