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자폐 사례및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자폐 사례및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 자폐의 개념
․ 자폐의 유형
․ 자폐의 원인
․ 자폐유아의 특성
․ 자폐아동의 사례
․ 치료 방법
 지도활동
 동화 - 내친구은찬이

Ⅲ.결론 및 느낀점

본문내용

의 교육 현실과 자폐아동 가족들의 말로 다하지 못할 고민들을 들어보자.
<갈 길이 먼 자폐아 교육>
아이가 더 이상 자라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엄마들... 지금은 많이 나아졌다는 교육 환경이지만 아이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교육환경은 척박하기만하다. 정상아들과 함께 수업 받는 통합교육이 있긴 하지만, 아직 부족한 지원과 따가운 사회의 시선 속에 자폐아들이
통합교육을 받기란 쉽지 않은 일, 결국은 다시 특수교육학교로 되돌아가는 아이들이 적지 않은데.. 왜 그들은 통합교육의 열린 공간을 떠나 그들만의 공간으로 가야했을까? 우리나라 자폐아 교육의 실상을 알아보자.
<끝나지 않는 고통, 성인자폐의 문제>
\"아이보다 하루만 더 살았으면...\" 자폐를 둔 부모의 소원이다. 아이가 자라서 교육을 받고 직업을 배우지만 우리나라에서 자폐장애인이 사회로 나가는 것은 극히 드문 경우에 속한다.
그래서 자폐 자녀를 둔 부모들은 아이가 자랄수록 걱정이 태산이다. 아들의 장래를 생각하여 5년 전부터 제빵을 가르친 명수어머니와 명수의 선택은 바늘구멍 같은 취업의 길을 모색해보려는 발버둥이다. 그러나 이런 대책의 모색이 자식을 둔 부모의 선에서만 그쳐야 하는 것인가? 우리가 함께 해야 할 사회 구성원으로 그동안의 잘못된 편견은 버려야 하지 않을까? 끝나지 않는 고통 속에서도 자폐장애인과 그의 가족들의 희망 찾기는 계속된다.
2. 제목: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행*
(SBS) 2004년10월2일 민우 인우 형제편
http://wizard2.sbs.co.kr/vobos/wizard2/resource/template/contents/07_review_detail.jsp?vProgId=1000119&vVodId=V0000247741&vMenuId=1001922&rpage=4&cpage=39&vVodCnt1=00081&vVodCnt2=00&vUrl=/vobos/wizard2/resource/template/contents/07_review_list.jsp#
<선정이유>
사춘기 자폐아의 생활을 보며 우리와 교육방법과 접근이 달라야 합을 인식할 수 있으며, 자폐가족의 심리적 어려움(쌍둥이 형제와 엄마)을 보면서 장애가 한가정의 문제뿐만아닌 지역과 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주요내용>
\"14년 동안 엄마 소리도 못 들어봤는데...\"
14 년의 시간동안, 엄마의 아들이었고 형의 동생이었던 인우.
하지만 단 한 번도 엄마에게 \'엄마\'라고 불러주지 못했고, 자신과 똑같이
생긴 형에게도 \'형\'이라고 불러주지 못했다.두 돌이 되었을 때, 인우는 자폐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조금 먼저 태어난 쌍둥이 형 민우가 또래아이들과 같이 뛰어놀 때도 인우는 자기만의 세계에서 시간을 보냈다. 그리고, 말문도 트지 못한 채 14년을 흘려보냈다.\"그 동안 이렇게 자랐구나...\"쌍둥이 형제는 열 네 살이 되었다. 민우는 잔소리가 듣기 싫다고 투덜거리는 사춘기 소년이 되었고, 인우도 여자친구에게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엄마만은 유독 아빠가 계셨던 예전의 기억에 의지한 채 살고 있었다.그러다 문득 아이들의 존재를 깨달았을 때, 아이들은 이미 엄마의 희미한 사랑에 아픔을 쌓아가고 있었다.\"이제는 씩씩하게 살아야지...\"
가족사진을 다시 찍었다. 그 사진 속에는 아빠가 없었다. 엄마 옆에는 잘 생긴 두 아들이.. 민우 옆에는 소중한 동생과 엄마가.. 인우에게는 인우를 따뜻이 안아주는 엄마와 형이 있었다. 아빠를 마음 속에 간직하고 이제는 활짝 웃겠다는 엄마와 쌍둥이 형제의 새로운시작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행>이 함께 한다.
4. 자폐아동 사례
사례1. 아동: 7세 J양
증상: 학습 또래들에게 무반응 적이며, 어느 누구와도 거의 눈을 맞추지 않는다. 혼자 남겨지게 될 때면 자신의 손을 목구멍 속에 넣었고, 혀를 내밀었으며, 기묘하면서도 낮은 소리를 내곤 했다. 혼자서 놀도록 내버려 두면 이러한 행동은 몇 시간씩 지속되곤 했다. 의자에 혼자 앉아 있을 때에는, 비록 넘어지는 일은 전혀 없다 하더라도, 의자를 앞뒤로 흔들곤 했다. 그녀의 운동기술은 정말 뛰어난 것처럼 보였는데, 요구를 하면 크레용을 사용하고 종이를 손으로 다룰 수 있었다. 그러나 그녀의 기민함은 공격성에서도 나타났다. (특히 새로운 물건 또는 사람을 접하게 될 때 가장 공격적이다.) 지루하거나 불안할 때 말을 하지 않고 낮은 소리를 낼 때만 발성을 했다. 타인과 의사소통 하려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았으며, 주위에 다른 사람들이 있다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인지기술은 뒤떨어져 있으며 고민스러울 정도로 느리게 발달하고 있었다.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식사를 했으며, 옷 입기에서 다소의 도움을 필요로 했다.
치료: 개별화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실시- 이상한 소리를 낼 때마다 강화를 받는 프로그램과 언어프로그램 실시 (휴식, 화장실, 음료에 관한 사인하는 법을 가르치며 사인을 할 때마다 보상을 해줌) 학교에서 간단한 그룹 활동 예를 들어 다른 사람에게 공굴리기, 기본 게임하기, 노래 하기 등에 참여하도록 요구되었다.
<출처: 정서 행동장애의 이해 : 사례중심적 접근 Casebook in child behavior disorders Christopher A.Kearney| 이승희 역| 박학사>
사례2. 상연이가 말을 하기까지.( 한 상 연 어머니)
한상연 어린이는 1995년 6월 17일생으로서, 병원에서 조절장애라는 진단을 받았고, 1998년 7월 11일부터 연구소의 치료교육을 받으며 동시에 요육원에서 개별학습 및 단체학습을 받기 시작했다. 그 당시 상연이의 상태는 다음과 같았다.
증상
불러도 귀머거리처럼 반응을 잘 보이지 않는다. 엄마 아빠를 처음 말한 것은 16개월 때이다.
손짓으로 요구사항을 가리킨다. 언어는 전혀 안된다. 어떤 지시에 대해 냉당한 반응을 보인다.
눈을 맞추지 못한다. 과잉행동을 한다. 꼬집거나 할퀸다. 다른 아이와 어울려 놀 수 없다.
의미없는 혼자말을 한다. 반복적이고 집착하는 등의 문제행동
까치발을 딛고 깡충깡충 뛴다 .물건 돌리는 것을 좋아하고 돌아가는 물체를 좋아한다.
내용
13개월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12.2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