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가정폭력의 개념과 유형
1. 가정폭력의 개념
2. 가정폭력의 유형
Ⅱ. 가정폭력의 실태
1. 부부폭력(배우자 대한 폭력)
2. 아동에 대한 폭력
3. 노인에 대한 폭력
Ⅲ. 가정폭력의 특성
1. 일반적 특성
Ⅳ. 가정폭력의 원인
1. 일반적 원인
2. 부부폭력의 원인
Ⅴ.가정폭력 원인에 대한 이론적 관점
Ⅵ. 가정폭력의 피해와 영향
1. 피해자에게 미치는 정신적․심리적 영향
2. 가정생활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
Ⅶ. 가정폭력의 치료와 예방
1. 가정폭력 당사자에 대한 의료적 조처
2. 가정폭력에 대한 법률적․제도적 장치 마련
Ⅷ. 현행 가정폭력 관련 법률
1.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2.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Ⅸ.사례에 대한 조원들의 견해
Ⅹ. 윤리적 딜레마
Ⅺ. 가정폭력에 관한 사회적 입장
Ⅻ.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복지적 실천에서의 이해
1. 가정폭력의 개념
2. 가정폭력의 유형
Ⅱ. 가정폭력의 실태
1. 부부폭력(배우자 대한 폭력)
2. 아동에 대한 폭력
3. 노인에 대한 폭력
Ⅲ. 가정폭력의 특성
1. 일반적 특성
Ⅳ. 가정폭력의 원인
1. 일반적 원인
2. 부부폭력의 원인
Ⅴ.가정폭력 원인에 대한 이론적 관점
Ⅵ. 가정폭력의 피해와 영향
1. 피해자에게 미치는 정신적․심리적 영향
2. 가정생활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
Ⅶ. 가정폭력의 치료와 예방
1. 가정폭력 당사자에 대한 의료적 조처
2. 가정폭력에 대한 법률적․제도적 장치 마련
Ⅷ. 현행 가정폭력 관련 법률
1.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2.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Ⅸ.사례에 대한 조원들의 견해
Ⅹ. 윤리적 딜레마
Ⅺ. 가정폭력에 관한 사회적 입장
Ⅻ.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복지적 실천에서의 이해
본문내용
회봉사, 수강명령, 보호관찰, 보호시설에의 감호위탁, 의료기관에의 치료위탁, 상담소등에의 상담위탁 및 필요한 처분의 병과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⑨ 가정폭력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피해자의 의견을 존중토록 하였고, 피해자가 진술할 경우 변호사, 법정대리인, 배우자, 직계친족, 형제자매 호수 상담소 상담원 또는 그 장으로 하여금 대리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진술을 위해 행위자에게 퇴장을 명할 수 있도록 했으며, ⑩ 가정폭력의 피해자가 가정보호사건에서 보호처분을 받은 경우 직권 또는 피해자의 신청에 의해 가정폭력사건으로 정신적 피해와 치료비에 대한 배상명령과 부양 등에 필요한 금전지급명령, 또 이 명령에 대해 강제집행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국사회복지협회 http:// www.welfare.net)
※미국의 가정폭력에 대한 조치 및 처벌
(1) 보호시설(shelter)이용
가정폭력피해자 중 약 56%가 보호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미국에서 피해자보호시설 이 잘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피해자를 범죄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 가정폭력 을 방지하기 위한 응급적 조치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호시설이용에 는 범죄자의 연령에 따른 차이는 발견할 수 없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매우 크다. 범죄 자가 남성인 경우 대부분의 피해자가 격리되고 있다(61.3%). 이는범죄자가 여성인 경우 29.2%에 비하면 매우 높은 수치이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범죄자가 여성범죄자에 비해 폭력성이 더 강하기 때문에 피해자를 격리시킬 필요가 더 많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주목 해야 할 점은 여성범죄자의 경우에도 29.2%의 피해자를 보호시설에 격리시키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국에서도 여성범죄자가 증가추세에 있고, 따라서 피해자가남성인 경우에도 여성폭력으로부터 격리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 남성을 위한 보호시설이 전혀 없 는 실정이다. 남성피해자를 위한 보호시설마련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2) 범죄자체포
가정폭력범죄자의 약 34.9%가 현장에서 체포되고 있고, 범죄자의 1.5%에 대해 영장이 발부되고있다. 높은 체포율은 미국사회에서 폭력에 대한 사법적 대응이 매우 철저하며 엄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에서는 아직도 가정폭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대하며 가 정내의 사적인 문제로 치부하려는 경향이 있다. 가정폭력을 방지하기 위해 제정된 현행 가정폭력특별법에서조차 그러한 사회적 경향이 많이 반영되었다는 지적이 있다. 체포여 부에 대해 연령별 차이는 별로 없으나 성별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남성범죄자의 36.9%, 여성범죄자의 16.7%가 현장에서 체포된다.
