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 공사(가설,철거,목공사) 대한 이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공 공사(가설,철거,목공사) 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설공사
가. 가설공사의 개요
나. 비계공사
다. 비계의 종류
라. 파이프 비계(Steel pipe scaffold)
마. 위험방지설비

2. 철거공사
가. 철거공사의 개요
1) 철거공법
2) 안전대책
3) 폐자재 처리

3. 목공사
가. 구조목공사(構造木工事 : Structural Carpentry Work)
나. 수장목공사(修粧木工事 : Finish Carpentry Work)

참고문헌

본문내용

두겁주먹장 맞춤 : 주먹장 위에 턱을 낸 두겁모양으로 씌우고 밑은 주먹장으로 물리게 된 맞춤이며 계단난간아나 지붕보의 맞춤에 사용된다.
③ 턱걸이 주먹장 맞춤 : 주먹장에 턱걸이 및 턱솔을 만든 것으로 간단하고 튼튼하여 철물로 보강하지 않아도 된다.
각종 맞춤의 종류
(다) 연귀 맞춤 : 마구리가 보이지 않도록 귀를 45°로 접어서 맞추는 것으로 문선, 판벽의 두겁대, 걸레받이 등에 사용한다.
① 반연귀 맞춤 : 연귀를 반만 내고 안쪽 또는 바깥쪽은 직각으로 잘라내어 맞추는 것으로 토대의 모서리에 쓰인다.
② 안촉연귀 맞춤 : 연귀의 안쪽에 촉을 내고 다른 재는 구멍을 뚫어 꿰뚫어 넣은 후 바깥쪽은 연귀로 한 맞춤이다.
③ 밖촉연귀 맞춤 : 바깥쪽은 연귀로 하고 안쪽에 촉을 내어 물리게 한 맞춤이다.
④ 안팎촉연귀 맞춤 : 연귀의 안팎에 촉과 홈을 파서 물리게 하는 방법이다.
⑤ 사개연귀 맞춤 : 귀를 45°로 접고 안쪽에 여러 개의 촉과 홈을 내어 물리게 한 것으로 치장을 요하는 곳이나 직각 모서리에 쓰인다.
연귀맞춤의 종류
(라) 장부맞춤 : 한 부재에는 장부를 내고 다른 부재에는 장부구멍을 파서 끼우는 맞춤으로 가장 튼튼한 맞춤방법이다. 턱솔장부 맞춤, 턱장부 맞춤, 쌍턱장부 맞춤, 빗장부 맞춤, 쌍장부 맞춤, 부채장부 맞춤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장부 맞춤은 다음과 같다.
① 내다지 장부 맞춤 : 장부를 길게 하여 맞추지는 재를 꿰뚫어 넣게 한 맞춤으로 본기둥 또는 주요 구조재의 위치고정에 쓰이며, 재의 바깥으로 꿰뚫어 나온 장부에 산지나 벌림쐐기 등을 박아 빠짐을 방지한다.
② 긴장부 맞춤 : 장부의 길이가 맞춰지는 재 품의 1/2이상인 것으로 기둥의 상하 맞춤에 사용하며 가로산지를 박아 보강한다.
③ 반다지(짧은장부) 맞춤 : 맞춰지는 재 춤의 1/2 ~ 1/3정도의 길이로 뚫어 넣는 짧은 장부로 샛기둥, 동바리 등의 맞춤에 쓰인다.
각종장부
(마) 쪽매 : 폭이 좁은 널을 옆 대어 붙여 그 폭을 넓게 하는 것으로, 마루널이나 양판문의 양판제작에 사용된다.
① 맞댄 쪽매 : 널 옆을 대패질 마무리 하여 서로 맞댄 후 널 위에서 못질하는 것으로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실용적인 툇마루에 쓰인다.
② 판턱 쪽매 : 널의 옆에 널 두께의 반만큼 깍아서 맞댄 면의 틈을 감추게 하는 것으로 두께 15mm 미만의 널깔기에 사용된다.
③ 틈막이 쪽매 : 징두리 판벽에 주로 사용하며 쪽매하여 댄 널의 틈을 가리기 위하여 좁은 널을 덧댄 것이다.
④ 오니 쪽매 : 널의 옆에 살촉모양으로 솔기를 낸 것으로 흙막이에 널리 쓰인다.
⑤ 양끝 못 맞댄 쪽매 : 맞댄 쪽매에 양끝못을 사용한 것으로 용도는 맞댄 쪽매와 같다.
⑥ 빗 쪽매 : 널의 옆면을 경사면으로 대패질한 것으로 반자널 쪽매 등에 사용한다.
⑦ 제혀 쪽매 : 널의 한 옆을 제물로 혀를 내고 다른 재의 옆면은 혀가 물리도록 홈을 판 것으로 혀의 위에서 빗못질하므로 못머리가 감추어진다. 보행진동이 있는 마루널 깔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며, 양판문의 양판 또는 징두리 양판문의 징두리판에서 사용한다.
