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문화][혼례풍속]한국전통결혼문화(혼례풍속), 중국결혼문화(혼례풍속), 인도결혼문화(혼례풍속), 영국결혼문화(혼례풍속), 독일결혼문화(혼례풍속), 멕시코결혼문화(혼례풍속), 이집트결혼문화(혼례풍속)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결혼문화][혼례풍속]한국전통결혼문화(혼례풍속), 중국결혼문화(혼례풍속), 인도결혼문화(혼례풍속), 영국결혼문화(혼례풍속), 독일결혼문화(혼례풍속), 멕시코결혼문화(혼례풍속), 이집트결혼문화(혼례풍속)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국의 왕실 결혼문화(혼례풍속)
1. 왕실혼례
1) 금혼령
2) 가례청(嘉禮廳)
3) 간택의 절차
2. 간택과 복식

Ⅱ. 한국의 전통 결혼문화(혼례풍속)
1. 혼례절차
1) 주례육례(周禮六禮)
2) 주자사례(走者四禮)
3) 근대육례(近代六禮)
2. 혼례의식

Ⅲ. 중국의 결혼문화(혼례풍속)
1. 리족
2. 야오족
3. 미아오족
4. 러빠족
5. 티베트 족
6. 나씨족
7. 와족과 라후족

Ⅳ. 인도의 결혼문화(혼례풍속)

Ⅴ. 영국의 결혼문화(혼례풍속)
1. 신부
2. 신랑
3. 결혼의식

Ⅵ. 독일의 결혼문화(혼례풍속)
1. 결혼을 위한 의식
1) 첫번째 단계
2) 두번째 단계
3) 세번째 단계
2. 의복
3. 결혼식

Ⅶ. 멕시코의 결혼문화(혼례풍속)

