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다원주의에 대하여 개혁주의 입장에서 비판하라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다원주의에 대하여 개혁주의 입장에서 비판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연구의 중요성과 목적 /
2. 연구방법 및 범위 /

본론
제 1 장 종교의 개념 /
1. 일반적인 개념 /
2. 철학적인 개념 /
3. 성경적인 개념 /

제 2 장 종교의 기원 /
1. 역사적 측면에서 /
2. 심리적 측면에서 /
3. 성경적 견해 /

제 3 장 종교의 본질 /

제 4 장 주요 종교 고찰 /
1. 원시 종교 /
2. 동방 종교 /
3. 유대교 /
4. 이슬람교 /

제 5 장 타종교에 대한 계시 종교관 /
1. 배타주의 /
2. 포괄주의 /
3. 상대주의 혹은 병행주의 /

제 6 장 종교다원주의의 정의와 사상적 배경 /
1. 종교다원주의 정의 /
2. 자연신론 /
3. 합리주의 /
4. 자유주의신학 /
5. 신비주의 /
6. 범신론 /
7. 동양사상과 종교학의 발달 /

제 7 장 종교다원주의 신학 및 근본 신조 /
1. 만인구원론 /
2. 기독론 /
3. 혼합주의 성령론 /
4. 근본신조 /

제 8 장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비판 /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군데에서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 헬라어에는 종교에 해당하는 단어가 둘 있다. 첫째로, ‘트레스케이아’(θρησκεια)는 사도행전26장5절에서 보여주듯이 인간의 외적 종교행위를 말한다. 본 절에서 누가는 트레스케이아라는 말로써 유대교를 지칭하고 있다. 또한 야고보서1장27절에서는 이 단어가 실제적인 의미로 사용되어 자신의 말을 다스리고 고아와 과부를 돌보는 실천적 행위를 가리킨다. 둘째로 ‘세보마이’(σεβομαι)는 하나님을 예배하고 그에 대해 경외감을 가지는 내적이고 개인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이를테면 사도행전 16장14절에서 루디아를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로 지칭하고 있다. 그런데 종교라는 단어는 대체로 신약의 관심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Wayne E. Oates, 「현대종교심리학」, 정태기 역,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4), p.31∝
사도바울은 아테네 전도에서 “아덴 사람들아 너희를 보니 범사에 종교성이 많도다”(행17:22)라고 말하였다. 이 때에 사도 바울이 “종교성”이란 말로 가리키고자 한 것은 아테네 사람들이 각종 이방 신들을 섬기는 일이었다. 이런 관점에서 말한다면 기독교를 포함하여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만상숭배도 종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죄인을 구원하는 것이 종교의 임무라고 말할 때에는 모든 이방종교는 종교라고 할 수 없게 된다. 종교란 인간과 신(하나님)의 관계이다. 그러나 좁은 의미로는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과 친교를 이루고 내주하시는 성령의 지도하에 살아가는 생활이다’라고 정의 할 수 있다. 그것은 곧 기독교만이 참 종교라는 뜻이다. 하문호, 「기초교의신학 서론」, (서울 : 한국로고스연구원, 1992),pp.19-20.
또 다른 의미가 제시할 될 수 있는데 인간이 인생의 궁극적인 의미라고 믿는 것에 대한 인간의 반응이다. 참된 종교는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의 올바른 반응이라고 정의되어져야만 할 것이다. Johaness G. Vos, 「세계종교들에 관한 기독교적 비판」, 한성수 역, (서울 : 한국로고스연구원, 1989),p.9.
제2장. 종교의 기원