(3) 임시조치청구
임시조치청구사건은 전체 가정폭력사건의 10.9%에 이른다. 상담시설의 상담원에 의해 청구된 사건 18.1%를 포함하면 29%가 된다. 이런 사실로 미루어 보아 미국에서의 가정 폭력사건은 상당히 중요한 범죄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별로는 별 차이를 발견할 수 없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즉 남성범죄자인 경우 여 성범죄자에 비해 임시조치를 당할 가능성이 높다.
Ⅸ.사례에 대한 조원들의 견해
1).폭력을 가하는 아버지를 살해한 여중생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기사>
『\'폭력 아버지 살해\' 여중생 사연-\"오죽 했으면…\" 선처 여론 봇물
술에 취하면 상습적으로 가정폭력을 일삼던 40대 아버지를 목졸라 살해한 혐의로 구속된 여중생 이모(14·강릉시)양에 대한 선처 호소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부설 강릉가정폭력 및 성폭력상담소와 강릉여성의 전화 등 강릉과 동해지역 4개 시민단체는 이양을 돕기 위한 특별대책위원회를 구성,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대책위는 \"이양은 아버지를 살해했지만 동시에 그동안 아버지로부터 무수히 학대와 폭력을 당한 가정폭력 피해자\"라며 \"이양은 형을 경감받아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네티즌들의 호소도 줄을 잇고 있다. 강릉경찰서 인터넷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는 이양과 관련한 글이 1000개도 넘게 올라와 있다
이양은 지난 15일 오후 10시55분 아버지 이모(40선원)씨가 술에 취해 할머니(70)에게 욕설을 퍼붓고 중풍을 치료한다며 할아버지(74) 귀를 강제로 뚫으려 하는 것을 제지하다 폭행을 당하자, 아버지를 넥타이로 목졸라 살해한 혐의로 17일 구속됐다.
평소 얌전한 학생으로 동네에서 소문이 자자한 이양의 일기장에는 술 취한 아버지가 학원까지 찾아와 폭행하는 바람에 너무 창피했다는 것과 차라리 아버지 없이 할머니 할아버지하고만 살고 싶다는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여성의 전화연합 www.hotline.or.kr)
2). < 조원의 견해>-여중생 아버지 살해사건, 살인인가 아니면 정당방위인가?
(1). 살인죄를 물어야된다는의 입장
박혜진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살인이 정당화 될 수는 없다..
이번 사건으로 살인의 혐의를 벗어난다면 사회의 질서를 유지할 수 없다.
법이란 사회의 유지를 위해 존속한다. 이는 기본적인 규칙으로서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아동학대로 인한 심리적, 정서적인 문제로 그와 같은 범행을 저지를 수 밖에 없었던 상황적 요인을 묵과할 수는 없지만 궁극적인 문제해결 방법으로 볼 수는 없다.
