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비파괴검사
<1> 비파괴 검사란
<2> 비파괴 검사의 원리
<3> 비파괴 검사의 종류
(1) 표면 결함 비파괴 검사
(2) 내부결함 비파괴 검사
(3) 기타 비파괴 검사
<4> 비파괴 검사의 예
<5> 느낀점 및 소견
Ⅱ.소 성 가 공
<1> 소성가공 이란?
(1) 소 성 이 란
(2) 소성가공(plastic working)
<2> 소성가공 특성
<3> 소성가공 분류
<4> 소성가공의 종류
(1) 단조
(2) 압연
(3) 압출
(4) 전조
Ⅲ.프레스 가공의 안전장치
Ⅳ. 출 처
<1> 비파괴 검사란
<2> 비파괴 검사의 원리
<3> 비파괴 검사의 종류
(1) 표면 결함 비파괴 검사
(2) 내부결함 비파괴 검사
(3) 기타 비파괴 검사
<4> 비파괴 검사의 예
<5> 느낀점 및 소견
Ⅱ.소 성 가 공
<1> 소성가공 이란?
(1) 소 성 이 란
(2) 소성가공(plastic working)
<2> 소성가공 특성
<3> 소성가공 분류
<4> 소성가공의 종류
(1) 단조
(2) 압연
(3) 압출
(4) 전조
Ⅲ.프레스 가공의 안전장치
Ⅳ. 출 처
본문내용
회전 롤 사이로 통과시켜 판재나 레일 등의 형재를 성형하는 가공 방법이다.
1)열간 압연: 가공물의 소성이 크므로 압연동력이 적게 소비되고 변형을 크게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잔류응력이 적으나 표면이 거칠고 정밀한 치수가 얻어지지 않는다
2)냉간 압연: 제품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표면이 고우며, 치수가 정확하고, 주로 박판및 대강 등에 사용된다. 소요 동력이 크고, 내부응력이 커지며, 가공경화에 의한 취성을 동반하므로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연화시켜야 한다.
③ 압출: 컨테이너 속에 고온 가열된 소재를 넣고 램으로 압력을 가해 다이 구멍을 통과시켜 소요의 형상을 얻는 가공 방법으로 알루미늄,구리,아연 합금등이 있다.
1) 직접 압출(direction extrusion): 전방압출(forwardextrusion)이라고도 하며 치약을 짜내는 것과 비슷한 원리이다. 빌렛은 용기의 벽면에 대하여 상대운동을 하므로 벽면과의 마찰로 인해 램 하중이 매우 크다.
2) 간접 압출(indirect extrusion): 후방압출(backward extrusion)이라고도 하며, 다이가 빌렛 쪽으로 움직이므로 빌렛과 용기의 벽면에서의 마찰은 없다.
3) 정수압 압출(hydrostatic extrusion): 챔버에 유체를 채우고 이를 통하여 빌렛에 압력을 전달하여 다이를 통과시켜 압출시켜 성형되도록 한다. 용기 벽면에서의 마찰은 없다.
4) 충격압출( impact extrusion) : 간접 압출의 일종으로 속이 빈 용기를 만드는데 적합하다. 압출은 상온이나 열간에서 행해진다. 압출 공정은 용기를 사용하며, 각 빌렛(소재)을 개별적으로 압출하므로 개별 제품을 준 생산 하거나, 연속공정으로 중간재를 생산하게 된다.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유동
응력이 비슷하면 압출 공정으로 이종금속끼리 접합(cladding)하여 동축 빌렛 (구리 봉에 은을 입히는 등으로)을 제조할 수 있다.
④ 전조(form rolling): 압연과 비슷한 방법으로 수나사 또는 기어 가공에 쓰이는 방법이고, 원주로 된 재료를 롤러 모형의 형을 회전시켜 가공하는 방법으로 주로 너어링이 쓰인다.전조된 나사 표면은 소성변형으로 조직이 좋게 되고 경화되어 있어 인장강도 및 피로강도가 증가되고, 또한 충격에 대하여도 강하다. 전조에 사용되는 재료에는 보통 연강, 강인강, 풀림한 공구강, 63%이상의 Cu를 함유한 황동, 경합금 등이다. 재료에 결함만 없다면 위의 모든 재료의 전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나사 두부의 업셋 단조 또는 콜드헤딩(cold heading)등 과 병합되어 대량 생산에 이용된다.