Ⅷ. 이집트의 결혼문화(혼례풍속)
1. 농촌의 조혼
2. 배우자 선택방법 : 중매 or 연애
3. 근친결혼

참고문헌

본문내용

삼간택때에 사용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진주귀고리, 금가락지 한쌍, 산호반지 한쌍 역시 한꺼번에 다 끼는 것은 아니다. 의복은 노랑 저고리에 다홍 오호로단 겹치마에 역시 다홍 백복문단(百福紋鍛)홑치마이다. 삼간택날 내정된 특정인을 제외한 다른 두 후보의 복식을 보면 궁중에서 옷감만을 하사하였으며, 의복의 색채는 초간택과 재간택때와 다름없지만 명주를 넣지 말라는 조건과 초간택때 성적을 하지 말라는 두가지 제약이 없었다. 또한 금박 저고리와 귀고리, 반지, 노리개 등 착용도 용인되었으며 옷감도 고급화 되었다. 즉 특정 후보는 궁중에서 옷을 지어주고 폐물도 보내준데 비해 다른 후보는 옷도 하사받은 옷감으로 각자 집에서 지어 입고 폐물도 자기집에서 갖춰 가지고 오는 것이었다. 삼간택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된 처자의 복식을 보면 대례복차림이다. 즉 금사로 전자(篆字)를 박은 초록 원삼을 입고 그 위에 다홍 공단을 둘렀으며 남색 스란치마위에 진주낭자를 차고 그 위에 다홍색 치마를 겹쳐 입었다. 머리는 [생]을 메고 자주 능금댕기를 늘이고 칠보족두리를 쓴다. 이와 같이 비빈(妃嬪)의 대례복으로 화려하게 성장(盛裝)을 하고 나서 별궁에 들어가면 가례 때까지 머무르는게 되는 것이다
Ⅱ. 한국의 전통 결혼문화(혼례풍속)
1. 혼례절차
전통적인 혼례의 절차를 살펴보자.
1) 주례육례(周禮六禮)
① 납채(納采) - 혼인하기로 정했음을 통지
② 문명(問名) - 신부의 출생, 성명, 생년월일을 문의
③ 납길(納吉) - 궁합이 맞아 길함을 통지
④ 납징(納徵) - 정혼이 되었다는 증거로 폐백을 보냄
⑤ 청기(靑期) - 혼인 날짜를 정함
⑥ 친영(親迎) - 신랑이 가서 신부를 맞이함
이 같은 주례육례를 간소화 한 것이 주자사례다.
2) 주자사례(走者四禮)
① 의혼(議婚) - 양가에 혼담을 진행
② 납채(納采) - 납채와 문명을 병행
③ 납폐(納幣) - 납길, 납징, 청기를 병행
④ 친영(親迎) - 신랑 신부의 혼인의식
이러한 의식 절차가 현대 생활에 걸맞지 않자 전통에 바탕을 두고 현대 생활 감각에 맞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것이 바로 근대육례이다.
3) 근대육례(近代六禮)
① 의혼(議婚) - 혼담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든지 부모와 어른들의 승락을 얻는다는 뜻에서 청혼서(請婚書)와 허혼서(許婚書)를 주고받음으로써 양가의 원만한 합의하에 이루어진 혼인임을 증명.
② 납채(納采) - 신랑의 사주단자를 보내는 절차. 그 뜻은 약속을 문서화함과 동시에 궁합을 보고 혼례일을 택일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
③ 연길(涓吉) - 신랑의 사주를 받은 신부택에서 택일단자를 신랑택으로 보내는 절차.
④ 납폐(納幣) - 정혼이 되었으므로 혼례 전일까지 혼서와 혼수를 함에 넣어 신부택으로 보내는 절차.
⑤ 친영(親迎) - 신랑과 신부가 혼례식을 올린다.
2. 혼례의식
한국 전통혼례의 순서는 신랑 신부의 주변 사람들로 하여금 참여를 유도하여 단순히 행위자와 보는 자로서의 이분화가 아닌 함께 식을 꾸미고 이끌어 가는 형태로 되어 있는데 본질적 절차의 뼈대는 전안과 합근례라 할 수 있다.
① 양가의 안혼주가 나와서 초례상위의 청·홍 초에 불을 밝힌다.
② 혼례약속을 천신께 고하고 부부간의 믿음과 정절을 상징하는 기러기를 신부에 전달하는 소례, 즉 전안례를 올린다.
③ 신랑이 혼례청에 입장을 하고 기럭아비로부터 기러기를 받아 전안상 위에 놓고 한 걸음 정도 물러난 다음 북쪽을 향해 4배를 한다. 이때 신부의 어머니가 전안상 위에 있는 기러기를 치마폭에 싸안고 들어간다. 이것으로 소례, 전안례가 끝나면 대례를 올리게 된다.
④ 이제 신랑 신부가 비단길을 밟고 혼례청 대례상 앞으로 입장하고 대례에 임한 신랑 신부는 몸과 마음을 정갈히 하기 위한 의식으로써 손을 맑은 물에 씻는데 이것이 손씻기 의식이다. 상징적인 의식이므로 수모가 가져다주는 물로 손끝만 씻는다. 손씻기를 끝낸 후에는 신랑 신부가 상대방에게 맞절로써 백년가약 을 서약한다.
⑤ 맞절이 끝나면 합환주 의식을 갖는다. 합환주는 신랑 신부가 자리 에 앉아서 신랑과 신부의 잔에 있는 술을 나누어 마심으로써 비로소 두 사람이 하나됨을 상징하고 혼례식이 성사됨을 알리는 의식이다.
⑥ 양쪽의 수모는 신랑 신부 앞에 놓여 있는 놋잔에 술을 부어 각각 마시게 하고 다시 표주박 잔에 술을 부어 서로 교환하여 마시게 한다. 합환주의 방법은 지방마다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
⑦ 다음은 고천문 낭독의식이다. 신랑 신부의 친구나 선배 혹은 은사가 이 성스럽고 기쁜 혼례성사를 하늘에 고하여 그 뜻을 만천하에 전하는 의식이다.
⑧ 고천문 낭독이 있은 후에는 양가 부모님께 신랑 신부가 감사의 절을 올린다.
⑨ 감사의 절이 끝나면 찾아준 하객들께도 큰절로서 고마움의 표시를 하는 의식을 갖는다.
⑩ 신랑 신부가 인사를 하고 난 다음에는 신랑 신부는 마련된 자리 에 앉고 양가 아버님이 가족을 대표해서 하객들께 인사말씀을 하는 순서이다.
⑪ 혼례식을 마치고 신랑 신부가 성혼행진을 하며 퇴장한다. 이때 하객들은 대례상 위에 있던 팥과 쌀을 한줌씩 나누어 쥐고 있다가 신랑 신부를 향해 던진다. 이는 신랑 신부를 시샘하여 잘못 끼어 든 부정과 액을 떼어내는 상징적인 의식이고 하객들을 의식에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다. 성혼행진 후에는 자유롭게 사진촬영을 하고 잔치분위기 속에서 피로연을 진행한다.
Ⅲ. 중국의 결혼문화(혼례풍속)
1. 리족
마을 어귀의 한적한 곳에 팡쑤란 원두막같은 방길로를 여러 개 설치하여 결혼 적령기에 이른 아가씨들을 그곳에서 살도록 하고 있다. 혼기에 있는 총각들은 자기가 점찍어둔 아가씨의 어느 팡쑤에 있는지 찾아가 구애를 한다. 팡쑤 속에 있는 아가씨가 막대기로 기둥을 두 번 치면 마음에 든다는 신호고, 계속 딱딱치면 싫다는 뜻이다. 만약 팡쑤속의 아가씨가 피리의 노랫소리를 듣고 마음에 들면 팡쑤의 문을 열어주고 결혼을 약속하게 된다.
2. 야오족
방년출란이란 풍습을 갖고 있는데, 이것은 매년 음력 대보름날부터 3일 동안 미혼 남녀들이 함께 모여 줄기는 축제일로서 서로 마음에 드는 사람과 짝을 지어 산기슭이나 논밭의 언덕 밑에서 노래를 부른 뒤 사랑을 나누는 풍습이다. 대부분은 짝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12.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6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