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으 구조 정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으 구조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건축물의 구성형식과 구조재료별 종류

구조형식에 의한 분류
기초구조
조적구조

본문내용

맞춤, 긴 장부 맞춤,
(2) 내다지 장부맞춤,
(3) 장부의 종류 :
평장부, 턱장부, 쌍턱장부, 주먹장부, 부채장부, 지옥장부, 빗장부, 턱솔장부
2) 장부 이외의 맞춤
(1) 통맞춤, (2) 빗턱통넣고 짧은장부맞춤, (3) 빗걸침턱맞춤, (4) 걸침턱맞춤
(5)안장맞춤, (6) 연귀맞춤,
4. 접합부의 보강
1) 나무 보강재
(1) 산지, (2) 촉, (3) 쐐기, (4) 거멀띠
2) 철재 보강재
(1) 못 : 보통둥근못, 납작머리못, 둥근머리못, 갈구리못, 가시못
(2) 나사못 : 둥근머리 나사못, 평머리 나사못, 코치스크류
(3) 볼트 : 외나사볼트, 양나사볼트, 앵커볼트, 주걱볼트
(기초와 토대 : 앵커볼트) (도리와 통나무보 등 :주걱볼트)
(4) 꺽쇠 : 보통꺽쇠, 엇꺽쇠, 주걱꺽쇠( ㅅ 자보와 빗대공 : 보통꺽쇠)
(5) 듀벨(압입식, 파넣기식) : 트러스와 평보의 접합부,
(6) 안장쇠 : 큰보와 작은보
(7) 감잡이쇠 : 왕대공과 평보의 맞춤
(8) 띠쇠(ㄱ 자쇠, T자쇠) : 1. 2층 기둥과 층도리
4.5 뼈대구조
4.51 뼈대의 구성재
1. 토대(ground sill)
1) 토대와 기초(연속기초)는 2m(4m 이내) 간격으로 긴결철물(앵커볼트 : 지름12mm)로 긴결한다.
2) 토대의 크기는 보통기둥과 같이 하거나 다소 크게 한다.
3) 토대의 종류는 바깥토대, 칸막이토대, 귀잡이토대가 잇다
4) 이음. 맞춤
가. 토대와 토대의 이음 : 턱걸이 주먹장 이음, 또는 엇걸이 산지이음
나. 칸막이토대와의 맞춤 : 통 넣은 주먹장
5) 토대의 모서리. T자형 등으로 접합하는 요소에는 귀잡이토대를 설치한다.
2. 기둥(post)
* 크기
단층건물 : 10-12cm 각재
2층 건물의 아래층 : 12-14cm 각재
1) 평기둥(story post)
가. 한 층에만 서는 기둥으로서 토대와 층도리, 층도리와 층도리, 층도리와 깔도리
등의 가로재로서 구분된다.
나. 맞춤 : 내다지 장부산지치기, 짧은 장부맞춤
2) 통재기둥(continuous post)
가. 밑층에서 윗층까지 1개의 재로 상하층기둥이 되는 것으로서 대개 5-6m의
길이가 필요하다.
나. 건물의 모서리, 중간요소(칸막이벽과 밖벽과의 교차부 등)에 배치한다
다. 가로재와의 접합부는 심히 따내는 일은 피하고 철물(띠쇄)로 보강하는 것이 좋다.
3) 샛기둥(stud)
가. 본기둥(평기둥, 통재기둥)의 사이에 넣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보조재(반쪽, 3쪽)
나. 가세와 샛기둥이 교차할 때에는 주요부재인 가세에 결송을 주어서는 안되며
보조재인 샛기둥을 잘라 가새에 맞춤한다.
다. 샛기둥의 간격은 평기둥 간격의 1/4 (45-50cm)정도로 한다.
라. 상. 하 가로재에 짧은 장부맞춤 빗못질
4) 덧기둥. 독립기둥
3. 층도리(girth)
1) 상. 하층 사이에 가로 넣는 부재를 층도리라 한다.
즉, 2층 마루 바닥이 있는 부분에 수평으로 대는 가로재이다.
2) 이음은 엇걸이 산지이음으로 하고 철물로 보강한다
3) 너비는 기둥과 같이 하고 춤은 너비의 1.5-2배 정도로 한다.
4. 도리(plate)
1) 깔도리 (wall plate)
