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출증의 치료 및 해결 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출증의 치료 및 해결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 노출증 환자의 사회적 시각
2.1. 범죄자로 보는 시각
2.2. 피해자로 보는 시각

3. 노출증 환자에 대한 이해
3.1. 정신 분석학적 원인
2.2. 사회, 환경적 원인

4. 노출증 환자에 대한 문제해결 방안
4.1. 인식 변화 전반적 추세
4.2. 정책적 과제
4.3 실천적 과제

5. 결론

부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투자 또한 하지 않으려한다. 즉, 치료를 하여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범죄를 줄이려 하는 것이 아니라, 법으로 임시방편으로만 해결 하려 한다. 그러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인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을 지적한다.
부록
노출증 이라는 용어는 “전시하다. 늘어놓다.”라는 위미를 지닌 “exibition”라는 라틴어 단어에서 파생되었다. 임상적 노출증 환자는 , 무방비 상태의 누군가에게 사회적 통념상 부적절한 맥락에서 자신의 성기를 보여 주며 그러한 행위를 단지 성적 만족을 얻으려는 도착적 수단으로 삼는 사람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그런 사람들을 ‘바바리 맨, 변태’라고 지칭한다. 심리 치료 클리닉의 심리학자들은 “노출증 환자(exibitionist)”라는 명칭을 더욱 선호한다. 노출증은 두 가지 종류로 구분 할 수 있는데 “임상적 노출증”, 즉 공공장소에서 자신의 신체 부위 중 일부를 의도적으로 드러내는 행위와, “심리학적 노출증” 즉 한 사람의 심리적 측면에서 과장 되거나 부적절한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의 욕구는 배제한 채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는 것이다.
노출증에 대해 법 관련 전문가들은 노출 행위에 대해서 법적 정의를 내리고 이를 벌하려고 애썼던 반면, 정신 건강 분야의 전문가들은 이러한 외설적 노출 행위의 본질과 이에 대한 치료에 대해서 거의 아무런 충고도 남기지 않았다. 노출증에 대해 처음으로 의미 있는 심리 치료적 공헌을 한 사람은 19세기 프랑스 파리의 심리 치료 전문가 에른스트 샤를 라세그 (Erenest Charles Lasegue)이다. 그는 1877년에 의학전문지 《유니언 메디칼》에 이 분야의 고전이 되는 「노출증 환자들」이라는 논문을 게제 했다. 그는 노출 등 환자들은 성적 흥분을 동반할 수 있는 신체 노출 충동을 자주 경험한다고 한다. 그런 짓을 하는 사라들은 대대 남자이며 전에는 원만한 성격을 지녔던 사람들로, 타인들에게 보여 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어떤 행동
노출증에 대한 기술적 정신 병리학
노출 행위는 약치유인(略取誘引), 남색,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추잡한 행위, 근친, 상간, 매춘, 강간보다 훨씬 더 빈번하게 발생하는 성범죄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부적절한 노출은 상당한 실제적 문제를 나타낸다. 이런 행위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대부분 남성이지만 극소구의 여성들도 노출 행위를 한다. 공공장소에서 성기를 내보이는 남성들은 대부분 전혀 만난 적이 없는 여성들 앞에서 이러한 행위를 하는데, 특히 젊은 여성이나 사춘기 소녀들을 대상으로 삼는다. 피의자들은 대부분25세에서 35세 사이의 남성으로, 그들은 대체로 다음 두 가지 방식들 중 하나를 따라 노출 행위를 한다. “유형 1”로 알려진 노출 광 집단의 하위 유형은 바지 지퍼를 내리고 이완된 상태의 성기를 내보인다. 이 집단은 자신의 행위에 대해 종종 양심의 가책을 느낀다. 반면 “유형 2” , 즉 주 번째 하위 그룹의 범죄자들은 발기된 성기를 내보인다. 이들은 때때로 발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수음을 하기도 한다. 이들은 보다 중중의 환자들로, 이들 중 몇몇은 명백한 성적 쾌감을 얻으며 양심의 가책 따위는 거의 경험하지 않는다. 노출증 연구 분야에서 저명한 정신의학자인 그레이엄 루스(Graham Rooth)는 이러한 유형 2에 속하는 사람들은 다른 범죄를 저지를 확률도 높다고 말한다. 어떤 노출 행위자들은 피해자에게 말을 건네기도 한다. 극히 소수이긴 하지만 신체적 접촉을 시도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노출증 환자들은 말을 하지 않으며 피해자들과의 신체적 접촉을 꾀하지 않는다. 그 대신, 일반적으로 아이들이나 성인여성들이 놀라는 모습을 미리 상상하면서 자신의 은밀한 부분을 보여주는 것이다.
비록 대부분의 노출 행위자들이 2, 30대의 젊은 남성들이지만, 이들 가운데 절반 정도는 18세 이전에 성기 노출에 대해 분명하고도 의식적인 흥미를 느끼게 됐다고 고백한다. 그렇지만 대부분 20대 이전에는 이런 행위에 빠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이렇게 특이한 성적 태 행위를 저지르고자 하는 충동과 그렇게 할 만한 것이 20대에 이르러 증가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부적절한 노출을 일삼는 사람들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그러한 행위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에게 노출 해위를 하게 하는 내적 압력에도 불구하고 최소한 범법 행위들은 부분적으로나마 외부 환경과 변화에 발생한다. 노출증 환자들에 대한 연구 데이터를 살펴보면, 노출 행의의 71%가 실외에서 이루어졌으며, 실내에서 일어난 경우는 29%에 지나지 않았다. 실외 범행을 저지른 사람들 중 거의 4분의 3정도는 거리에서 행하였다. 뒷골목, 주차장 공원, 학교 운동장 등을 범행 장소로 택한 경우는 극소수였다. 날씨도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으리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노출증 환자들이 12월이나 1월보다 4월과 5월을 선호했다는 점은 별로 놀랍지 않다. 주중보다 일요일에 범행을 저지르는 사림이 적었으며 범죄 발생률이 가장 높은 시간대는 오후3시에서 5시 사이였다. 호주의 연구 보고서에 의하면, 실외에서 노출 행위가 발생할 때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최적거리는 약 3.6미터라고 한다. -Jones , I . H. and Frei, D., \"Provoked Anxiety as a Trement of Exhibitionism\" ,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 1977 , vol. 131, PP.295-300.
한편, 실내에서 노출 행위를 하는 사람들은 지나가는 보행자들이 볼 수 있도록 망사 커튼 뒤에서 성기를 내보이거나 차를 주차해 놓고 그 안에서 범행을 저지른다고 한다.
성격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노출증 환자들은 수줍음을 많이 타고 사회적 수완이 부족하며 상당수는 강박적인 성향을 보인다. 어떤 사람들은 계속 독신으로 생활하고, 어떤 사람들은 결혼을 하기도 하지만 행복 결혼 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게 되고 있다. 또한 전형적인 노출증 환자들은 자신의 행위가 남에게 피해를 입힌다는 점에 대해 자각이 없거나 거의 신경을 쓰지 않는다.
참고 문헌
브렛카. 『Exibitionism』, 이세진
  • 가격1,9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11.30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82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