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소설의 유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 소설의 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들어가며

1. 전기소설(傳奇小說)

2. 의인소설(擬人小說)

3. 몽유소설(夢遊小說)

4. 이상소설(理想小說)

5. 군담소설(軍談小說)

6. 염정소설(艶情小說)

7. 풍자소설(諷刺小說)

8. 가정소설(家庭小說)

9. 윤리소설(倫理小說)

10. 판소리계 소설

본문내용

의 문학으로 바뀌어지는 시대적 조류를 타고 평생 소설을 썼다. 연암은 제한된 소설로 탁월한 문장력을 발휘한데 비해, 문무자는 흔히 보고 들을 수 있는 이야기를 다양하게 수용하여 현실 그대로를 다각적으로 그리고 있다. 근대적인 서민의식을 작품에 투영하고 현실 사회에서 소재를 구하여 풍자적인 수법을 구사하였다. 작품으로는 <심생전(沈生傳)>, <유광억전(柳光億傳)>, <최생원전(崔生員傳)> 등이 있다.
㈐ 그밖에 <이춘풍전(李春風傳)>, <오유란전(烏有蘭傳)>, <종옥전(鍾玉傳)> 등이 있다.
8. 가정소설(家庭小說)
⑴ 개념
가정을 배경으로 사건이 전개되며,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혈연적 조직체인 가정을 이루고 있는 가족 구성원 상호간의 갈등이나 세대간의 갈등을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 좁은 의미의 가정소설
단일 가정 내에서 그 구성원 상호간에 일어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① 쟁총형 가정소설(爭寵型 家庭小說) : 일부다처주의의 모순된 사회제도에서 일어나는 가정불화를 소재로, 처첩간의 갈등과 후처와의 갈등형이 있다.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옥린몽(玉麟夢)>, <조생원전(趙生員傳)>, <정진사전(鄭進士傳)>, <화산기봉(華山奇逢)>, <양기손전(楊己孫傳)> 등이며 공통된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첩은 대개 미인이거나 교언영색(巧言令色)의 요부(妖婦)이며 정실 앞에서는 온순한 척하지만 기회가 오면 그 간악성이 표면화 된다.
㉡ 착한 처에게 누명을 덮어 씌워서 죽이거나 추방해 버린다.
㉢ 첩의 간악한 사실을 밝혀내어 그들을 사형시키거나 축출하기도 하며 회개시켜 용서하기도 한다.
㉣ 창작의도는 여자들에게 하나의 경계를 주기 위한 것이지만, 당시 남성들에게도 처와 첩, 계모로 인하여 빚어진 가정 불화와 갈등을 보임으로써 축첩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것이다.
② 계모형 가정소설(繼母型 家庭小說) : 계모 또는 서모가 전실의 자식을 학대하거나 시기, 질투하여 끝내는 목숨을 빼앗거나 버림으로써 생기는 가정불화를 소재로 한 작품이다. <장화홍려전(薔花紅蓮傳)>, <정을선전(鄭乙善傳)>, <황월선전(黃月仙傳)> 등이 있으며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계모는 흉악한 모습이나 비도덕성, 비인간성을 지닌 인물로 고정화되어 있다. 즉 계모는 천부적인 악인으로 묘사된다.
㉡ 계모의 발악은 그 방법에 따라 살인형과 학대형으로 양분된다.
㉢ 결말은 계모의 죄가 드러나 인과응보로서 징벌을 받는 형과 계모의 개과천선으로 용서받는 형이 있다.
㉣ 사건 전개는 모두 계모의 흉계에 의해 전실 소생이 고난을 당하지만 결국은 사필귀정으로 되돌아가 계모가 징벌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권선징악의 교훈성을 짙게 풍긴다. 그밖에 우애형 가정소설(友愛型 家庭小說)로써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과 같은 작품도 있다.
⑵ 넓은 의미의 가정소설
