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열린 공간 빨래터와 이발소
2. 카페여급 기미꼬
3. 숙명적인 삶의 만돌 어멈
4. 과부의 딸 이쁜이의 삶
2. 카페여급 기미꼬
3. 숙명적인 삶의 만돌 어멈
4. 과부의 딸 이쁜이의 삶
본문내용
. 그래서 부인이 죽은 손님-손 주사의 심정을 잘 헤아려 주고 하나꼬가 아이들이 딸린 남자-최 진국에게 재취로 가려는 것도 그녀의 미움과 오해를 받아 가면서 반대를 한다. 그 이유는 진국의 진심이 변할 것이라는 것과 돈이 결코 하나꼬를 행복하게 해주지 못하고 재앙이 되며, 여급이란 하나꼬의 분수가 양반집 맏며느리라는 자리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 이였다. 결국 하나꼬는 기미꼬의 말대로 남편의 변심과 시어머니의 무시어린 시집살이, 전처 아이 둘의 반항 등, 돈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불행을 맞이하게 된다. 반면에 금순이는 어려운 자신의 처지에 받아 준 기미꼬의 제안에 동생까지 함께 살게 되면서 자신의 새어머니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까지 품어보게 되고, 기미꼬는 그녀대로 금순이를 마음씨 착한 홀아비 손주사에게 시집보내려는 생각으로 행복해 한다. 기미꼬의 행복은 순리대로 살아가는 삶이 아닐까? 너무 많은 것을 바라지도 않고, 없다고 비굴하지도 않는 당당함이 배어나는 삶을 사는 것이 가장 행복한 삶이라고 생각한 것 같다.
작가는 재봉이와 기미꼬에게 카메라 렌즈를 많이 대어 주고 있으며, 이들을 응원하는 것이 아닌 가 판단된다. 많이 배우고, 많이 가진 자들만이 행복한 것이 아니고, 가진 것이 없어도 행동하는 일들이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면, 돈과 권력, 직위가 있고 없고를 따지지 않고, 누구에게나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조건이 있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가진 것이 많이 있어도 재앙을 불러오지 않게 말이다. 가진 것이 많은 한약국집 큰 아들 내외는 연애를 해서 결혼을 하며 가장 행복하게 그려지는 이유도 같은 맥락일 것 같다.
작가는 재봉이와 기미꼬에게 카메라 렌즈를 많이 대어 주고 있으며, 이들을 응원하는 것이 아닌 가 판단된다. 많이 배우고, 많이 가진 자들만이 행복한 것이 아니고, 가진 것이 없어도 행동하는 일들이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면, 돈과 권력, 직위가 있고 없고를 따지지 않고, 누구에게나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조건이 있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가진 것이 많이 있어도 재앙을 불러오지 않게 말이다. 가진 것이 많은 한약국집 큰 아들 내외는 연애를 해서 결혼을 하며 가장 행복하게 그려지는 이유도 같은 맥락일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