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호텔사업계획의 기본적 이론
Ⅱ. 계획을 위한 기획조사
1. 입지조사
1) 관광권역 및 지역상권조사
2) 자연․인문환경 조사
3) 관광환경 조사
Ⅲ. 경영계획
1. 경영방식계획
1) 단독경영 호텔
2) 프랜차이즈 호텔
3) 위탁경영계약 호텔
4) 리퍼럴 조직경영 호텔
5) 임차경영 호텔
2. 운영계획
1) 인원조직
2) 식음료부문 계획
3) 객실부문 계획
3. 마케팅계획
1) 호텔마케팅의 개념
2) 호텔마케팅의 특성
3) 호텔마케팅 커뮤니케이션
4) 리츠칼튼의 마케팅
Ⅳ. 건축계획
1) 건축개요
2) 객실별 현황(예시)
3) 식음료업장 현황(예시)
4) 부대시설 현황(예시)
Ⅴ.결론
Ⅱ. 계획을 위한 기획조사
1. 입지조사
1) 관광권역 및 지역상권조사
2) 자연․인문환경 조사
3) 관광환경 조사
Ⅲ. 경영계획
1. 경영방식계획
1) 단독경영 호텔
2) 프랜차이즈 호텔
3) 위탁경영계약 호텔
4) 리퍼럴 조직경영 호텔
5) 임차경영 호텔
2. 운영계획
1) 인원조직
2) 식음료부문 계획
3) 객실부문 계획
3. 마케팅계획
1) 호텔마케팅의 개념
2) 호텔마케팅의 특성
3) 호텔마케팅 커뮤니케이션
4) 리츠칼튼의 마케팅
Ⅳ. 건축계획
1) 건축개요
2) 객실별 현황(예시)
3) 식음료업장 현황(예시)
4) 부대시설 현황(예시)
Ⅴ.결론
본문내용
울 수 있다.
부서 및 구분
직원 및 인원
소계
합계
1
14
관리
부문
총무부
총무부
부장1
총무과
과장1, 사원2
3
인사과
과장1, 사원2
3
구매과
과장1, 사원2
3
비상계획과
과장1, 사원3
4
경리부
경리부
부장1
1
16
경리과
과장1, 사원3
4
영업회계과
과장1, 사원4
5
자재관리과
과장1, 사원2
3
전산과
과장1, 사원2
3
시설부
시설부
부장1
1
14
영선과
과장1, 사원6
7
설비과
과장1, 사원5
6
영업
부문
객실부
객실부
부장1
1
32
객실과
과장1, 대리1, 클럭3, 교환2, 벨맨6, 예약2
15
객실관리과
과장1, 대리1, 세탁3, 룸메이트7, 플로어2
14
당직지배인
당직지배인2
2
마케팅부
마케팅부
부장1
1
10
판촉과
과장1, 사원4
5
홍보과
과장1, 사원3
4
식음료부
식음료부
부장1
1
40
식음료과
양식당
지배인1, 부지배인1, 캡틴1, 사원4
7
한식당
지배인1, 부지배인1, 캡틴1, 사원4
7
일식당
지배인1, 부지배인1, 캡틴1, 사원4
7
중식당
지배인1, 부지배인1, 캡틴1, 사원4
7
스카이
지배인1, 캡틴1, 사원3
5
커피숍
지배인1, 캡틴1, 사원2
4
베이커리
캡틴1, 사원1
2
부대
사업부
부대사업부
부장1
1
21
연회과
과장1
1
대연회장
지배인1, 캡틴1, 사원3
5
소연회장
지배인1, 캡틴1, 사원2
4
부대
사업과
과장1
1
헬스, 수영장(스포츠)
지배인1, 사원2
3
나이트, 단란주점
지배인1, 캡틴1,사원4
6
조리부
조리부
부장1
1
33
조리과
과장1
1
양식당
주방장1, 부주방장1, 사원3
5
한식당
주방장1, 부주방장1, 사원3
5
일식당
주방장1, 부주방장1, 사원3
5
중식당
주방장1, 부주방장1, 사원3
5
스카이
주방장1, 부주방장1, 사원2
4
커피숍
주방장1, 사원1
2
베이커리
주방장1, 사원1
2
기물관리과
과장1, 사원2
3
합 계
179
표 Ⅲ-2(소요인원총괄)
2) 식음료 부문
호텔에 있어서 식음료 사업은 객실영업과 함께 양대 수익 발생원이며, 타 호텔과의 경쟁에 있어서도 우위를 점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객실이용률을 증대시키는 데에도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식음료 부문의 중요성은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다.