⑧ 딴혀 쪽매 : 널의 양옆에 홈을 파고 혀를 따로 끼워 댈 수 있게 만든 것으로 마루널 깔기에 쓰인다.
쪽매
(5) 목공사용 보강철물
(가) 못 : 못의 지름은 널 두께의 1/6이하로 하고 길이는 박아대는 나무두께의 2.5 ~ 3.0배로 하되 재의 마구리 부분에 사용하는 못은 3.0 ~ 3.5배로 하며 널 두께가 10mm 이하인 때에는 4배를 표준으로 한다. 또 못을 박을 때는 15° 정도 기울게 박는다.
못의 종류
(나) 에어 툴 핀 (Air tool Pin : 타카핀) : 형장에서는 타카핀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못의 대용품으로 사용하는 철물이다. 근래에는 못을 사용하지 않고 거의 에어툴 핀을 사용한다. 핀의 종류에는 석고보드나 두께가 얇은 합판에 사용하는 “ㄷ”형과 MDF, 걸레받이, 반자돌림대, 몰딩 또는 두께가 두꺼운 건축판에 사용하는 “l\"자형, 콘크리트나 벽돌, 불록벽체에 사용하는 콘크리트용이 있다.
(다) 나사못 : 나사못은 처음부터 틀어박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망치로 때려 박더라도 나사못 길이의 1/3은 틀어박아야 한다. 나사가 조이기에 앞서 나사못 길이의 1/2정도의 구멍을 부재에 미리 뚫어 놓는다.
나사못의 종류
(라) 볼트 : 두 부재를 강력하게 당겨 조이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보통 6각 볼트 및 너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구조용 볼트는 지름 12mm 이상, 경미한 구조부에서는 지름 9mm의 것을 주로 사용한다.
bolt
(마) 꺽쇠 : 꺾쇠는 2개의 부재를 잇거나 엇갈리게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철물로 강봉을 가공하여 만든다. 보통꺽쇠, 엇꺽쇠, 주걱꺽쇠 등으로 구분하며 두 재를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곳에 사용한다. 강력하게 당겨 조일 수 없으므로 하중을 많이 받는 곳이나 중요한 부재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단면의 모양이 원형인 꺽쇠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꺽쇠치기를 할 때에는 접합하는 두 부재를 밀착 시키고 꼭쇠를 두 부재에 같은 길이로 걸친 후 양 어깨부분을 교대로 망치로 때려서 박고 필요할 때에는 꺽쇠가리 파기를 한다.
꺽쇠의 종류
(바) 띠쇠 : 띠쇠는 평철을 띠형으로 가공하고 가시 못 또는 볼트구멍을 뚫어 만든 철물로 목재의 이음 및 맞춤부분에 대는 보강철물로 사용한다. 띠쇠는 지름 6mm이상의 가시 못 또는 볼트를 병용하고 판의 두께는 3 ~ 6mm, 나비는 20 ~60 mm 정도로 한다. 녹막이칠을 하여 사용하며, 띠쇠는 형상 및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로 구분한다.
① 감잡이쇠 : ㄷ자형으로 구부려 만든 띠쇠로서 왕대공과 평보, 평보와 ㅅ자보 등의 맞춤부분에 보강철물로 사용한다.
② ㄱ자쇠 : ㄱ자형으로 구부려 만든 띠쇠로서 모서리 가로재의 연결이나 가로재와 세로재의 긴결에 사용한다.
③ 안장쇠 : 안장모양으로 만든 철물로서 큰 보에 걸쳐 작은 보를 받게 할 때 사용한다.
띠쇠
(사) 듀벨 : 주로 보의 이음부분에서 보강철물로 사용되는 것으로 두 부재 사이에 끼워져 전단력에 저항하게 하는 일종의 산지로 볼트와
  • 가격2,500
  • 페이지수49페이지
  • 등록일2008.12.01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92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