종교가 언제, 어디서, 어떠한 이유로 발생하였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다. 이미 원시시대, 수렵의 성공을 기원하는 벽화나 장법(葬法)에서도 영혼의 관념을 엿볼 수 있다. 신비한 힘을 가졌다고 믿어지는 주물(呪物)을 기원으로 보는 페티시즘설(說), 사자(死者)의 숭배를 최고(最古)로 보는 설, 꿈과 죽음의 경험에서 육체 이외에 영혼을 상상한 것이 기원이라고 보는 애니미즘설, 마나(에너지와 같은 힘에 대한 원시신앙)를 애니미즘 이전의 신앙형태로 보는 마나이즘(manaism)설, 동식물과 인간과의 밀접한 관계의 신념을 원초(原初)로 보는 토테미즘(totemism)설 등이 19세기 말 이래 잇달아 제창되었다. 또 물질문화가 빈약한 미개민족에게 인격을 가진 지상신(至上神)이 많다는 점에서 연유된 원시 지상신설도 있다. 그러나 이들의 대부분은 단순한 관념으로부터 복잡한 관념으로의 경과에서 파악되는 심리적 억측에 의거하고 있으므로 실증적인 근거는 희박하다. 미개종교에서는 각자가 당연한 습관으로서 전해진 것을 믿고 있으며, 개인적인 면보다 사회적인 면이 강해서 제사(祭祀) 등의 의례가 그 중심이 되었다. 다만 종교를 주재하는 신관(神官)의 계급이 생기고 국가형성의 진전과 더불어 각지의 신들이 통합되고, 신들의 친자관계와 그 역할 등이 체계화되었다. 이것이 전형적인 다신교(多神敎)의 시대이다. 고대사회에서는 정치와 종교가 밀접하게 결부되어 이집트오리엔트제국(諸國)중국페루에서와 같이 종교가 국가에 의하여 뒷받침되고, 국왕은 신 또는 신의 자손으로 여겨진 때도 있었다. 종교사상(宗敎史上) 최대의 질적 전개는 기원 전후 약 10세기 동안에 세계 각지에서 일어났다. 인도의 우파니샤드 철학의 전개(BC 8세기), 이스라엘 예언자의 활약(BC 8~BC 7세기), 중국의 공자를 비롯한 제가(諸家)의 활동(BC 6~BC 5세기), 그리스의 탈레스로부터 소크라테스, 플라톤에 이르는 철학의 발생과 전개(BC 6세기 이후) 등이 주요한 것들인데, 그 영향은 현재까지도 미치고 있다. 이들 사상가의 특징은 합리화라고는 하지만 신화나 주술(呪術)에서 분리하여 체계적인 사상을 부여함으로써 철학윤리 등이 독립하고, 정치와 종교의 밀접한 관계도 이루어졌다. 두산대백과사전 CD 타이틀, “종교”
그 외 종교심리학자들은 자기의 지식이나 힘으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을 당할 때 공포심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공포에 대한 해소책으로 그러한 능력을 행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대상인 신에게 기도하는 것이라고 보는 공포설과 자신을 위협하는데서 구원 받기를 갈구하는 공포심을 넘어서 희망을 더하여 기도하며 서원하는 데서 종교가 발생한다고 보는 희망설과 인간의 종교는 인간의 상상에서 사느냐 죽느냐의 생사의 한계선에 부딪칠 때 죽음을 벗어나고자 어떤 초월적 존재를 갈구하는데서 발생한다고 보는 상상설등으로 종교의 기원을 설명하였다. 윤정환, 「참된 신앙의 발견」, (인천 : 청문출판, 1989), p.11.
이것들을 종합하여 보면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종교의 기원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1. 역사적 측면에서
17세기 불란서의 볼테르는 무식한 대중들의 경신(輕信)과 공포(恐怖)를 이용하여 그들을 지배하기 위한 제사 또는 통치자들의 간교한 꾀에서 종교가 생겼다고 하였다. 어거스트 콩트는 서물(庶物)숭배(崇拜) 곧 돌, 나뭇가지, 뼈다귀, 발톱 등 신성한 것으로 생각되는 무생물숭배에서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타일러나 스펜서는 정령숭배를 주장하였는데 타일러는 영들의 숭배에서 스펜서는 조장들의 영혼을 숭배하는 조상숭배에서 종교가 시작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플라이더러는 연약한 인간이 장엄한 자연현상을 보고 그에 대한 경외감을 느껴 숭배하게 되는데서 자연숭배를 주장했고 프레이저는 요술에 대한 일방적 신앙으로부터 종교가 발전되었다고 하였다. 하문호, 「기초교의신학 서론」, (서울 : 한국로고스연구원, 1992),p.41.
2. 심리적 측면
슐라이어막허는 종교는 인간이 자기보다 우월한 존재에게 의존하려는 감정에서 생겼다고 본다. 그리고 칸트나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12.18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6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