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전자총
- 내벽의 형광체(phosphor) 에 대하여
- 인버터 컨버터 회사
- 인버터란?
- 컨버터란?
- 시감도란?
- 광측정의 단위에 대하여
- 내벽의 형광체(phosphor) 에 대하여
- 인버터 컨버터 회사
- 인버터란?
- 컨버터란?
- 시감도란?
- 광측정의 단위에 대하여
본문내용
은 어두운 것으로, 청색은 밝은 것으로 감각된다.
표준 비시감도
광원에서 방사되는 방사에너지에 파장별로 사람의 표준적인 밝기 감각을 곱한 것.
즉, 파장별로 밝기로서 느끼는 정도. 엄밀하게 개인차가 있으나 표준으로서 국제적(CIE)으로 통일되어 있다
실제 눈으로 느끼는 밝기
Pλ : 전광속, dλ : 파장폭(㎚)
눈의 최대감도를 (555㎚ ) 1로하여 다른 파장 (380~760㎚)에 대한 시감도의 비를 비시감도라고 하고, 그것을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 비시감도 곡선이다.
비시감도 = 비시감도×100% / 최대시감도
광측정의 단위에 대하여
용어
단위
정의
입체각
sr
(steradian)
1sr : 구의 반지름(r)의 제곱에 해당
되는 구 표면에서의 면적을 구의 중심에서 절단하는 입체각
Solid Angle
광 속
lm(lumen)
광량(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가시광의 총량) -> 1cd 점광원에서 방사된 전체 광속은 4πlm
Luminous
Flux
광 도
cd
(lm/sr)
빛의강도 -> 광원으로부터 어떤 방향으로 얼마만큼의 광량이 나가고 있는가를 나타냄
-> 1cd의 효과는 1측광과 거의 같으며, 100W전구의 평균 구면광도는 100cd가 된다.
Luminous
Intensity
조 도
Lux
(lm/)
빛이 조사되는 단위면적에 입사되는 빛의 총량
단위면적에 입사되는 광속의 밀도
Illuminance
조명의 역제곱 법칙
Lux=cd/
점광원에서 방사된 광속이 광원에서부터 멀리 전달될수록 광속이 분산되어질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단위면적당의 광속(조도)은 감소된다. 즉 점광원에 의한 조도는 광원으로부터 거리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조명의 코사인 법칙
Lux=(cd/거리의제곱)cos
점광원으로부터 광속이 그 주위의 구면에 비춰지면 빛의 방향은 그 구면에 직교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경우 빛은 면을 경사각으로 비추게 되므로 보다 더 넓은 면적을 조명하게 된다. 같은양의 광속이 더 넓은 면에 비춰지면 그면상의 조도는 반드시 감소한다.
휘 도
nt
(cd/)
단위면적의 광원으로부터 어떤 방향에서 어느만큼 밝게보이는가를 나타냄.
복사선속
W
광원에서 복사되는 시간당 에너지
복사도
W/sr
단위 입체각 당 복사선속
복사조도
W/
단위면적에 입사되는 복사선속
복사휘도
W/sr
특정한 방향에 수직한 광원 면에서 단위입체각 당, 단위면적 당 복사선속
지식경제부, 산업 에너지 정보통신 등 모든 기술을 한눈에
앞으로 지식경제부 기술개발자금은 9천 300여개의 핵심기술이 제시된 \'지식경제 통합기술청사진\'에 따라 지원하게된다.
그간 지식경제부는 산업기술 R&D 기능의 통합으로 산업·에너지, IT를 종합 연계한 기술전략 플랫폼의 필요성을 실감하고, 신기술 출현, 기술융합화 등 신규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산·학·연 및 정부 모두가 사용 가능한 통합기술청사진을 수립하였다.
동 작업에는 총 634명(연인원 2,253명)의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특히, 참여 전문가의 40%가 산업계 인사로 구성된 민간주도형 기획으로 수요자 지향성을 강화했다.
통합기술청사진은 舊산자부 20대 산업·에너지기술 분야와 舊 정통부의 14대 IT기술 분야를 통합하여 지식경제 14대 전략기술1) 분야로 분류되며, 14개 전략기술 분야에서 9,316개의 핵심기술2)을 추출하고, 기술별 특성3)을 반영한 R&D투자 전략4)을 제시했다.