가정과 가정과의 관계를 다룬 소설로서 조선조 후기에 들어오면서 소설의 장편화·연작화 현상의 하나로 등장되었다. 그래서 가문소설·연작소설·대하소설 등으로 불린다. 작품으로는 <완월회맹연(玩月會盟宴)>, <임화정연(林花鄭延)>, <이씨삼대록(李氏三代錄)>, <명주보월빙(明紬寶月聘)> 등이 있다.
9. 윤리소설(倫理小說)
⑴ 개념
윤리를 주제로 한 소설이다. 조선시대 고전소설작자들은 문학의 윤리성을 표현하기 위해 윤리소설을 쓴 것이 아니라 윤리를 선전하고 교화하기 위해 윤리소설을 썼다. 특히,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군자지국이라 하여 인륜도덕을 중요시하여 고전 작품도 충·열·우·애로 나누고 있다.
⑵ 종류와 성격
㈎ 충(忠)을 주제로 한 윤리소설 : 이는 군담소설의 유형에서 다루어진다.
㈏ 효(孝)를 주제로 한 윤리소설
<심청전(沈淸傳)>, <적성의전(狄成義傳)>, <이해룡전(李海龍傳)>, <진대방전(陳大方傳)>이 있으며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주제는 효이지만 효와 우애를 동시에 강조하고 있다.
② 대부분 주인공들은 효를 이루기 위해 자신의 몸을 희생의 제단에 바치는 것도 불사하고 있다.
③ 인과응보의 교훈성이 짙게 깔려 있다.
㈐ 열(烈)을 주제로 한 윤리소설
고전소설의 여주인공 가운데 열녀가 아닌 인물은 거의 없다. <김씨열행록(金氏烈行錄)>, <옥낭자전(玉娘子傳)>, <장한절효기(張韓節孝記)> 등이 있다.
㈑ 우애(友愛)를 주제로 한 윤리소설
형제간의 우애를 다룬 작품으로 <흥부전>, <김태자전> 등이 있다.
10. 판소리계 소설
⑴ 개념
판소리 사설이 문자로 정착된 것이 곧 판소리계 소설이다. 이것은 판소리 광대가 공연하던 판소리 대본(唱本)이 소설 독자층의 요구와 강담사(講談師)·세책가(貰冊家)의 상업적 목적과 맞물려 독자를 위해 전사(轉寫)되거나 서사 기록물로 인쇄된 것으로 민중의 발랄성과 진취성을 기반으로 한 공동작이다.
⑵ 종류와 특성
<춘향전(春香傳)>, <심청전(沈淸傳)>, <흥부전(興夫傳)>, <배비장전(裵碑將傳)>, <옹고집전(壅固執傳)>, <변(卞)강쇠전> 등이 있으며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다양한 근원설화를 바탕으로 오랜기간에 걸쳐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면서 형성된 공동작이다.
② 판소리 사설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어 대체로 4음보의 율문체로 되어있다.
③ 표현에 있어서 묘사적이고 사실적이다.
④ 긴장 - 이완의 서사적 구조로 잘 짜여 있어 서사적이라기 보다는 극적이다.
⑤ 고전소설이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데 비해, 판소리계 소설은 우리나라의 한 지방을 배경으로 민속·사조·생활상이 잘 표현되어 있다.
⑥ 각 계층을 대표하는 인물들의 성격을 전형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어 등장인물을 생동감 있는 인물로 만든다.
⑦ 주제에 있어서 당시의 성장된 민중의식과 체제 저항적인 면을 반영한다.
⑧ 해학성이 풍부하게 나타나는데 지배계층의 횡포성과 부패성을 폭로하고 그들의 위선적 생활을 풍자하려고 했기 때문에, 해학이 필연적으로 동반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전소설편찬위원회(1990), 『한국고전소설론』, 새문사.
한국고소설연구회(1993), 『한국고소설론』, 아세아문화사.
한국고전문학연구회(1991), 『고전소설의 연구의 방향』, 새문사.
장효현(2002), 『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학교 출판부.
김광순(2001), 『한국고소설사』, 국학자료원.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1.19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