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노래패의 현실적 한계와 그 대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학 노래패의 현실적 한계와 그 대안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시대와 함께 한 민중가요
■70년대의 노래문화
■80년대의 노래문화-노래운동의 성립과 그 확산
■현재의 노래 운동
2. 대학 노래패의 현실적 문제점과 대안
■노래패의 전문성의 문제
■공연이라는 형식의 문제
■무엇을 불러야 하는가

Ⅲ.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년 공연을 준비하면서 유발되기 시작하는 민중가요란 무엇인가, 노래패가 부르는 민중가요란 무엇이고, 노래운동이란 무엇인가? 어찌보면 당연한 재귀적인 질문이고, 언제나 고민해야 하는 지점이다. 그리고 의아하게도 이것을 답을 할 수 있는 성질의 것도 아니라는 점이다. 반복적으로 같은 얘기나오는 것 같기도 하지만 또 실제로 얘기해보면 이리저리 부딪히면서 재미있기도 하고 심각하기도 한 이 이야기들. 여기서 얘기하고자하는 것도 이런 것들의 답이 아니다. 위의 질문들에 대한 답들은 우리 스스로 지금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고, 위의 질문들을 고민하는 후배들 우리 스스로의 선택에 달려있는 것이다.
하지만 위의 결론에도 민중가요에는 하나로 관통되는 뭔가가 있다. \'안치환은 맛갔네, 서태지의 교실이데아도 민중가요가 아니냐, 자유 문화제에 디제이덕이 나왔으니 그네들도 진보적인 가수네\'등등의 이런 재미난 논의 속에서도 우리는 놓쳐서는 안될 지점이 있다. 바로 민중가요의 생명력이다. 민중가요는 살아있는 것이다. 단순히 가수들이 앨범하나 내놓으면 사람들이 앨범 사서 듣고, 콘서트장 따라가서 박수치며 듣는 이러한 노래들이 아니라는 것이다. 단순히 생산자-수용자적 구조에 의해 소비되어지는 소비문화가 아니라는 것이다. 민중가요는 특정한 사람들에의해서 생산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인간다운 세상을 꿈꾸는 우리들 자신에게서 나오고 우리들에게서 불려지는 노래인것이다. 누군가에 의해서 창작이 되어지면 그것을 또 다른 누군가가 부르고, 그 노래가 필요한 사람들이 부르면서 힘을 얻고,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과 견해를 밝히는 도구로서 부르기도 하고, 노래를 부르며 힘을 얻어가기도 하고, 자신의 반성을 하기도하고, 그 누군가를 그리워하기도 하는 것이다. 우리의 삶 속에 이 노래들이 놓여있는 것이다.
노동,민중가요는?
노동자, 민중의 현실을 반영한 노동자, 민중의 노래입니다.
이 땅은 아직 어둡습니다.
노동자와 자본가..
돈 없는 자들과 부자..
배운 자와 못 배운 자..
일하는 자와 놀고먹는 자..
권력을 가진 자와 그렇지 못한 자..
힘 센 자와 힘없는 자..
남자....여자
그리고
남....과.....북
이러한 현실을 뒤로 한..그저 유희로써 불려지고 들려지는 노래는
거짓입니다.
자본이 자본을 위해 만든 속 \'대중가요\'가 바로 그것이지요.
어느 순간엔가 우린..
그러한 노래들에 귀익어버렸지요.
나도 모르게 우린 그렇게 가진 자와 힘있는 자들의 의도대로 되버렸지요..
때론 낭만이라고....때론 필링(feeling)이라고..
그들의 의도대로...그렇게..
..
우리에겐 커다란 \'숙제\'가 있습니다.
세상의 풍파에 찌들다보면 그 속에 묻혀버리게 되고 잊게되는 거..당연한 겁니다.
노동자가..민중이..그렇습니다.
거대한 저들의 \'성곽\'에 압도되어..우린 차라리 우릴 탓하며..그렇게 자학적으로 살아왔습니다.
하지만 이제 우릴 아는 것!
\'노동자, 민중이 자신의 존재와 값어치와 할 일을 아는 것\' 바로 우리의 숙제입니다.
단지 \'진실\'이고 \'사실\'에 불과한 이것이 시대의\'숙제\'인 세상인 겁니다.
노동가요, 민중가요는 진실을 노래하고 삶을 노래하고 \'숙제\'를 실천하는 노래여야 합니다.
거짓 세상을 바로 보게 하는 노래여야 하는 것이지요.
진실과 거짓이 확연히 구별될 때....
거짓은 허물어지는 것이며..진실은 일어서는 것입니다.
더불어..
소위 민중, 노동가요는 사실 수식어 \'노동\',\'민중\'이 맞지 않는 겁니다.
사실은 그냥 \'노래\'일 뿐입니다. 노래는 삶의 반영이며 표출이며 그 자체여야 하는 것이지요.
이 땅의 대부분이 소수에게 짓눌려 살다보니 그렇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2.12
  • 저작시기200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40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