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요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시가론 요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유가적 경세의 이상을 현실정치에서 펼칠 의욕적인 의식세계 집약
(즐거움, 충족감, 자신감의 정서)
나)맹사성의 <강호사시가>는 종장; ‘亦君恩이샷다’는 단순한 상투어, 수식어가 아니라 자연의 넉넉함은 태평성대의 왕도정치로 인해 자연과의 동화를 넉넉함으로 형상화
다)호기가(豪氣歌); 무인들인 고려말 崔瑩, 세종대 김종서(朔風은 나무 긋해 불고 明月은...),세조대 남이
7.5.2. 조선 중기; 발전기의 시조 (p.326~)
1) 조선 중기 시조의 성격
①중기시기; 16~17세기를 조선중기로 잡는데는 앞시대와 변화측면보다 지속의 측면이 강하고, 전체 역 사로 볼 때, 시조문학의 원숙한 경지에 이른 발전기에 해당
②전대 시조는 세계의 문제와 治人의 차원이었지만, 자아와 세계, 수기와 治人의 불가분 관계로 인식
(사림파의 정치문화적 성장과 관련한 修己治人의 사대부적 이상이 작품에 투영=사대부시조의 開花期)
③<한림별곡, 감군은, 북전,풍입송>등의 왕실음악은 歌風이 淫華하여 修身을 중시하는 사림파의 취향엔 개인의 심성을 기르는데 왕실음악 중, 대엽곡을 선호, 16c 중반부터 거기에 맞춰 시조창작과 음악문 화도 정착되어 후반엔 대엽곡이 왕실음악으로서보다 사림파 지식인들의 음악으로서 큰 구실
④작가; 16c 중반의 김구, 송순, 이현보, 주세붕/ 후반의 이황, 정철, 이이, 권호문
2) 강호시조의 형성과 작품세계
①사대부시조의 대표 유형이면서 그들의 정신세계를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강호시조는 사림의 문학으로 서의 전형성을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시조 (16c 중반에 양식적 확립을 이룸)
②대표작가; 이별(李瞥)의 장육당육가(藏六堂六歌), 이현보의<漁夫短歌>, 송순<仰亭短歌>등
③어부단가에서는 人世, 紅塵, 북궐(北闕), 제세현(濟世賢) 같은 사회성 짙은 시어들이 ‘시름’과 함께 자연 속의 즐거움을 노래하는 중간에 곁들여 있고, 자아의 즐거움이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촉발되는 순수한 자족적 즐거움이상의 사회적 의식과 연결
가)수기치인의 이상에 따른 조화로운 자연과의 합일의 즐거움을 누리면서도 조화롭지 못한 사회를 걱 정하는 경세의 이념
나)이 듕에 시름 업스니.../구버난 千尋綠水...;1,2연은 사회적 관념과의 대립속에서 자연을노래(자연:사 회)
->사회와의 대립적 긴장 속에서 시작된다는 것은 자연 지향의식이 현실적인데서 출발
다)靑荷애 바발 싸고.../山頭에 閑雲이 起하고...;3,4연은 자연의 관념이 사회적 관념을 압도(자연>사회)
->자연을 감각적 대상보다 정신적 대상으로 파악, 이해타산을 초월한 교감할 수 있는 정신적 충족감
라)長安을 도라보니 北闕이 천리로다...;5연은 사회적 관념이 우세(자연<사회)
->자연의 조화로움이 사회까지 확장될 때, 자연과 사회가 조화로움으로 가득찬 세계일 때 누릴 수 있 는 수기치인의 사대부적 이상이 사회로 시선을 돌리게 만듬
④부정적 현실과의 대립적 갈등 속에서 자연을 노래->창작된 신구첨의<어옹시여(漁翁詩餘)>,이홍유<山 民六歌