1988년 이후 우리나라의 식음료 상품판매액과 객실 상품판매액의 비율은 50%대 30% 정도로 객실상품 판매액과 비교해 볼 때 식음료 상품의 중요도는 배가되었다. 오늘날 호텔의 식음료 판매는 호텔 총 판매액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측면의 복합성 때문에 16~18%의 영업수익만 내고 있는 실정이다.
70년대에는 우리나라 관광호텔이 조중석식을 모두 제공한 다이닝 룸(Dining Room) 혹은 레스토랑과 일품요리를 판매하는 그릴(Grill)뿐이었는데, 1978년 관광붐과 더불어 대형 특급호텔이 오픈 하면서 1일 3식의 식사보다는 칵테일 라운지, 나이트 클럽, 전문요리 식당에 눈을 뜨게 되었고, 1980년 이후 국제회의 유치가 강화되면서 컨벤션과 연회를 위한 연회장으로 고객의 유치가 가능했다.
※ 식음료 부분의 종류
메인 다이닝 룸(Main Dining Room)
근래에는 메인 다이닝 룸이란 명칭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레스토랑에 각자 고유의 명칭을 붙여서 사용하고 있다. 메인 다이닝 룸이란 아침, 점심, 저녁의 식사시간을 정하여 정식을 제공하는 호텔의 대식당 또는 주식당을 말한다.
최근에는 정식만을 제공하는 식당을 거의 찾아 볼 수 없고, 정식과 일품요리를 함께 취급하는 것이 보통으로 되어 있다.
그릴(Gril)
일반적으로 고급의 일품요리를 서비스하는 식당을 가리킨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정식도 제공하는 호텔이 있다. 그릴은 호텔의 고급식당이기 때문에 실내장식에 신경을 많이 쓰고 음악 등을 들려주기도 한다.
뷔페(Buffet)
일정한 요금을 지불하고 잘 준비된 각종 음식물을 직접 자기 마음대로 접시에 담아 테이블로 가져와 마음껏 먹을 수 있는 셀프 서비스 형식의 식당이다. 뷔페식당에서 지켜야 할 매너는 가져온 음식물을 남기지 않도록 해야한다.
런치 카운터(Lunch Counter)
손님이 요리의 조리과정을 볼 수 있게 카운터 테이블을 마련해 놓고 조리사에게 직접 음식을 주문하고, 제공받는 셀프 서비스 식당을 말한다.
카페테리아(Cafeteria)
손님이 요금을 지불하고 카운터 테이블에 준비된 음식물을 직접 담아 테이블에 와서 식사하는 셀프 서비스 형식의 식당을 말한다.
스낵 바(Snack Bar)
일정의 가벼운 음식물과 음료를 제공하는 간이식당이다. 스낵 룸이라고도 한다.
커피 숍(Coffee Shop)
커피나 기타 음료를 판매하고 손님이 요구하면 간단한 식사도 서비스하는 식당을 말한다. 보통 밤늦은 시간까지 영업을 한다. 커피 숍은 호텔의 여러 식당 중에서 수익면에서 중요한 곳이다.
리후레쉬먼트 스탠드( Refreshment Stand )
일종의 간이 매점으로 바쁜 손님을 위하여 음식물을 제공하고 있는 곳이다. 테이블이나 의자는 없으며 햄버거, 우유 등 간단한 음식을 제공한다.
