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서 론
Ⅱ. 작품 분석
1. 작품 분류
2. 작품 해설
3. 창작 배경으로 본 비교
4. 작품의 표현기법
5. 작가에 대한 견해
6.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Ⅱ. 작품 분석
1. 작품 분류
2. 작품 해설
3. 창작 배경으로 본 비교
4. 작품의 표현기법
5. 작가에 대한 견해
6.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본문내용
겨우 명맥만을 유지해왔고, 평민문학과 귀족문학이라는 두 가지 형태의 문학을 초래했으니, 경기체가가 귀족의 문학이라면 속요는 평민의 것으로, 두 형식은 완전히 분리되었다. 그런데 경기체가와 속요는 형태상 분명한 공통점이 있다 하여, 고려시대의 시가를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가요나 장가라는 명칭보다는 ‘별곡’이라는 명칭이 적절하다는 견해가 있다. 즉, 신라 사람들이 자기네의 노래를 향가라로 일컬은 것과 마찬가지로, 고려 사람들은 중국계 악부(樂府)니 악장(樂章)이니 하는 정악(正樂) 또는 아악(雅樂)에 대하여 자기네의 노래, 즉 속악 또는 향악의 노래 이름을 ‘별곡’이라는 말을 붙여지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고려가요의 형식을 살펴보면 3음보격의 분연체, 분절체(分節體)로 이루어져 있다. 대체로 3-3-2 혹은 3-4-4조로 되어있으며 후렴구 또는 조흥구가 발달되어 있다.
주된 작자층은 평민 계층으로서 개인의 독창적 작품이라기보다는 구전되는 동안 집단적, 민요적, 적층적 성격을 갖게 되었다. 주로 남녀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아쉬움 등 평민들의 삶에 드러나는 정서를 숨김없이 표현함으로 풍부한 감정과 정서를 진솔하게 표현하였다.
조선 시대 유학자들에 의하여 기록문학으로 정착되는 과정에서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로 배척받음으로써 개작(改作) 또는 삭제되어 현재 전하는 것은 ‘악학궤범(樂學軌範)’에 4편, ‘악장가사(樂章歌詞)’에 8편, ‘시용향약보’에 2편 등이다.
2. 작품 해설
(1) 향가 안민가(安民歌 )
1) 원문 ⇒ 君隱父也 군은 아비요
臣隱愛賜尸母史也 신은 사랑하시는 어미요
民焉狂尸恨阿孩古爲賜尸知 민은 어리석한 아이이고
民是愛尸知古如 하실 것이면 민이 사랑할 것이도다.
窟理叱大 生以支所音物生 탄식을 내 뿜고 있는 창생들, 이를
此 惡支治良羅 먹도록 다스릴지어다.
此地 捨遺只於冬是去於丁 爲尸知 이 땅을 버리고서 어디로 갈 것인 둥?
國惡支持以支知古如 하고 할 것이면 나라가 지녀질 것이도다
後句 君如臣多支民隱如爲內尸等焉 아! 군같이 신답게 민같이 하고 있을 진댄
國惡太平恨音叱如 나라가 태평하리다.
해설을 통해 ‘안민가’는 불교의 호국적인 왕론법(王論法) 사상을 바탕에 깔고 그 위에 유교의 위민적인 왕도 사상이 깔려있다. 그리고 ‘君 - 아비’, ‘臣 - 어미’, ‘民 - 아이’의 인칭적 은유의 수사법을 사용하여 임금에게는 치세의 방법을 교시하였고, 백성에게는 그 직분을 다할 것을 직설한 교훈적인 노래이다.
2) 해독 및 현대어 풀이
①양주동
君은 어비여
臣은 샬어여,
民 얼 아고 샬디
民이 알고다.
구믈ㅅ다히 살손 物生
이흘 머기다라.
이 리곡 어듸갈뎌디
나라악 디니디 알고다.
아으 君다이 臣다이 民다이
나라악 太平니잇다.
임금은 아버지요
신하는 사랑하실 어머니요
백성은 어린아이로고 하실지면
백성이 사랑을 알리이다.
구물거리며 살손 물생이
이를 먹여 다스려져
이 땅을 버리고 어디 가려 할지면*
나라 안이 유지될 줄 알리이다.
아,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 할지면
나라 안이 태평하나이다
②김완진
君은 아비야
臣은 실어여,
民 어릴 아고
실디 民이 알고다.
구릿하 살이기 바라
이를 치악다 릴러라
이리곡 어드리가뎌
디 나락 디니기 알고다
아야 君다 臣다히 民다
나락 太平
임금(군)은 아버지요
신하(신)는 사랑하실 어머니요
백성(민)은 어린(어리석은)아이로고
하실진댄 민이 사랑을 알리라.
