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한국의 애니메이션, 그 차이와 미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과 한국의 애니메이션, 그 차이와 미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기본 용어.
1. 애니메이션의 정의
2. 일본 애니메이션의 정의 - Japanimation? アニメ?
3. 일본의 애니메이션
3-1.일본 애니메이션의 특징
3-2. 일본 애니메이션의 강점 1 - 작품 내적 요소
3-3. 일본 애니메이션의 강점 2 - 작품 외적 요소
4. 한국의 애니메이션
4-1.한국 애니메이션계의 현황과 문제점
4-2 문제점 해결방안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화의 임가공 수출
500억원
TV방송사 판권 수출
30억원
국내 제작 투자
500억원
극장용 작품 제작비
100억원(편당 20억원.연간평균5편0
TV용 애니메이션 제작비
30억원
일본 비디오 애니메이션
200억원
미국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TV, 극장
1000억원
미국 비디즈니 계열 애니메이션
100억원
블랙마켓(회현,세운, 용산전자상가 중심)
500억원
합계
4000억원
위의 표에 제시된 4000억에 달하는 한국 애니메이션 시장의 세부 내역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표 2-2> 애니메이션 시장규모 세부 내역
자료: 한창완, 한국 만화산업의 현황과 전망, 97춘천 만화축제 심포지움 토론 발제문
위 표를 보면, 소비시장으로는 미국 디즈니 침투에 의한 시장 규모가 가장 크고, 세운상가드을 중심으로 한 블랙마켓도 500억원의 규모를 가리키는 높은 시장규모를 보이고 있다. 애니메이션의 생산부문으로는 필름수출이 1000억원으로 가장 높고 동화의 임가공 수출등 하청이 그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애니메이션 시장규모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방송 애니메이션 중 국산 애니메이션의 전체 공급 물량은 다음 표와 같이 나타나고 있다.
연도
94
95
96
합계
극장용 애니메이션
1
4
2
7
영화
65
64
65
194
<표 2-3.> 국산 애니메이션 공급물량
자료: 공보처 내부자료, 국산 만화영화 제작 동향 , 1997,3
한국의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상대적으로 그 숫자나 규모가 작은데, 1994년부터 1996년까지 3년동안 제작된 작품을 합해도 7개에 불과하다. 이는 일본이 매해 15편 정도의 극장 애니메이션을 출시하고 있는 것에 비해 규모가 작다고 할 수 있다.
구분
분량
비고
기제작
97년말 출시
98년 상반기 출시
98년 하반기 이후 출시
17종 309편 10,419분
7종 115편 3,075분
9종 147편 4,004분
7종 182편 5,200분
극장용(5종)제외

40종 753편 22,689분
<표2-4> 국내 애니메이션 및 영화제작 편수
자료: 문화체육부 내부자료
회사명
회사명
회사명
회사명
1
경강동화
17
서울무비
33
예성동화
49
현영기업
2
계성프로
18
서울키즈
34
우리동화
50
효인동화
3
대원동화
19
선우프로
35
원프로덕션
51
희원상사
4
대일동화
20
성보양행
36
은하프로
52
도도프로덕션
5
두리프로덕션
21
선우 애니비젼
37
지우동화
53
한성동화
6
디알무비
22
선우애니코리아
38
창륜동화
54
아미손
7
동양동화
23
성산기획
39
케이프로덕션
55
라프트래프트
8
리프로덕션
24
성프로덕션
40
코리아 애니
56
샘ANIMATION
9
운성동화
25
세영애니텔
41
코코엔터테인먼트
57
진아트
10
바인동화
26
신우동화
42
하나프로덕션
58
프리스원
11
박프로덕션
27
씨니아이
43
한양동화
59
예림동화
12
배구동화
28
애니파워
44
한영동화
60
신원동화
13
산세동화
29
에이롬
45
한울동화
61
한신프로덕션
14
삼일동화
30
에이콤
46
한일동화
62
동우동화
15
새롬동화
31
에코동화
47
한진동화
63
16
서울다부
32
영우프로
48
한호흥업
<표2-5> 한국 애니메이션 제작사 현황
자료: 만화영화 제작자 협회
한국의 실사영화가 평균 60여편을 넘는 반면 애니메이션은 평균2편으로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적다. 현재 애니메이션제작사가 방송, 영화를 합해 62개에 이르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제작규모가 매우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애니메이션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주요 업체는 위의 표와 같다. 이들 대부분은 미국 일본 등의 하청 산업을 전담하고 있다 이중에는 소위 하청의 메이저와 그들의 재하청 기업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의 일부분에 참여하는 많은 군소업체들이 있다.
4-1-2.한국 애니메이션의 구조적 문제점
애니메이션 산업이 영상산업의 첨단 산업으로 매우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한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몇가지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한국 애니메이션은 가장 큰 문제점은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고부가가치는 독자적 기획이 아닌 외국 하청업체로부터 발생한다는 것이다. 즉. 기획. 시나리오, 원화, 캐릭터 디자인 등 핵심적인 창조력의 부분은 배양하지 못한채 .외국 기업이 정해준 캐릭터와 콘티 아래서 수작업만을 해왔던 것이다.k 즉 한국의 애니메이션은 광범위한 제작 기반에도 불구하고 기획력과 마케팅 측면은 열악한다는 문제를 남기게 되었다. 현재 한국 애니메이션은 제작 과정을 총괄할 수 있는 디렉터등 전문인력은 부족한 현상을 남기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애니메이션 관련인력은 양적으로 매우 풍부하며 한해 약 800명씩 관련 인력이 배출되고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이 아직까지는 주로 제작에만 관련되어 있고 프리. 메인 .포스트의 전 과정에 투입될 인력이 고루 배출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배출되는 인력의 대부분은 메인 프로덕션에 투입될 수 있는 인력이 대부분이다.
둘째. 한국 애니메이산업의 하청구조를 보변 소수 애니메이션 제작 업체들의 독점에 의해 이루어 지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애니메이션 제작 업체는 200명 규모의 자체 제작능력을 보유한 메이저급 프로덕션이 10여개. 그 외 200여개 의 재하청 업체에 약 2만여명의 애니메이터가 동화와 원화 채화 등에 종사하고 있으며 90년대 이후 설립된 컴퓨터 디지털 에니메이션 제작사가 약 100여개 이른다. 결국 약 300여개의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국내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대게 종사자의 수는 3만명 수준으로 파악된다.
<표3-1>10대 애니메이션 업체 현황 (1998년 6월)
그러나 해외 메이저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발주한 하청 프로젝트의 80%정도를 상위 10여개 업체가 수행하고 있는 것이 국내 하청독점현상이다. 이러한 메이저급 프로덕션사는 재하청 업체에게 하청을 맡기고 또다시 하청을 주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많은 수의 애니메에터들이 계약직이기 때문에 하나의 작품이 끝나면 흩어지는 이합집산을 거듭하고 있다. ABC, 구분
매출액(천달러)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12.01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94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