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바이러스의 분류
(1)DNA형 바이러스
(2)RNA형 바이러스
바이러스 입자의 화학적 성상
바이러스 실험실내 배양법
바이러스 증식
바이러스의 감염형식
바이러스가 세포에 끼치는 변화
바이러스병의 성립과정
바이러스병의 실험실내 진단법
(1)DNA형 바이러스
(2)RNA형 바이러스
바이러스 입자의 화학적 성상
바이러스 실험실내 배양법
바이러스 증식
바이러스의 감염형식
바이러스가 세포에 끼치는 변화
바이러스병의 성립과정
바이러스병의 실험실내 진단법
본문내용
바이러스는 미생물 중에서 가장 작은 (약 20~30nm) 감염성 인자이다. 비루스라고도 한다. 바이러스는 세균, 진균, 원충과는 달리 전형적인 세포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고, 인공적인 배지에서는 배양할 수 없지만 살아 있는 세포에서는 선택적으로 기증 ·증식한다. 바이러스는 생존에 필요한 물질로서 핵산(DNA 또는 RNA)과 소수의 단백질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밖의 모든 것은 숙주세포에 의존하여 살아간다. 결정체로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생물 ·무생물 사이에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증식과 유전이라는 생물 특유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대체로 생명체로 간주된다. 세균보다 작아서 세균여과기로도 분리할 수 없고,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지 않으면 볼 수 없는 작은 입자이다. 세균을 포함한 모든 세포는 DNA 와 RNA 두 가지 핵산을 갖고 있으나,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 가운데 한 가지만 존재하며, 종에 따라 핵산은 단일사슬(single strand) 또는 이중사슬 (double strand)로 존재한다.
♧바이러스와 다른 병원체의 생물학적 특성 차이
특징
핵산의 종류
핵막의 유무
세포벽
항생제 감수성
증식장소
증식방법
바이러스
DNA혹은RNA
-
-
-
숙주세포내
복제
세균
DNA와RNA
-
peptidoglycan
+
숙주세포내외
이분열
진균
DNA와RNA
존재
chitin
-
숙주세포내외
무유성생식
원충
DNA와RNA
존재
-
±
숙주세포내외
무유성생식
핵산은 캡시드(capsid)라고 불리는 단백질 외각에 둘러싸여 있으며, 핵산과 캡시드를 합하여 뉴클레오캡시드 (nucleocapsid)라고 한다. 뉴클레오캡시드는 바이러스의 종에 따라 구상(정 20면체) 또는 봉상구조를 이룬다. 일부 바이러스는 뉴클레오캡시드가 바이러스 본체이지만 그 외 바이러스는 외피(envelope)라 불리는 막에 둘러싸여 바이러스 입자를 형성한다.
외피는 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부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며, 지질성분은 에테르나 담즙에 감수성이 있어 외피를 갖는 바이러스를 분류하는데 이용된다.
바이러스의 분류
바이러스의 분류는 감염 숙주에 따라 동물바이러스(animal virus), 식물바이러스(plant virus), 세균에서 증식하는 세균바이러스(bacteriophage)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바이러스의 핵산형(DNA바이러스, RNA바이러스) 크기와 캡시드 대칭형의 양상, capsomere의 수, 면역학적 특성, 전파양식, 임상증상에 기준을 두고 분류한다.
(1)DNA형 바이러스
1) 외피 비보유 DNA형 바이러스 (DNA nonenveloped virus)
Adenovirus : 사람에게 감염성이 있는 adenovirus는 혈청학적으로 31형이다. 호흡기의 점막 및 각막, 기타 장기의 상피세포를 통해 감염되며, 급성인 호흡기질환, 각결막염 등을 일으키나, 건강인에게서도 높은 비율로 분리된다. 주로 8형으로서 유행성 각결막염이 3, 7, 14형에서 인두결막열이 발병한다. 또한 유아 장중적중, 소아에게 흔한 급성 출혈성 방광염도 adenovirus가 강력히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Papillomavirus : 20면체의 nucleocapsid와 구형의 2가닥 DNA를 가진 외피 보유 바이러스로, 피부 또는 생식기 병소의 직접 접촉에 의해 전염된다. 유두종(사마귀), 경부와 음경의 암과 관련이 있는 condylomata acuminata를 일으킨다. 치료를 위해 Podophyllin이나 liquid nitrogen 이 가장 흔히 사용된다.