1) 14대 분야: 전자정보디바이스, 수송시스템, 정보통신미디어, 차세대통신 네트워크, 로봇, 바이오, 전력원자력, 신재생에너지, 산업소재, SW컴퓨팅, 청정제조기반, 지식서비스, 산업기술융합, 에너지자원
2) 대분류(136개) →중분류(621개) →소분류(2,191개) →핵심기술(9,316개)
3) 시장성, 기술의 원천성, R&D 역량, 생산 역량 등
4) 장기R&D형(1,207개), 중기R&D형(6,681개), 단기R&D형(1,372개), 국제협력대상(56개)
지식경제부는 9월 19일 이와 같은 내용의 『지식경제 통합기술청사진』을 박찬모 청와대 과학기술특보, 유인경 LG전자 사장, 강태진 공대학회협의회 회장 등 500여명의 기술관련 전문가가 모인 자리에서 공표했다.
금번에 발표된 통합기술청사진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산업기술 R&D 투자의 방향성을 종합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최초의 최상위 R&D 전략
* 통합청사진은 \'도시기본계획\'과 같은 신도시 전체의 조감도이며, R&D사업별 로드맵은 \'산업지구계획\'과 같은 특정영역의 합리화 계획
▲단계적(단·중장기) R&D 투자 포트폴리오에 따른 추진전략 제시로 지식경제부 R&D사업의 일관성 효율성 제고
기존 통합기술 청사진 없이 R&D사업별로 로드맵을 독자 수립함에 따른 사업간 중복 우려를 해소하고, 통합청사진이 제시하는 핵심기술별 R&D 전략을 R&D사업에 연계함으로써 R&D 사업간 역할 분담을 명확화
▲기업과 시장이 필요로 하면서 자체 해결이 어려운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정부 R&D 역할 정립 등 민간 R&D와의 연계 강화에 기반
▲타 분야 핵심기술을 활용한 R&D방향을 제시하고, 이종분야간 기술 교류를 활성화하여 \'유기적인 R&D 생태계\' 구축에 기여
발표회에 참석한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지식경제 통합기술청사진은 향후 10년간 우리가 확보해야할 9천여개의 핵심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R&D전략을 제시하고 있어, 향후 산업기술개발을 위한 네비게이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발표회에 참석한 박찬모 청와대 과학기술특보는, \"민관 협력으로 만든 지식경제 통합기술청사진은 창조적 실용주의 즉, 비즈니스 중심의 국가 R&D 전략을 수립하는데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식경제부는 서울 발표회를 필두로 수도권·전라권·경남권·대경권·충청권 등 광역별 발표회 및 온라인 공개 등을 통해 시장·기업과 교감하여 필요시 조정(Moving Technology Target)하고, \'통합기술청사진\"을 상시 검증·보완 가능한 \"e-TRM(Total Road Map)\" 시스템을 구축(\'09.5)하여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핵심 기술정보 및 R&D 전략을 상시 보완함으로써 살아있는 전략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표준 비시감도
광원에서 방사되는 방사에너지에 파장별로 사람의 표준적인 밝기 감각을 곱한 것.
즉, 파장별로 밝기로서 느끼는 정도. 엄밀하게 개인차가 있으나 표준으로서 국제적(CIE)으로 통일되어 있다
실제 눈으로 느끼는 밝기
Pλ : 전광속, dλ : 파장폭(㎚)
눈의 최대감도를 (555㎚ ) 1로하여 다른 파장 (380~760㎚)에 대한 시감도의 비를 비시감도라고 하고, 그것을 곡선으로 나타낸 것이 비시감도 곡선이다.
비시감도 = 비시감도×100% / 최대시감도
광측정의 단위에 대하여
용어
단위
정의
입체각
sr
(steradian)
1sr : 구의 반지름(r)의 제곱에 해당
되는 구 표면에서의 면적을 구의 중심에서 절단하는 입체각
Solid Angle
광 속
lm(lumen)
광량(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가시광의 총량) -> 1cd 점광원에서 방사된 전체 광속은 4πlm
Luminous
Flux
광 도
cd
(lm/sr)
빛의강도 -> 광원으로부터 어떤 방향으로 얼마만큼의 광량이 나가고 있는가를 나타냄
-> 1cd의 효과는 1측광과 거의 같으며, 100W전구의 평균 구면광도는 100cd가 된다.
Luminous
Intensity
조 도
Lux
(lm/)
빛이 조사되는 단위면적에 입사되는 빛의 총량
단위면적에 입사되는 광속의 밀도
Illuminance
조명의 역제곱 법칙
Lux=cd/
점광원에서 방사된 광속이 광원에서부터 멀리 전달될수록 광속이 분산되어질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단위면적당의 광속(조도)은 감소된다. 즉 점광원에 의한 조도는 광원으로부터 거리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조명의 코사인 법칙
Lux=(cd/거리의제곱)cos
점광원으로부터 광속이 그 주위의 구면에 비춰지면 빛의 방향은 그 구면에 직교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경우 빛은 면을 경사각으로 비추게 되므로 보다 더 넓은 면적을 조명하게 된다. 같은양의 광속이 더 넓은 면에 비춰지면 그면상의 조도는 반드시 감소한다.