대중을 살리기에 익숙해져 있기에
이를 먹여 다스릴러라.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겠는가
할진댄 나라 보전할 것을 알리라.
아아, 군답게 신답게 민답게
한다면 나라가 태평을 지속하느리라
(2) 고려속요 청산별곡
살어리 살어리랏다. 靑山(
고려가요의 형식을 살펴보면 3음보격의 분연체, 분절체(分節體)로 이루어져 있다. 대체로 3-3-2 혹은 3-4-4조로 되어있으며 후렴구 또는 조흥구가 발달되어 있다.
주된 작자층은 평민 계층으로서 개인의 독창적 작품이라기보다는 구전되는 동안 집단적, 민요적, 적층적 성격을 갖게 되었다. 주로 남녀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아쉬움 등 평민들의 삶에 드러나는 정서를 숨김없이 표현함으로 풍부한 감정과 정서를 진솔하게 표현하였다.
조선 시대 유학자들에 의하여 기록문학으로 정착되는 과정에서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로 배척받음으로써 개작(改作) 또는 삭제되어 현재 전하는 것은 ‘악학궤범(樂學軌範)’에 4편, ‘악장가사(樂章歌詞)’에 8편, ‘시용향약보’에 2편 등이다.
2. 작품 해설
(1) 향가 안민가(安民歌 )
1) 원문 ⇒ 君隱父也 군은 아비요
臣隱愛賜尸母史也 신은 사랑하시는 어미요
民焉狂尸恨阿孩古爲賜尸知 민은 어리석한 아이이고
民是愛尸知古如 하실 것이면 민이 사랑할 것이도다.
窟理叱大 生以支所音物生 탄식을 내 뿜고 있는 창생들, 이를
此 惡支治良羅 먹도록 다스릴지어다.
此地 捨遺只於冬是去於丁 爲尸知 이 땅을 버리고서 어디로 갈 것인 둥?
國惡支持以支知古如 하고 할 것이면 나라가 지녀질 것이도다
後句 君如臣多支民隱如爲內尸等焉 아! 군같이 신답게 민같이 하고 있을 진댄
國惡太平恨音叱如 나라가 태평하리다.
해설을 통해 ‘안민가’는 불교의 호국적인 왕론법(王論法) 사상을 바탕에 깔고 그 위에 유교의 위민적인 왕도 사상이 깔려있다. 그리고 ‘君 - 아비’, ‘臣 - 어미’, ‘民 - 아이’의 인칭적 은유의 수사법을 사용하여 임금에게는 치세의 방법을 교시하였고, 백성에게는 그 직분을 다할 것을 직설한 교훈적인 노래이다.
2) 해독 및 현대어 풀이
①양주동
君은 어비여
臣은 샬어여,
民 얼 아고 샬디
民이 알고다.
구믈ㅅ다히 살손 物生
이흘 머기다라.
이 리곡 어듸갈뎌디
나라악 디니디 알고다.
아으 君다이 臣다이 民다이
나라악 太平니잇다.
임금은 아버지요
신하는 사랑하실 어머니요
백성은 어린아이로고 하실지면
백성이 사랑을 알리이다.
구물거리며 살손 물생이
이를 먹여 다스려져
이 땅을 버리고 어디 가려 할지면*
나라 안이 유지될 줄 알리이다.
아,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 할지면
나라 안이 태평하나이다
②김완진
君은 아비야
臣은 실어여,
民 어릴 아고
실디 民이 알고다.
구릿하 살이기 바라
이를 치악다 릴러라
이리곡 어드리가뎌
디 나락 디니기 알고다
아야 君다 臣다히 民다
나락 太平
임금(군)은 아버지요
신하(신)는 사랑하실 어머니요
백성(민)은 어린(어리석은)아이로고
하실진댄 민이 사랑을 알리라.
대중을 살리기에 익숙해져 있기에
이를 먹여 다스릴러라.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겠는가
할진댄 나라 보전할 것을 알리라.
아아, 군답게 신답게 민답게
한다면 나라가 태평을 지속하느리라
(2) 고려속요 청산별곡
살어리 살어리랏다. 靑山(
키워드
추천자료
향가의 내용적 특성에 관하여
국문향가 14수
찬기파랑가
고구려 인식과 동북공정
중국 대학생들의 문화 분석
facebook vs twitter 쇼셜네트워크시장의 승자는? (Facebook VS Twitter : 과연 누가 살아남...
장애아와 놀이 정리 및 나의 생각
삼성그룹(삼성)의 형성과정, 사업다각화, 삼성그룹(삼성) 현황, 삼성그룹(삼성) 기업광고, 삼...
향가(사뇌가)의 성격
삼성전자 해외마케팅 전략분석과 삼성전자 사업전략분석및 삼성전자 새로운 경영전략 제안
LG 화학 :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전략 (LG Chemical : Business Portfolio Strategy) [LG화학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