가. 기둥 맨위 처마 부분에 수평으로 대어 지붕틀을 받아 기둥에 전달한다.
나. 깔도리의 크기는 기둥과 같은 정도 또는 다소 춤이 높은 것을 쓴다.
다. 이음은 기둥, 보의 위치를 피하여 엇걸이 산지이음으로 한다.
2) 처마도리(pole plate)
가. 지붕틀의 평보 위에 깔도리와 같은 방향으로 걸처댄다.
나. 처마도리의 크기는 깔도리, 중도리, 마루대, 기둥과 같은 정도로 하거나 다소
작게 한다.
다. 이음. 맞춤은 깔도리와 같고 평보와 걸침턱 맞춤으로 한다.
5. 인방(lintel)
1) 개구부 상. 하에 댄 것을 인방
2) 개구부 위엣 것을 인방, 윗인방
개구부 아랫 것을 밑인방, 창대라 하며 출입구 아랫 것을 문지방(door sill)
6. 가새(diagonal bracing)
* 횡력에 의한 건물의 변형을 막기 위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빗재를 댄 주요구조부재.
1) 45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며 주요한 곳은 X자형으로 댄다.
2) 기둥이나 보에 대칭이 되도록 하며 아랫부분에 보다 많이 배치한다.
3) 가세는 그 두 끝부분을 기둥. 보 기타 내력부분인 가로재와 잇도록 하여야 한다.
4) 가세는 파내기 기타 이와 유사한 손상을 주어 그 내력에 지장을 가져오게 하여서는 안된다.
5) 이장력을 받는 가세
가. 목재 : (1) 가세에 접하는 기둥단면적의 1/5 이상의 단면적을 가지는 목재
(2) 두께 1.5cm, 폭 9cm 이상의 목재
나. 철재 : (1) 지름 9mm 이상의 철근
(2) 앞의 목재나 철근과 동등 이상의 내력을 가지는 강재
6) 압축력을 받는 가세
가. 두께 3.5cm 이상이고 골조 기둥의 1/3쪽에 해당하는 두께인 목재
나. 좌굴과 재단의 지압력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7. 버팀대(angle brace)
8. 밑둥받이(plinth)
4.6 특수구조
4.6.1 경골구조
4.6.2 집성목재구조
4.7 마루틀 구조
4.7.1 최하층 마루틀
1. 납작 마루틀
호박돌(굴림멍에) → 장선 → 마루널
2. 동바리 마루틀
동바리돌 → 동바리(동바리 밑둥잡이) → 멍에 → 장선 → 마루널(환기구)
4.7.2 상층 마루틀
1. 홑마루틀(장선마루틀)
1) 복도와 같이 간사이가 작은 곳에 보를 쓰지 않고 층도리와 칸막이도리에 바로 장선을 걸고 마루널을 까는 장선마루.
2) 층도리, 칸막이도리 → 장선 → 마루널
2. 보마루틀
1) 간사이 2.7m 이상 일때 바닥보를 2.0m 이내 간격으로 걸어 장선을 받는다.
2) 바닥보 → 장선 → 마루널
3. 짠마루틀
1) 간사이 6m 이상 이때 큰보를 2.7-3.0m 간격으로 걸고 직각방향으로 작은보를 1.8-2.0m 정도 간격으로 배치하여 장선을 받게한다.
2) 큰보 → 작은보 → 장선 → 마루널
4. 특수보
1) 배합보, 2) 포갬보 3) 수평트러스 보
4.8 지붕틀 구조
4.8.1 절충식 지붕틀
1. 지붕보 2. 동자기둥, 3. 중도리. 마룻대. 4. 종보. 5. 귀잡이보
6. 잡이대, 도리방향 가세. 지붕 가세. 지붕

키워드

구조,   건축,   기초,   조적,   구조 형식,   종류
  • 가격8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12.19
  • 저작시기202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68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