1) 전조의 장점
- 섬유상 조직이 형성되어 강인한 조직의 제품을 얻음
- 냉간 가공을 하기 때문에, 가공 경화되어 제품이 단단함
- 가공 속도가 빠르고, 대량 생산 및 자동화가 쉽다.
- 절삭 칩이 생기지 않으므로, 표면이 깨끗하고 재료의 낭비가 적다.
- 재료와 공구가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가공이 가능
Ⅲ.프레스 가공의 안전장치
<<프레스 가공이란??>>
(1)프레스: 넓은 뜻으로 소성가공의 대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좁은 뜻으로는 프레스 기계에 의한 가공을 말한다.
(2)프레스의 장점
-다른 생산방법에 비하여 쉽게 가공할 수 있다.
-재료의 인성이 우수하고, 결량인 강한 부품을 만들 수 있다.
-대량생간일 경우 절삭가공에 비하여 매우 균질한 정밀도의 부품을 만들수 있다.
-프레스 기술의 진보에 따라서 생산성의 향상이 높다.
-가공 후 스크랩(scrap)의 재생으로 재료의 이용률이 높다.
-다른 절삭가공보다 높은 기량을 필요치 않는다.
(3)프레스의 단점
-충분한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가인 프레스용 금형을 만들어야 한다.
-생산량이 적은 경우에 생산비가 높다.
-금형(Die) 제작기간이 길기 때문에 납기에 문제가 된다.
-부품의 종류에 따라서 적합한 프레스 기계가 필요하다.
-위험성이 높고 재해가 크므로 필요 이상의 안전대책이 필요하다.
<<프레스 안전을 위한 안전장치>>
(1) 프레스 종류 및 작업내용에 가장 적절한 방호 장치를 사용한다.
(2) 2종류 이상의 방호장치를 병행하여 사용한다.
- 광전자식
1)급정지장치가 없는 구조의 프레스는 사용을 하지 않는다
2)프레스 정지기능에 알맞는 안전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3)스트로크 저정길이에 따라 광축수가 알맞아야 한다.
4)안전율 또는 가드를 병행하여 사용해야 한다.
5) 광축수와 방호높이(L)는 {슬라이즈 조절량 + 샹크 길이}가 되야 한다.
- 양수 조작식
1)1행정 1정지 기능이 있는 프레스를 사용해야 한다.
2)양수버튼의 거리는 300mm이상이어야 한다.
3)양손으로 동시에 1초 이내에 버튼을 눌렀을때만 작동되야 한다.
-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1)120SPM미만에 적용해야 한다.
2)손쳐내기판의 폭은 금형크기의 1/2이상이어야 한다.
3)높이는 행정길이 이상이어야 한다.
-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1)볼트, 너트의 풀림장치 처리를 확실히 해애 한다.
2)수인줄의 강도를 유지하고 마모상태를 자주 점검해야 한다.
3)수인줄의 끄는 양은 정반 세로길이의 1/2이상이어야 한다.
<<느낀점 및 나의 소견>>
: 소성 가공에는 형태와 쓰임에 따라서 종류가 다양했다. 소성가공이 말이 생소하기는 했지만 조사를 하면서 우리 생활에서 한가지 이상은 씌이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정말 종류도 많고 자료도 방대하여 어떤 부분이 내가 원하는 부분인지 고민도 많이 되었다. 비록 레포트의 주요 쟁점과 많이 틀렸을 수도 있지만 내가 이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소성가공이라는 것에 대해 많이 알게 되어 한가지 이상은 나에게 도움이 됐다고 생각한다. 자료를 찾으면서 많은 동영상까지도 보았기 때문에 단순히 글만 보았을 때보다 많은 구조를 보고 느낄수 있었다.
