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Robert Venturi
II. 포스트 모더니즘과 벤츄리
III.벤츄리의 작품들.
II. 포스트 모더니즘과 벤츄리
III.벤츄리의 작품들.
본문내용
그 하부는 단순히 상승구만이 아니라 올릴 물체를 두는 장소이며 걸터앉는 데 이기도 하다. 2층에 비해 큰 1층의 스케일에 대응하여 폭이 넓게된 것으로 보는 것이 좋다.2층의 계단도 유용하다 볼 수 있으며 그 스케일의 변화와 방향은 좋은 대조가 된다.
실내의 복합성과 어긋남은 외부에 반영되고 있다.처진 위치의 연돌과 여러 모양과 크기의 창문이 여러 위치에 배열되고 있고 견고한 외벽으로부터의 돌출이 그 예가 된다.
이 주택은 크기도 하고 작기도 하다.그 이유는 큰 스케일을 갖는 작은 주택이란 말이다. 실내의 각 요소는 큰 규모로 되어 있다.부실의 크기에 비해 난로는 과대하고,맨틀은 너무 높다.간막이를 최소한으로 한 것도 실내의 스케일을 크게 보이게 한며 통로부분을 최소로 한 것이다. 외관상 큰 스케일을 느끼게하는 것은 전체의 실루엣이 단순하고 일관된것,중앙 좌우 대칭의 위치에 몇개의 돋보이는 요소가 배치된 것등이다. 큰 스케일이 채용된 주된 이유는 복합성과의 배려때문이다.작은 스케일을 갖는 건물에 복합성을 가져오면 지나치게 귀찮다. 복합성을 가진 구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큰 스케일을 갖는 작은 건물은 째째한 감정이 아니고 긴장-이 같은 건물에 알맞는 긴장-을 가져온다.
이 건물의 추상적 구성에서는 사선,호등의 각 요소가 동등히 사용되고 있다.평면과 단면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지배적인 질서는 구형이다.입구부분의 방향성,부실의 간막이,지붕면등이 그렇다.
이 주택은 역사적 건축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고하고 있기도 하다.거리의 파사드는 매저에 있는 알레상드로 빅토리아의 바바로저택과 팔라디오에 있는 님페움의 뒷벽과 로마
실내의 복합성과 어긋남은 외부에 반영되고 있다.처진 위치의 연돌과 여러 모양과 크기의 창문이 여러 위치에 배열되고 있고 견고한 외벽으로부터의 돌출이 그 예가 된다.
이 주택은 크기도 하고 작기도 하다.그 이유는 큰 스케일을 갖는 작은 주택이란 말이다. 실내의 각 요소는 큰 규모로 되어 있다.부실의 크기에 비해 난로는 과대하고,맨틀은 너무 높다.간막이를 최소한으로 한 것도 실내의 스케일을 크게 보이게 한며 통로부분을 최소로 한 것이다. 외관상 큰 스케일을 느끼게하는 것은 전체의 실루엣이 단순하고 일관된것,중앙 좌우 대칭의 위치에 몇개의 돋보이는 요소가 배치된 것등이다. 큰 스케일이 채용된 주된 이유는 복합성과의 배려때문이다.작은 스케일을 갖는 건물에 복합성을 가져오면 지나치게 귀찮다. 복합성을 가진 구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큰 스케일을 갖는 작은 건물은 째째한 감정이 아니고 긴장-이 같은 건물에 알맞는 긴장-을 가져온다.
이 건물의 추상적 구성에서는 사선,호등의 각 요소가 동등히 사용되고 있다.평면과 단면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지배적인 질서는 구형이다.입구부분의 방향성,부실의 간막이,지붕면등이 그렇다.
이 주택은 역사적 건축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고하고 있기도 하다.거리의 파사드는 매저에 있는 알레상드로 빅토리아의 바바로저택과 팔라디오에 있는 님페움의 뒷벽과 로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