-조화로운 자연과의 합일의 즐거움을 노래->호아곡, 栗里遺曲, 山中雜曲, 田園四時歌
-부정적 현실+자연합일의 즐거움->어부사시사
-자연합일의 즐거움+조화로운 사회갈망-><도산십이곡>언지편, 한거십팔곡, 강호연군가, 강호구가
⑤치열한 연실적 고뇌가 사대부들로 하여금 자연에 대한 관심, 강호시조에 대한 관심을 증폭
(강호시조의 정신세계는 오늘날 生態詩의 문제의식과 연관)
3) 교훈시조의 형성과 우국시조의 시대인식 (교훈시조, 우국시조)
⑴ 교훈시조; 시조의 風敎的 機能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
①사대부들의 경세의식이 직접 투영된 유형(16c 중반, 강호시조와 같이 양식적 확립)
②교훈시조 작품; 주세붕과 송순의 <오륜가>, 이황<도산십이곡>언학편
③유형; 목민관으로서 관내 백성의 타락한 윤리의식을 일깨우려는 목적->황해도 관찰사로 재직시 주세 붕의 오륜가, 강원도 관찰사로 재직 시 정철의<훈민가>, 훈민가는 警民篇에 수록, 전국으로 보급
④17세기부터 창작되지 않게 된 것은 鄕約보급 등 사림들의 향촌사회 교화가 일반화 되면서 관 주도식 훈민의 효용성 약화
⑤ 학동들을 교화하기 위한 작품; 분천강호가(汾川講好歌), 대학장구(大學章句), 五倫歌
집안 자녀들의 도덕심 일깨우는 작품; 훈계자손가(訓戒子孫歌). 五倫歌 , 박인로의<五倫歌 >
⑥아이들에게 배움을 장려, 언행을 교화시키는 목적으로 창작, 교화의 덕목이 오륜에만 제한되지 않는 다양성은 훈민계열과 차이를 보이나 내용에선 학동, 자녀 대상을 넘어 일반인까지 확대 적용의 일반성
⑵ 우국시조; 집중적으로 창작된 계기는 치욕적인 양대 전란을 경험
①치인의 차원에서 사회문제를 시의 세계로 끌어들이는 노래
②참전의지나 승전의욕 고취하는 14~15c의 호기가류(豪氣歌類)의 노래보다 국가안위를 지키지 못한 울 분과 슬픔을 토로
가)정관천의 술회가(述懷歌,6수); 셜울사 셜울시고 悶罔함이 그지 없다...
-임란 발발로 경상도 하빈에서 부친과 의병활동하며 국가와 가족안위를 걱정하는 우국의 상념과 勝戰 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막막한 심경 토로
나)이덕일의 <憂國歌>28수; 光海君의 혼정(昏政)으로 고향에 은거하면서 창작, 전쟁후 국방을 소홀히 한 채 당쟁만 일삼는 정치현실을 비탄
다)이정환의 <悲歌>10수; 풍셜 석거친 날에 뭇노라 北來使者야...->병자호란 때 왕이 삼전도에 나가 청 태종에게 항복,소현세자가 청나라로 끌려가는 치욕으로 과거공부 폐하고 은거하면서 왕자들을 환국시 킬 충신의 부재, 主和派에 대한 원망, 왕자와 민생을 걱정할 왕에 대한 연민과 무력감을 토로
마)9년 동안 청나라 볼모가 되어 고국을 노래한 봉림대군(효종), 斥和派로 소환당한 옹익한, 김상헌 등
4) 기녀시조의 문학적 수준
①사대부시조의 성리학적 세계관으로 인해 서정적 정취가 깃든 미적 세계는 소홀한 부분을 예술적 향취 로 발현시킨 장본인
②작가; 황진이, 홍랑(최경창과의 애틋한 이별;묏버들 갈해 것거....), 寒雨,
이매창(시인 유희경을 그리는 梨花雨 흣뿌릴 제 울며 잡고 離別한 님...) 梅花 등
③황진이의 작품
가) 冬至ㅅ달 기나긴 밤을....->현대시 못지 않은 참신한 표현, 애정시의 백미
나)山은

키워드

  • 가격3,800
  • 페이지수53페이지
  • 등록일2008.12.24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