프레스는 내가 전에 군대에서 전역을 하고 일을 하면서 보았던 프레스를 생각하면서 자료를 찾았다. 그 프레스에는 금형이 아주 작았지만 위에서 누르는 힘이 엄청났다. 금형에는 금속으로 가늘게 되어 있어 위에서 누르면 금속에 부딪혀 종이가 깔끔하게 잘려나갔었다. 실행을 할 때는 빨간색으로 배 정도 위치의 동그란 버튼이
1)열간 압연: 가공물의 소성이 크므로 압연동력이 적게 소비되고 변형을 크게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잔류응력이 적으나 표면이 거칠고 정밀한 치수가 얻어지지 않는다
2)냉간 압연: 제품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표면이 고우며, 치수가 정확하고, 주로 박판및 대강 등에 사용된다. 소요 동력이 크고, 내부응력이 커지며, 가공경화에 의한 취성을 동반하므로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연화시켜야 한다.
③ 압출: 컨테이너 속에 고온 가열된 소재를 넣고 램으로 압력을 가해 다이 구멍을 통과시켜 소요의 형상을 얻는 가공 방법으로 알루미늄,구리,아연 합금등이 있다.
1) 직접 압출(direction extrusion): 전방압출(forwardextrusion)이라고도 하며 치약을 짜내는 것과 비슷한 원리이다. 빌렛은 용기의 벽면에 대하여 상대운동을 하므로 벽면과의 마찰로 인해 램 하중이 매우 크다.
2) 간접 압출(indirect extrusion): 후방압출(backward extrusion)이라고도 하며, 다이가 빌렛 쪽으로 움직이므로 빌렛과 용기의 벽면에서의 마찰은 없다.
3) 정수압 압출(hydrostatic extrusion): 챔버에 유체를 채우고 이를 통하여 빌렛에 압력을 전달하여 다이를 통과시켜 압출시켜 성형되도록 한다. 용기 벽면에서의 마찰은 없다.
4) 충격압출( impact extrusion) : 간접 압출의 일종으로 속이 빈 용기를 만드는데 적합하다. 압출은 상온이나 열간에서 행해진다. 압출 공정은 용기를 사용하며, 각 빌렛(소재)을 개별적으로 압출하므로 개별 제품을 준 생산 하거나, 연속공정으로 중간재를 생산하게 된다.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유동
응력이 비슷하면 압출 공정으로 이종금속끼리 접합(cladding)하여 동축 빌렛 (구리 봉에 은을 입히는 등으로)을 제조할 수 있다.
④ 전조(form rolling): 압연과 비슷한 방법으로 수나사 또는 기어 가공에 쓰이는 방법이고, 원주로 된 재료를 롤러 모형의 형을 회전시켜 가공하는 방법으로 주로 너어링이 쓰인다.전조된 나사 표면은 소성변형으로 조직이 좋게 되고 경화되어 있어 인장강도 및 피로강도가 증가되고, 또한 충격에 대하여도 강하다. 전조에 사용되는 재료에는 보통 연강, 강인강, 풀림한 공구강, 63%이상의 Cu를 함유한 황동, 경합금 등이다. 재료에 결함만 없다면 위의 모든 재료의 전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나사 두부의 업셋 단조 또는 콜드헤딩(cold heading)등 과 병합되어 대량 생산에 이용된다.
1) 전조의 장점
- 섬유상 조직이 형성되어 강인한 조직의 제품을 얻음
- 냉간 가공을 하기 때문에, 가공 경화되어 제품이 단단함
- 가공 속도가 빠르고, 대량 생산 및 자동화가 쉽다.
- 절삭 칩이 생기지 않으므로, 표면이 깨끗하고 재료의 낭비가 적다.
- 재료와 공구가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가공이 가능
Ⅲ.프레스 가공의 안전장치
<<프레스 가공이란??>>
(1)프레스: 넓은 뜻으로 소성가공의 대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좁은 뜻으로는 프레스 기계에 의한 가공을 말한다.
(2)프레스의 장점
-다른 생산방법에 비하여 쉽게 가공할 수 있다.
-재료의 인성이 우수하고, 결량인 강한 부품을 만들 수 있다.
-대량생간일 경우 절삭가공에 비하여 매우 균질한 정밀도의 부품을 만들수 있다.