한식당( Korean Restaurant )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호텔이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호텔의 수익면에서 신경을 써야 할 식당이다.
일식당( Japanese Restaurant )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손님 가운데 일본인이 제일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호텔에 일식당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중국식당( Chinese Restaurant )
우리나라를 찾는 중국인뿐만 아니라 한국사람도 중식당을 찾는 손님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호텔에 중식당이 설치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외에도 호텔의 규모에 따라서 위스키 바, 와인 바, 베이커리, 멤버쉽 클럽, 나이트클럽 등이 각기 다르게 설치되어 있으며 식당의 종류는 형태별, 서비스별로 크게 대별할 수 있고 표 Ⅲ-3처럼 서울시내 특급호텔은 전문식당과 간이식당, 바, 그리고 연회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호텔
구분
워커힐
롯데
신라
하얏트
르네상스
힐튼
대연회장
Mugunghwa
Crystal
Dynasty
Grand
Ballroom
Diamond
Grand
Ballroom
커피
부서 및 구분
직원 및 인원
소계
합계
1
14
관리
부문
총무부
총무부
부장1
총무과
과장1, 사원2
3
인사과
과장1, 사원2
3
구매과
과장1, 사원2
3
비상계획과
과장1, 사원3
4
경리부
경리부
부장1
1
16
경리과
과장1, 사원3
4
영업회계과
과장1, 사원4
5
자재관리과
과장1, 사원2
3
전산과
과장1, 사원2
3
시설부
시설부
부장1
1
14
영선과
과장1, 사원6
7
설비과
과장1, 사원5
6
영업
부문
객실부
객실부
부장1
1
32
객실과
과장1, 대리1, 클럭3, 교환2, 벨맨6, 예약2
15
객실관리과
과장1, 대리1, 세탁3, 룸메이트7, 플로어2
14
당직지배인
당직지배인2
2
마케팅부
마케팅부
부장1
1
10
판촉과
과장1, 사원4
5
홍보과
과장1, 사원3
4
식음료부
식음료부
부장1
1
40
식음료과
양식당
지배인1, 부지배인1, 캡틴1, 사원4
7
한식당
지배인1, 부지배인1, 캡틴1, 사원4
7
일식당
지배인1, 부지배인1, 캡틴1, 사원4
7
중식당
지배인1, 부지배인1, 캡틴1, 사원4
7
스카이
지배인1, 캡틴1, 사원3
5
커피숍
지배인1, 캡틴1, 사원2
4
베이커리
캡틴1, 사원1
2
부대
사업부
부대사업부
부장1
1
21
연회과
과장1
1
대연회장
지배인1, 캡틴1, 사원3
5
소연회장
지배인1, 캡틴1, 사원2
4
부대
사업과
과장1
1
헬스, 수영장(스포츠)
지배인1, 사원2
3
나이트, 단란주점
지배인1, 캡틴1,사원4
6
조리부
조리부
부장1
1
33
조리과
과장1
1
양식당
주방장1, 부주방장1, 사원3
5
한식당
주방장1, 부주방장1, 사원3
5
일식당
주방장1, 부주방장1, 사원3
5
중식당
주방장1, 부주방장1, 사원3
5
스카이
주방장1, 부주방장1, 사원2
4
커피숍
주방장1, 사원1
2
베이커리
주방장1, 사원1
2
기물관리과
과장1, 사원2
3
합 계
179
표 Ⅲ-2(소요인원총괄)
2) 식음료 부문
호텔에 있어서 식음료 사업은 객실영업과 함께 양대 수익 발생원이며, 타 호텔과의 경쟁에 있어서도 우위를 점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객실이용률을 증대시키는 데에도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식음료 부문의 중요성은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다.
1988년 이후 우리나라의 식음료 상품판매액과 객실 상품판매액의 비율은 50%대 30% 정도로 객실상품 판매액과 비교해 볼 때 식음료 상품의 중요도는 배가되었다. 오늘날 호텔의 식음료 판매는 호텔 총 판매액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측면의 복합성 때문에 16~18%의 영업수익만 내고 있는 실정이다.