아무리 죽어 마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인간의 존엄성으로 인해 살아야 하는 권리가 있다.부의 죽음은 일시적인 피해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지만 온전한 문제해결 방법이 아니다. 부의 폭력적 성향은 정신적인 문제이며 치료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아동학대로 인한 피해자의 부의 살인이 사회에서 정당화 된다면 가정은 존속할 수 없다
허선미
나는 이양에 대해서 사회 전반적으로 선처를 구한다는 여론이 일어난다고 해도 무턱대고 선처를 구해서는 안된다고 보아진다. 이양이 가정폭력에 대해서 많은 학대를 받고 그런 것에 대해서는 안타깝고 사회복지적 입장에서는 이양에게 손을 들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법적으로 이런 것이 용납되어져서는 안된다고 보아진다. 아무리 학대를 당했어도 사람 한사람 개인에게는 생명이라는 존중권이 있고, 안락사와 같이 죽음도 자기 선택하것이 윤리적으로 딜레마에 처하는 것처럼 이렇게 안
(한국사회복지협회 http:// www.welfare.net)
※미국의 가정폭력에 대한 조치 및 처벌
(1) 보호시설(shelter)이용
가정폭력피해자 중 약 56%가 보호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미국에서 피해자보호시설 이 잘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피해자를 범죄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 가정폭력 을 방지하기 위한 응급적 조치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호시설이용에 는 범죄자의 연령에 따른 차이는 발견할 수 없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매우 크다. 범죄 자가 남성인 경우 대부분의 피해자가 격리되고 있다(61.3%). 이는범죄자가 여성인 경우 29.2%에 비하면 매우 높은 수치이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범죄자가 여성범죄자에 비해 폭력성이 더 강하기 때문에 피해자를 격리시킬 필요가 더 많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주목 해야 할 점은 여성범죄자의 경우에도 29.2%의 피해자를 보호시설에 격리시키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국에서도 여성범죄자가 증가추세에 있고, 따라서 피해자가남성인 경우에도 여성폭력으로부터 격리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 남성을 위한 보호시설이 전혀 없 는 실정이다. 남성피해자를 위한 보호시설마련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2) 범죄자체포
가정폭력범죄자의 약 34.9%가 현장에서 체포되고 있고, 범죄자의 1.5%에 대해 영장이 발부되고있다. 높은 체포율은 미국사회에서 폭력에 대한 사법적 대응이 매우 철저하며 엄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에서는 아직도 가정폭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대하며 가 정내의 사적인 문제로 치부하려는 경향이 있다. 가정폭력을 방지하기 위해 제정된 현행 가정폭력특별법에서조차 그러한 사회적 경향이 많이 반영되었다는 지적이 있다. 체포여 부에 대해 연령별 차이는 별로 없으나 성별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남성범죄자의 36.9%, 여성범죄자의 16.7%가 현장에서 체포된다.
(3) 임시조치청구
임시조치청구사건은 전체 가정폭력사건의 10.9%에 이른다. 상담시설의 상담원에 의해 청구된 사건 18.1%를 포함하면 29%가 된다. 이런 사실로 미루어 보아 미국에서의 가정 폭력사건은 상당히 중요한 범죄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별로는 별 차이를 발견할 수 없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즉 남성범죄자인 경우 여 성범죄자에 비해 임시조치를 당할 가능성이 높다.
Ⅸ.사례에 대한 조원들의 견해
1).폭력을 가하는 아버지를 살해한 여중생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기사>
『\'폭력 아버지 살해\' 여중생 사연-\"오죽 했으면…\" 선처 여론 봇물
술에 취하면 상습적으로 가정폭력을 일삼던 40대 아버지를 목졸라 살해한 혐의로 구속된 여중생 이모(14·강릉시)양에 대한 선처 호소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부설 강릉가정폭력 및 성폭력상담소와 강릉여성의 전화 등 강릉과 동해지역 4개 시민단체는 이양을 돕기 위한 특별대책위원회를 구성,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대책위는 \"이양은 아버지를 살해했지만 동시에 그동안 아버지로부터 무수히 학대와 폭력을 당한 가정폭력 피해자\"라며 \"이양은 형을 경감받아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네티즌들의 호소도 줄을 잇고 있다. 강릉경찰서 인터넷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는 이양과 관련한 글이 1000개도 넘게 올라와 있다
이양은 지난 15일 오후 10시55분 아버지 이모(40선원)씨가 술에 취해 할머니(70)에게 욕설을 퍼붓고 중풍을 치료한다며 할아버지(74) 귀를 강제로 뚫으려 하는 것을 제지하다 폭행을 당하자, 아버지를 넥타이로 목졸라 살해한 혐의로 17일 구속됐다.