-프레스 기술의 진보에 따라서 생산성의 향상이 높다.
-가공 후 스크랩(scrap)의 재생으로 재료의 이용률이 높다.
-다른 절삭가공보다 높은 기량을 필요치 않는다.
(3)프레스의 단점
-충분한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가인 프레스용 금형을 만들어야 한다.
-생산량이 적은 경우에 생산비가 높다.
-금형(Die) 제작기간이 길기 때문에 납기에 문제가 된다.
-부품의 종류에 따라서 적합한 프레스 기계가 필요하다.
-위험성이 높고 재해가 크므로 필요 이상의 안전대책이 필요하다.
<<프레스 안전을 위한 안전장치>>
(1) 프레스 종류 및 작업내용에 가장 적절한 방호 장치를 사용한다.
(2) 2종류 이상의 방호장치를 병행하여 사용한다.
- 광전자식
1)급정지장치가 없는 구조의 프레스는 사용을 하지 않는다
2)프레스 정지기능에 알맞는 안전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3)스트로크 저정길이에 따라 광축수가 알맞아야 한다.
4)안전율 또는 가드를 병행하여 사용해야 한다.
5) 광축수와 방호높이(L)는 {슬라이즈 조절량 + 샹크 길이}가 되야 한다.
- 양수 조작식
1)1행정 1정지 기능이 있는 프레스를 사용해야 한다.
2)양수버튼의 거리는 300mm이상이어야 한다.
3)양손으로 동시에 1초 이내에 버튼을 눌렀을때만 작동되야 한다.
-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1)120SPM미만에 적용해야 한다.
2)손쳐내기판의 폭은 금형크기의 1/2이상이어야 한다.
3)높이는 행정길이 이상이어야 한다.
-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1)볼트, 너트의 풀림장치 처리를 확실히 해애 한다.
2)수인줄의 강도를 유지하고 마모상태를 자주 점검해야 한다.
3)수인줄의 끄는 양은 정반 세로길이의 1/2이상이어야 한다.
<<느낀점 및 나의 소견>>
: 소성 가공에는 형태와 쓰임에 따라서 종류가 다양했다. 소성가공이 말이 생소하기는 했지만 조사를 하면서 우리 생활에서 한가지 이상은 씌이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정말 종류도 많고 자료도 방대하여 어떤 부분이 내가 원하는 부분인지 고민도 많이 되었다. 비록 레포트의 주요 쟁점과 많이 틀렸을 수도 있지만 내가 이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소성가공이라는 것에 대해 많이 알게 되어 한가지 이상은 나에게 도움이 됐다고 생각한다. 자료를 찾으면서 많은 동영상까지도 보았기 때문에 단순히 글만 보았을 때보다 많은 구조를 보고 느낄수 있었다.
프레스는 내가 전에 군대에서 전역을 하고 일을 하면서 보았던 프레스를 생각하면서 자료를 찾았다. 그 프레스에는 금형이 아주 작았지만 위에서 누르는 힘이 엄청났다. 금형에는 금속으로 가늘게 되어 있어 위에서 누르면 금속에 부딪혀 종이가 깔끔하게 잘려나갔었다. 실행을 할 때는 빨간색으로 배 정도 위치의 동그란 버튼이
추천자료
안전공학
시설물안전관리
식품안전사고
[경영] 안전 안전할 권리 권익 침해
안전관리자의 역할
산업 안전관리계획(안전실무론)
항암제 투약의 안전관리(목적, 노출경로, 노출의 영향, 조제지침,조제과정, 투약시 지침, 안...
[시설물][안전점검][관리아웃소싱][시설물의 유지보수체제][시설물의 감리제도]시설물의 관련...
[안전교육]_장난감_안전성_실태조사와_예방적_프로그램
[급식안전]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급식안전 문제와 그 해결방안에 대해 논의.
생활안전 경찰활동(生活安全警察活動) - 즉결심판, 순찰활동, 민간방범관련업무, 민-경협력 ...
기본안전교육실습 보고서 - 환자확인, 낙상
(아동兒童안전관리 과제)교사가 교실과 계단, 복도, 현관, 화장실에서의 안전수칙에 대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