70년대에는 우리나라 관광호텔이 조중석식을 모두 제공한 다이닝 룸(Dining Room) 혹은 레스토랑과 일품요리를 판매하는 그릴(Grill)뿐이었는데, 1978년 관광붐과 더불어 대형 특급호텔이 오픈 하면서 1일 3식의 식사보다는 칵테일 라운지, 나이트 클럽, 전문요리 식당에 눈을 뜨게 되었고, 1980년 이후 국제회의 유치가 강화되면서 컨벤션과 연회를 위한 연회장으로 고객의 유치가 가능했다.
※ 식음료 부분의 종류
메인 다이닝 룸(Main Dining Room)
근래에는 메인 다이닝 룸이란 명칭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레스토랑에 각자 고유의 명칭을 붙여서 사용하고 있다. 메인 다이닝 룸이란 아침, 점심, 저녁의 식사시간을 정하여 정식을 제공하는 호텔의 대식당 또는 주식당을 말한다.
최근에는 정식만을 제공하는 식당을 거의 찾아 볼 수 없고, 정식과 일품요리를 함께 취급하는 것이 보통으로 되어 있다.
그릴(Gril)
일반적으로 고급의 일품요리를 서비스하는 식당을 가리킨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정식도 제공하는 호텔이 있다. 그릴은 호텔의 고급식당이기 때문에 실내장식에 신경을 많이 쓰고 음악 등을 들려주기도 한다.
뷔페(Buffet)
일정한 요금을 지불하고 잘 준비된 각종 음식물을 직접 자기 마음대로 접시에 담아 테이블로 가져와 마음껏 먹을 수 있는 셀프 서비스 형식의 식당이다. 뷔페식당에서 지켜야 할 매너는 가져온 음식물을 남기지 않도록 해야한다.
런치 카운터(Lunch Counter)
손님이 요리의 조리과정을 볼 수 있게 카운터 테이블을 마련해 놓고 조리사에게 직접 음식을 주문하고, 제공받는 셀프 서비스 식당을 말한다.
카페테리아(Cafeteria)
손님이 요금을 지불하고 카운터 테이블에 준비된 음식물을 직접 담아 테이블에 와서 식사하는 셀프 서비스 형식의 식당을 말한다.
스낵 바(Snack Bar)
일정의 가벼운 음식물과 음료를 제공하는 간이식당이다. 스낵 룸이라고도 한다.
커피 숍(Coffee Shop)
커피나 기타 음료를 판매하고 손님이 요구하면 간단한 식사도 서비스하는 식당을 말한다. 보통 밤늦은 시간까지 영업을 한다. 커피 숍은 호텔의 여러 식당 중에서 수익면에서 중요한 곳이다.
리후레쉬먼트 스탠드( Refreshment Stand )
일종의 간이 매점으로 바쁜 손님을 위하여 음식물을 제공하고 있는 곳이다. 테이블이나 의자는 없으며 햄버거, 우유 등 간단한 음식을 제공한다.
한식당( Korean Restaurant )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호텔이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호텔의 수익면에서 신경을 써야 할 식당이다.
일식당( Japanese Restaurant )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손님 가운데 일본인이 제일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호텔에 일식당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중국식당( Chinese Restaurant )
우리나라를 찾는 중국인뿐만 아니라 한국사람도 중식당을 찾는 손님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호텔에 중식당이 설치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외에도 호텔의 규모에 따라서 위스키 바, 와인 바, 베이커리, 멤버쉽 클럽, 나이트클럽 등이 각기 다르게 설치되어 있으며 식당의 종류는 형태별, 서비스별로 크게 대별할 수 있고 표 Ⅲ-3처럼 서울시내 특급호텔은 전문식당과 간이식당, 바, 그리고 연회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호텔
구분
워커힐
롯데
신라
하얏트
르네상스
힐튼
대연회장
Mugunghwa
Crystal
Dynasty
Grand
Ballroom
Diamond
Grand
Ballroom
커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