평소 얌전한 학생으로 동네에서 소문이 자자한 이양의 일기장에는 술 취한 아버지가 학원까지 찾아와 폭행하는 바람에 너무 창피했다는 것과 차라리 아버지 없이 할머니 할아버지하고만 살고 싶다는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여성의 전화연합 www.hotline.or.kr)
2). < 조원의 견해>-여중생 아버지 살해사건, 살인인가 아니면 정당방위인가?
(1). 살인죄를 물어야된다는의 입장
박혜진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살인이 정당화 될 수는 없다..
이번 사건으로 살인의 혐의를 벗어난다면 사회의 질서를 유지할 수 없다.
법이란 사회의 유지를 위해 존속한다. 이는 기본적인 규칙으로서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아동학대로 인한 심리적, 정서적인 문제로 그와 같은 범행을 저지를 수 밖에 없었던 상황적 요인을 묵과할 수는 없지만 궁극적인 문제해결 방법으로 볼 수는 없다.
아무리 죽어 마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인간의 존엄성으로 인해 살아야 하는 권리가 있다.부의 죽음은 일시적인 피해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지만 온전한 문제해결 방법이 아니다. 부의 폭력적 성향은 정신적인 문제이며 치료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아동학대로 인한 피해자의 부의 살인이 사회에서 정당화 된다면 가정은 존속할 수 없다
허선미
나는 이양에 대해서 사회 전반적으로 선처를 구한다는 여론이 일어난다고 해도 무턱대고 선처를 구해서는 안된다고 보아진다. 이양이 가정폭력에 대해서 많은 학대를 받고 그런 것에 대해서는 안타깝고 사회복지적 입장에서는 이양에게 손을 들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법적으로 이런 것이 용납되어져서는 안된다고 보아진다. 아무리 학대를 당했어도 사람 한사람 개인에게는 생명이라는 존중권이 있고, 안락사와 같이 죽음도 자기 선택하것이 윤리적으로 딜레마에 처하는 것처럼 이렇게 안
추천자료
가정폭력의 개념, 가정폭력의 유형, 가정폭력의 발생원인, 가정폭력의 반복원인, 가정폭력의 ...
[가정폭력][아내구타][가족복지][가정폭력 대안][폭력남편]가정폭력의 유형, 가정폭력의 원인...
[가정폭력][가족복지][가족문제][폭력가장][가정폭력방지법]가정폭력의 유형, 가정폭력의 영...
[가정폭력][가정폭력문제][폭력가정][아내구타][가정문제][폭력가장][폭력][폭행]가정폭력의 ...
[아내구타][가정폭력][폭력남편]아내구타(가정폭력)의 특성과 아내구타(가정폭력)의 실태, 아...
[아내구타][가정폭력][아내구타(가정폭력) 남편]아내구타(가정폭력)의 원인, 아내구타(가정폭...
[아내구타][가정폭력][아내구타문제][가정폭력문제]아내구타(가정폭력)의 근본적 원인과 아내...
[가정폭력][가정폭력의 심각성][가정폭력의 영향][가정폭력 대책]가정폭력의 유형, 가정폭력...
[가정폭력] 가정폭력의 개념, 가정폭력 원인, 가정폭력 실패, 가정폭력 해결방안
위기가정이 늘면서 가정폭력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대사회에서 특히, 문제가 되고 있...
가정폭력보고서(가정폭력개념, 가정폭력유형, 실태, 발생원인, 실체와허상, 폭력가족복지대책...
[결혼과 가족 최종 레포트 - 가정폭력]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폭력>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
[가정폭력] 가정폭력의 영향, 현황, 가정폭력 해결방안 - 가정폭력
가정폭력의 개념,가정폭력의 정의,가정폭력의 정책 및 현황,가정폭력이 미치는 영향,가정폭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