2)외피보유 DNA바이러스 (DNA enveloped virus)
Herpes Simplex virus (type1) : 20면체의 nucleocapsid와 2가닥의 선상 DNA를 가진 외피 보유 바이러스로 타액이나 수포(vesicle)로부터 바이러스를 직접 접촉함으로써 감염된다. 구순의 단순포진(herpes labialis), 각막염, 뇌염 등 주로 허리 윗부분에서 발증한다. 초기의 수포 병소는 입이나 안면이고 그 후 바이러스는 축삭을 따라 이동하고 감각 신경절에서 잠복기로 들어간다. 치료하기위해 acyclovir가 사용된다.
Herpes Simplex virus (type2) : 20면체의 nucleocapsid와 2가닥의 선 모양 DNA를 가진 외피 보유 바이러스로 성인은 성접촉에 의해, 신생아는 출생 경로를 통해 감염된다. 병원성으로 생식기포진, 무균성 수막염 및 신생아 감염을 일으킨다
Varicella-Zoster virus : HSV와 유사하며 항원적으로는 동일한 바이러스 인데 어린이에게는 수두(chickenpox), 어른에게는 대상포진(zoster)을 일으킨다.
수두는 12~16일간의 잠복기 후 발열, 권태감의 전구증상에 잇따라 재빨리 발진이 생긴다. 처음에는 몸통에서 안면으로 퍼져 반점, 구진, 수포로 변하여 3~4일 간은 이들이 차례차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대상포진은 잠복기간이 분명치 않다. 성인에게 산발적으로 발병하는데 척수후근이나 연수외두부신경절에 대응하는 피부절에 일치하여 심한 통증이 나고 이어 그 부위에 수포가 생긴다. 수액에 일파구성 세포가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면액억제제의 투여는 이 질환을 악화시킨다고 한다.
수두는 주로 비말(droplet)에 의해 전염되지만, 대상포진은 전염되지 않는다. 초기 감염은 호흡기계에서 나타나는데, 혈류를 통해 간 등 내부장기로 퍼져나가고 그 후 피부로 확산한다. 바이러스 수두의 급성 감염후에 감각 신경절에서 잠복기로 남게되고 몇 년 후 고령자나 면역이 약한 사람에게 대상포진을 일으킬 수 있다.
Cytomegalovirus : 체액, 태반 또는 장기이식을 통해 전염되며 유아에게서 선천성 질환의 하나인 선천성 거대세포봉입체증(congenital cytomegalic inclusion disease) 을 일으킨다. 극히 불안정한 바이러스로 -70℃에서도 급속히 불활성화되며, 35% solbitol 존재하에 -90℃에서 보존하면 비교적 안전하다. 선천적으로 감염된 경우와 후천적으로 감염된
♧바이러스와 다른 병원체의 생물학적 특성 차이
특징
핵산의 종류
핵막의 유무
세포벽
항생제 감수성
증식장소
증식방법
바이러스
DNA혹은RNA
-
-
-
숙주세포내
복제
세균
DNA와RNA
-
peptidoglycan
+
숙주세포내외
이분열
진균
DNA와RNA
존재
chitin
-
숙주세포내외
무유성생식
원충
DNA와RNA
존재
-
±
숙주세포내외
무유성생식
핵산은 캡시드(capsid)라고 불리는 단백질 외각에 둘러싸여 있으며, 핵산과 캡시드를 합하여 뉴클레오캡시드 (nucleocapsid)라고 한다. 뉴클레오캡시드는 바이러스의 종에 따라 구상(정 20면체) 또는 봉상구조를 이룬다. 일부 바이러스는 뉴클레오캡시드가 바이러스 본체이지만 그 외 바이러스는 외피(envelope)라 불리는 막에 둘러싸여 바이러스 입자를 형성한다.
외피는 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부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며, 지질성분은 에테르나 담즙에 감수성이 있어 외피를 갖는 바이러스를 분류하는데 이용된다.