휘 도
nt
(cd/)
단위면적의 광원으로부터 어떤 방향에서 어느만큼 밝게보이는가를 나타냄.
복사선속
W
광원에서 복사되는 시간당 에너지
복사도
W/sr
단위 입체각 당 복사선속
복사조도
W/
단위면적에 입사되는 복사선속
복사휘도
W/sr
특정한 방향에 수직한 광원 면에서 단위입체각 당, 단위면적 당 복사선속
지식경제부, 산업 에너지 정보통신 등 모든 기술을 한눈에
앞으로 지식경제부 기술개발자금은 9천 300여개의 핵심기술이 제시된 \'지식경제 통합기술청사진\'에 따라 지원하게된다.
그간 지식경제부는 산업기술 R&D 기능의 통합으로 산업·에너지, IT를 종합 연계한 기술전략 플랫폼의 필요성을 실감하고, 신기술 출현, 기술융합화 등 신규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산·학·연 및 정부 모두가 사용 가능한 통합기술청사진을 수립하였다.
동 작업에는 총 634명(연인원 2,253명)의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특히, 참여 전문가의 40%가 산업계 인사로 구성된 민간주도형 기획으로 수요자 지향성을 강화했다.
통합기술청사진은 舊산자부 20대 산업·에너지기술 분야와 舊 정통부의 14대 IT기술 분야를 통합하여 지식경제 14대 전략기술1) 분야로 분류되며, 14개 전략기술 분야에서 9,316개의 핵심기술2)을 추출하고, 기술별 특성3)을 반영한 R&D투자 전략4)을 제시했다.
1) 14대 분야: 전자정보디바이스, 수송시스템, 정보통신미디어, 차세대통신 네트워크, 로봇, 바이오, 전력원자력, 신재생에너지, 산업소재, SW컴퓨팅, 청정제조기반, 지식서비스, 산업기술융합, 에너지자원
2) 대분류(136개) →중분류(621개) →소분류(2,191개) →핵심기술(9,316개)
3) 시장성, 기술의 원천성, R&D 역량, 생산 역량 등
4) 장기R&D형(1,207개), 중기R&D형(6,681개), 단기R&D형(1,372개), 국제협력대상(56개)
지식경제부는 9월 19일 이와 같은 내용의 『지식경제 통합기술청사진』을 박찬모 청와대 과학기술특보, 유인경 LG전자 사장, 강태진 공대학회협의회 회장 등 500여명의 기술관련 전문가가 모인 자리에서 공표했다.
금번에 발표된 통합기술청사진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산업기술 R&D 투자의 방향성을 종합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최초의 최상위 R&D 전략
* 통합청사진은 \'도시기본계획\'과 같은 신도시 전체의 조감도이며, R&D사업별 로드맵은 \'산업지구계획\'과 같은 특정영역의 합리화 계획
▲단계적(단·중장기) R&D 투자 포트폴리오에 따른 추진전략 제시로 지식경제부 R&D사업의 일관성 효율성 제고
기존 통합기술 청사진 없이 R&D사업별로 로드맵을 독자 수립함에 따른 사업간 중복 우려를 해소하고, 통합청사진이 제시하는 핵심기술별 R&D 전략을 R&D사업에 연계함으로써 R&D 사업간 역할 분담을 명확화
▲기업과 시장이 필요로 하면서 자체 해결이 어려운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정부 R&D 역할 정립 등 민간 R&D와의 연계 강화에 기반
▲타 분야 핵심기술을 활용한 R&D방향을 제시하고, 이종분야간 기술 교류를 활성화하여 \'유기적인 R&D 생태계\' 구축에 기여
발표회에 참석한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지식경제 통합기술청사진은 향후 10년간 우리가 확보해야할 9천여개의 핵심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R&D전략을 제시하고 있어, 향후 산업기술개발을 위한 네비게이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발표회에 참석한 박찬모 청와대 과학기술특보는, \"민관 협력으로 만든 지식경제 통합기술청사진은 창조적 실용주의 즉, 비즈니스 중심의 국가 R&D 전략을 수립하는데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식경제부는 서울 발표회를 필두로 수도권·전라권·경남권·대경권·충청권 등 광역별 발표회 및 온라인 공개 등을 통해 시장·기업과 교감하여 필요시 조정(Moving Technology Target)하고, \'통합기술청사진\"을 상시 검증·보완 가능한 \"e-TRM(Total Road Map)\" 시스템을 구축(\'09.5)하여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핵심 기술정보 및 R&D 전략을 상시 보완함으로써 살아있는 전략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