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교육의 평등성(Equality)
가. 평등의 등장배경
나. 교육평등의 개념
다. 교육평등관의 변화
라. 우리나라 교육의 불평등 현상
2. 교육의 수월성(Excellence)
가. 수월성의 등장배경
나. 수월성의 개념
다. 수월성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교육
3.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의 추구방향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장해 주어야만 한다.
Ⅲ. 결 론
지금까지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의 개념과, 우리나라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의 입장에서 해석해보았다. 우리나라 교육은 전후 괄목할 만한 양적성장을 이룩하였다. 학생, 교사, 교원의 수가 해방 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고교평준화 제도 도입 등으로 교육기회의 허용적 평등이 비교적 잘 실현되어 왔다. 그러나 또한 지역에 따른 교육여건(조건)의 불평등 현상, 사회경제 계층에 따른 학업성취도 격차에 의한 교육결과의 불평등 현상 등 적극적 의미로서의 교육의 평등이 실현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복잡하고 고도로 전문화되어가는 오늘날의 사회현실은 교육의 평등을 ‘기회의 평등’보다 “학생들 자신의 능력의 차이를 인정하여 각각 다르게 교육하여야 한다.”는 교육의 수월성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여, 기존의 평준화되고 획일화된 공교육을 비판하고 새로운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학교교육은 현 학교체제의 변화만으로 단번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하기는 더더욱 벅찬 일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이런 의문은 가져볼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이란 무엇일까?’, ‘학교교육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일까?’, ‘교육은 무엇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일까?,’ ‘사람들은 교육에서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가?’ 오랫동안 사람들은 이러한 질문에 대해 수없이 고민해왔으며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에 대한 질문은 이러한 질문과 맥락을 같이 해 왔다고 볼 수 있다. 학교교육을 인간의 성장 및 행복을 추구하는 과정으로 이해하여 학생의 지적, 정서적, 도덕적인 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전인교육과, 학교교육을 학생의 능력의 차이를 인정하며, 학습자 중심에서 학생 본인이 스스로 선택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학생을 최선의 상태에 이르게 하여 학생의 지적인 성장과 그로 인한 지역사회 및 국가에 공헌하게 만드는 것. 여러분은 어느 쪽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 많은 사람들은 교육을 개인의 다양한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더불어 함께 사는 태도를 배워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오늘날 학교교육은 이러한 믿음을 잘 지켜주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명쾌한 대답을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학교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한 번에 해소시켜 줄 명약이 없는 것처럼 말이다.
교육을 흔히 백년대계(百年大計)라고 말한다. 오늘날 학교교육이 안고 있는 수많은 문제들은 개인과 사회 모두가 작은 노력부터 시작하여 '학교'라는 공간을 새로운 공간으로 변화시키는데 모두가 꾸준히 노력해야 하는 커다란 과제로 인식해야만 한다.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제시해 본다. 첫째로 교육의 평등성에 입각한 결과적 평등의 추구이다. 오늘날 교육을 받은 후 나타난 학업성취와 결과의 차이는 개인의 노력과 능력의 문제일 뿐이라고 여기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즉, 교육의 기회가 균등하였다는 이유만으로 개인이 처한 사회경제적 조건의 불평등이 미치는 영향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에 투자된 자본의 양이 곧 학업성취도로 연결되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물론 사회경제적 조건 뿐만 아니라 개인의 타고난 재능과 능력의 차이까지도 적극적으로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는 결과의 평등의 추구이다. 개인의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은 물론 사회경제적인 요인으로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에게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게 해줘야 하는 것이다. 둘째로 수월성에 대한 의미이해의 문제이다. 수월성의 개념을 전환해서 생각해 보면, 수월성은 우수한 소수를 위한 소위 ‘엘리트’만을 위한 교육이라고 보는 관점을 탈피하여 학생 개개인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다양한 활동 속에서 인격형성의 과정에 학생을 참여하게 하는 교육이다. 사회구성원 전체를 위한 ‘전인교육’이 진정한 수월성 교육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의 허용적, 과정적, 결과적 평등을 고려하여 학생들에게 최대한 평등을 보장해주기 위한 교육의 평등성의 토대 위에서, 개개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을 길러내는 수월성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우리 모두가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김천기,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학지사, 2003, pp 115-139.
송준수, “교육사회학, 학지사, 2003, pp 107-122.
오욱환, “교육사회학의 이해와 탐구.” 교육과학사, 2004, pp 193-225.
홍재호, “교육사회학,” 공주대학교 출판부, 2004, pp 191-212.
한국교육개발원, “간추린 교육통계,” 2005.
한국개발연구원, “양극화 극복과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경제정책 제안,” 한국개발연구원, 2006, pp 136-175.
더 읽어볼만한 기사들
“교육개혁, 무엇을 할 것인가,” 한겨레신문, 2003년 1월 18일자.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8&article_id=0000008471§ion_id
=100&menu_id=100
“[세상만사] 아이들을 위한 평준화 논의”, 국민일보, 2004년 2월 9일자.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5&article_id=0000148243§ion_id=110&menu_id=110
“기회균등한 학교 만들기,” 국정브리핑, 2007년 03월 12일자.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78&article_id=0000030847§ion_
id=117&menu_id=117
3불정책관련 사설 모음 블로그
http://blog.naver.com/flatline21?Redirect=Log&logNo=110015718000
“이범의 한국 교육 발가벗기기 ①사교육 현장전문가 눈에 비친 3불 정책 논란”, 오마이뉴스, 2007년 3월 24일자.
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399853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12.1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3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