바이러스의 분류
바이러스의 분류는 감염 숙주에 따라 동물바이러스(animal virus), 식물바이러스(plant virus), 세균에서 증식하는 세균바이러스(bacteriophage)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바이러스의 핵산형(DNA바이러스, RNA바이러스) 크기와 캡시드 대칭형의 양상, capsomere의 수, 면역학적 특성, 전파양식, 임상증상에 기준을 두고 분류한다.
(1)DNA형 바이러스
1) 외피 비보유 DNA형 바이러스 (DNA nonenveloped virus)
Adenovirus : 사람에게 감염성이 있는 adenovirus는 혈청학적으로 31형이다. 호흡기의 점막 및 각막, 기타 장기의 상피세포를 통해 감염되며, 급성인 호흡기질환, 각결막염 등을 일으키나, 건강인에게서도 높은 비율로 분리된다. 주로 8형으로서 유행성 각결막염이 3, 7, 14형에서 인두결막열이 발병한다. 또한 유아 장중적중, 소아에게 흔한 급성 출혈성 방광염도 adenovirus가 강력히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Papillomavirus : 20면체의 nucleocapsid와 구형의 2가닥 DNA를 가진 외피 보유 바이러스로, 피부 또는 생식기 병소의 직접 접촉에 의해 전염된다. 유두종(사마귀), 경부와 음경의 암과 관련이 있는 condylomata acuminata를 일으킨다. 치료를 위해 Podophyllin이나 liquid nitrogen 이 가장 흔히 사용된다.
2)외피보유 DNA바이러스 (DNA enveloped virus)
Herpes Simplex virus (type1) : 20면체의 nucleocapsid와 2가닥의 선상 DNA를 가진 외피 보유 바이러스로 타액이나 수포(vesicle)로부터 바이러스를 직접 접촉함으로써 감염된다. 구순의 단순포진(herpes labialis), 각막염, 뇌염 등 주로 허리 윗부분에서 발증한다. 초기의 수포 병소는 입이나 안면이고 그 후 바이러스는 축삭을 따라 이동하고 감각 신경절에서 잠복기로 들어간다. 치료하기위해 acyclovir가 사용된다.
Herpes Simplex virus (type2) : 20면체의 nucleocapsid와 2가닥의 선 모양 DNA를 가진 외피 보유 바이러스로 성인은 성접촉에 의해, 신생아는 출생 경로를 통해 감염된다. 병원성으로 생식기포진, 무균성 수막염 및 신생아 감염을 일으킨다
Varicella-Zoster virus : HSV와 유사하며 항원적으로는 동일한 바이러스 인데 어린이에게는 수두(chickenpox), 어른에게는 대상포진(zoster)을 일으킨다.
수두는 12~16일간의 잠복기 후 발열, 권태감의 전구증상에 잇따라 재빨리 발진이 생긴다. 처음에는 몸통에서 안면으로 퍼져 반점, 구진, 수포로 변하여 3~4일 간은 이들이 차례차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대상포진은 잠복기간이 분명치 않다. 성인에게 산발적으로 발병하는데 척수후근이나 연수외두부신경절에 대응하는 피부절에 일치하여 심한 통증이 나고 이어 그 부위에 수포가 생긴다. 수액에 일파구성 세포가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면액억제제의 투여는 이 질환을 악화시킨다고 한다.
수두는 주로 비말(droplet)에 의해 전염되지만, 대상포진은 전염되지 않는다. 초기 감염은 호흡기계에서 나타나는데, 혈류를 통해 간 등 내부장기로 퍼져나가고 그 후 피부로 확산한다. 바이러스 수두의 급성 감염후에 감각 신경절에서 잠복기로 남게되고 몇 년 후 고령자나 면역이 약한 사람에게 대상포진을 일으킬 수 있다.
Cytomegalovirus : 체액, 태반 또는 장기이식을 통해 전염되며 유아에게서 선천성 질환의 하나인 선천성 거대세포봉입체증(congenital cytomegalic inclusion disease) 을 일으킨다. 극히 불안정한 바이러스로 -70℃에서도 급속히 불활성화되며, 35% solbitol 존재하에 -90℃에서 보존하면 비교적 안전하다. 선천적으로 감염된 경우와 후천적으로 감염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