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스플레이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과거의 디스플레이 (브라운관_CRT)
1) CRT의 역사
2) CRT 특징
3) CRT의 구조와 동작 원리
(1) 흑백 CRT (MDT)
(2) 컬러 CRT(CDT)
4) CRT의 구성 요소
2. 현제의 디스플레이
1) 액정 디스플레이(LCD)
(1) 역사
(2) LCD의 특징
(3) LCD의 구조와 원리
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1) 정의
(2) PDP의 역사
(3) 기본 구조 및 주요 원리
(4) PDP의 특징 및 장점
3. 차세대 디스플레이
1)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
(1)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소개 및 정의
(2) OLED 구조
(3) OLED 원리
2) 3D 디스플레이
(1) 3D 디스플레이 정의
(2) 3D 디스플레이 특징
(3) 구조 및 동작 원리

Ⅲ. 결론

본문내용

, 표시량이 많은 용도에 STN,
시계, 계산기등 표시량이 간단한 용도에 TN이 사용된다.
㉡ Active Matrix
: 각 화소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치로서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독립적으로화소를 제어하기 때문에 라인간섭에 의한 Crosstalk이 없고 화질이 깨끗하게
표시된다. 현재 모니터, 노트북 PC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것이 이방식에 속한다.
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1) 정의
방전현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를 일컬어서 플라wm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로 분류하고 있다. 플라즈마라고 하는 것은 [양, 음의 하전입자가 공존하여 전기적으로
중성이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다. 형광등 등 희박한 기체 방전관의 양광주(positive column
) 의 부분에 플라즈마의 개념을 처음 사용한 것으로]이화학 사전에 기록 되어 있다.
\'플라즈마\'는 양전하(이온), 음전하(전자)가 거의 같은 양으로 혼재하여 자유입자에 가까운
행세를 하면서 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한마디로 이온과 전자의
혼합물질이다. 진공상태에서 양전극과 음전극에 강한 전압을 걸면 그 안에 있는 가스가
활성화되었다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시 안정된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면서 마치 오로라
같은 강하고 아름다운 빛을 발하게 되는데, 이 플라즈마 현상을 이용한 것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이다. 군사장비 강국인 러시아에서 연구개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는
브라운관 1백년의 디스플레이 영광을 이어갈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을 받고 있는
평판표시장치이다.
(2) PDP의 역사
자연적으로 관측되는 플라즈마로부터의 발광은 수소 플라즈마 덩어리인 태양으로부터 나오
빛이 대표적이며, 태양풍이 지구에 도달하여 지자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기게 되는 북극
지바의 북극광 또한 예를 들 수 있다.
가스 방전에 의한 인공 플라즈마로부터의 발광 현상 관측은 18세기 초에 볼타(Volta)가 발
명한 전지에 의해 인공적으로 가스 방전을 시킬 수 있게 되면서 시작이 되었으며, 19세기
중엽 패러데이 등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가스 방전 현상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
졌고, 이를 통해 X선이나 전자등의 발견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단색의 가
스방전 표시 장치가 1927년 벨연구소의 그레이 등에 의해 개발되었는데 이것이 현재 PDP의
시초가 되는 세계최초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이다. 이 표시 장치는 2,500화소로 이루어진 네
온 가스로 충전된 방전관을 기계적으로 회전 브러시 전환자에 의해 동작시키는 표시 장치였
으며, 약 60cm이 폭과 75cm의 높이를 갖는 극장용 표시 장치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 표시
장치는 각 화소별로 독립적으로 구도시키는 방식으로 2,500개의 방전관을 순차적으로 표시
해야 하므로 초당 16프레임의 낮은 화상 표시 능력을 갖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시기에 니컬
슨은 최초로 행구동 방식을 이용한 가스 방전 TV표시 장치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그당시에는 CRT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가스 발광 표시 장치를 TV표시 장치로 이용
하는데 대한 관심은 멀어져갔고 옥외 광고 표시기나 문자 표시 장치로서의 이용에 한정되게
되었다. 1940년대의 가장 성공적인 가스 방전 표시 장치의 하나가 베이건과 폴라드에 의해
개발된 테카트론 튜브(Ddkatron Tube)이다.
그 후 , 가스 방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로서 최초로 실용화된 것은 1950년대에 버로사에서
개발된 Nixie 방전 표시 장치가 있다. 이는 문자 표시 장치로 주로 사용되었다.
1956년 후반부터는 음극 구동 터미널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매트릭스 구조를 작은
가스 방전이 보고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구조는 현재의 플라즈마 표시기의 기본적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새로운 전극 구조는 서로 교차되는 양극과 음극을 각각 배면과 전면에
위치시키고, 방전이 형성은 양극과 음극 간에 전위차가 인가되는 지점에서 발생시키는 구조
를 작게 했으며, 인접 셀에 의한 방전의 상호 혼신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였
다. AC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발명은 1968년 일리노이의 오웬등에 의해 개발로 시룡화되
었으며 이에 자극되어 1970년 버로사의 홀쯔와 오글은 Self-scan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발명하여 실용화 하였다. 일본에서는 1970년대 초반부터 NHK, 히타치(Hitachi) 및 소니사
등이 HDTV 개발을 위한 연구에 착수하면서 PDP를 표시 장치로 이용하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현제 까지 많은 발전을 거듭했고 상용화를 이루었으며, 대형화 및 휘도, 효율, 소비전력,
포함하여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국내시장에서는 Digital TV로 42인치가 주력 사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3) 기본 구조 및 주요 원리
① 기본 구조
- 상,하판 Glass 사이를 격벽이 받치고, 그 사이에 Gas(Ne+He+Xe) 및 다층막(전극, 유전체, MgO,- 형광체 등)이 형성됨.
② 주요 원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기본적으로 전면과 배면유리 및 격벽에 의해 밀봉된 가스에다
음극ㆍ양극에 의해 전압을 가해 네온 발광을 일으켜 이 발광을 표시에 이용하는 것이다.
2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네온과 크세논 등의 가스를 채워 수많은 격벽으로 구성된 방에 3원
색 (R,G,B) 가운데 한가지 색의 형광체를 발라, 유리기판에 설치한 전극에 전압을 가하면
방전현상이 일어나고 자외선이 형광체에 부딪히면서 빛이 일고 색깔이 나타나는 것이다.
(4) PDP의 특징 및 장점
① 강한 비선형성
PDP는 전극 간에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방전 개시 전압 이하의 인가 전압에 대해서는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강한 비선형성을 갖는다. 따라서 한 선당 1000개 이상의 화소를 갖는 대형
패널의 구동에 있어서도 행구동 방식을 쓰면서 선택적인 방전을 할 수 있다.
② 기역 기능
PDP는 이전 상태의 조건에 의해 다음 상태가 결정되는 기억 기능이 존재한다. AC형의 경우
유전체 위에 형성이 되는 벽전하에 의해서 메모리 구동이 가능하며, DC형이 경우 펄스 메모
리 방식에 의한 메모리 구동이 가능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11.04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5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