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소련의 나라 벨라루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소련의 나라 벨라루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가 개요

2. 자연 지리적 환경

3. 인문 지리적 환경
1) 역사
2) 문화 (1) 인종,민족
(2) 종교
(3) 음식
(4) 정치, 경제

4. 항공노선

5. C I Q(출입국 절차)
1) 출입국 시 유의사항 (1) 사증 발급 신청
(2) 출입국 심사
(3) 외환 신고
(4) 통 관

6. 관광정보
1) 통화
2) 시차
3) 통신
4) 복장
5) 공공시설의 이용과 요금
6) 위생
7) 전압

7. 숙박과 교통
1) 숙박시설
2) 교통

8. 관광위락적 자원
1) 주요도시
2) 세계문화유산
3) 축제 및 행사

9. 여행준비와 주의사항

10. 한국과의 관계

본문내용

ла)와 9세기경 슬라브족에 속하는 여러 부족들이 합해져서 이룩한 민족과 국가를 이르는 루스 (русь)의 합성어로 ‘하얀루스’ 혹은 ‘하얀국가’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벨라루스의 명칭에 대한 유래는 학자마다 견해가 다르긴 하지만 보통 흰옷을 즐겨 입었고, 금발인이 많았으며, 자유를 사랑했던 민족, 국가를 상징해왔던 동물이 백학 (白鶴,журабль)이라는 이유 등에서 현재의 국명이 유래되었다고 믿어지고 있다. 지금의 벨라루스 지역에 슬라브족이 정착하고 통치하기 시작한 것은 7~8세기경이었다. 9세기경에 벨라루스는 키예프루스의 지배를 받았으며, 스칸디나비아와 그리스간의 교역로에 위치하여 번영하였다. 13세기와 14세기에 몽골인이 키예프루스에 침입하였을 때 벨라루스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6세기에는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폴란드 왕국이 합병된 레치 포스폴리타야 연방국으로 흡수되었다. 그 뒤 1772~1795년 레치 포스폴리타야 연방국이 분열됨으로서 벨라루스는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9세기 동안에 민족의식이 성장하였고, 많은 농민들이 도시로 유입하였다.
1917년 2월 러시아혁명이 일어나자, 벨라루스의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은 라다위원회를 결성하여 페트로그라드 임시정부로부터 어느 정도의 자주권을 획득하려고 추진하였다. 그러나 11월 볼셰비키가 집권하자 민스크에 붉은 군대가 급파되었고, 라다 위원회는 해체되었다. 그 해 독일군이 침입하자 붉은 군대는 벨라루스로부터 후퇴하였고, 1918년 3월에 독일과 러시아간에 체결된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의하여 독일은 벨라루스의 대부분 지역을 점령하였다. 그 후 벨라루스는 벨라루스 민족 공화국으로 불리게 되었다. 얼마 후 러시아의 볼셰비키 군대는 민스크를 다시 점령하였고, 1919년 1월 1일 스몰렌스크에서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공화국 (BSSR)이 출범시켰다.
1919년 2월 BSSR은 리투아니아와 합병되어 리투아니아-벨라루스소비에트공화국 (L-BSSR)이 되었으나, 3월에 폴란드 군대가 벨라루스와 리투아니아에 진군함으로써 벨라루스는 폴란드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1920년 7월 다시 볼셰비키는 민스크를 회복하였고, 8월에 비로소 BSSR이 재건되었다.
1922년 12월 BSSR은 소비에트연방공화국 (USSR)을 창설하는 구성원이 되었다. 1921~1928년에 시행된 USSR의 새로운 경제정책에 따라 경제가 번영하였고, 또한 벨라루스어의 사용이 공적으로 장려됨으로써 문화가 발달하였다. 그러나 1929년 스탈린이 농업의 집단화를 추진하면서 벨라루스는 침체하기 시작하였다. USSR의 다른 지역에서와 마찬가지로 벨라루스의 농부들은 집단농장화에 저항하며, 폭동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많은 농민들이 투옥되거나 추방되었다.
1930년대 초기에는 다수의 벨라루스 민족주의자들과 지식인들이 숙청되었고, 1936~1938년에는 각계각층의 USSR에 반한 벨라루스인들이 숙청되었다. 1939년 9월 독일군과 소련군이 폴란드를 점령하자, 벨라루스는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에게 1921년 빼앗겼던 영토를 수복하였다.
1941~1944년에 독일의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공화국을 점령, 계속된 전쟁으로 130만명이 희생되고 모든 도시가 폐허가 되었다. 1945년 2월 얄타회담에서 벨라루스의 서부 지역과 동부 지역을 통합한 영토를 벨라루스 영토로 하는 것이 확약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공화국을 재건하기 위한 사업이 진행되었고, 재건사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많은 러시아인들이 벨라루스 공화국으로 들어왔다. 러시아인이 많아지자 교육·출판·언론 활동에서 점차로 러시아어의 사용이 빈번해졌고, 벨라루스어의 사용은 줄어들었으나 경제는 USSR의 여러 공화국 중에서 가장 번창하였다.
1986년 4월 26일 벨라루스 인근의 우크라이나 지역인 체르노빌에서 원전폭발시 벨라루스가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폭발사고로 인해 상당한 지역이 방사능 물질로 오염되었고, 수백만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1990년 6월 27일에는 BSSR는 국가 자치권을 선언하고 이는 USSR로부터 독립의 시초가 되었다.
1991년 8월 25일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공화국은 공식적으로 벨라루스 공화국 (The Republic of Belarus)으로 개명하였다. 그 무렵 스타니슬라프 슈쉬케비치는 벨라루스공화국 의회의 최고지도자가 되어 1991년 12월 8일 브레스트 근방 벨라베크스카야 푸쉬차에서 러시아의 보리스 옐친과 우크라이나의 레이오니드 크라브추크를 만나 공식적으로 소비에트연방공화국의 해체와 독립국가로서의 벨라루스를 선언하였다. 1994년 최초의 대통령 선거에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가 당선되었으며, 2001년과 2006년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루카셴코 대통령은 압도적인 지지율로 재선과 삼선에 성공하였다.
(※출처 : http://www.infobelarus.co.kr/bel_intro/bel_history.html)
2) 문화
(1) 인종, 민족
러시아·우크라이나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동슬라브어를 사용하는 벨로루시인이 인구의 3/4 이상을 차지한다. 소수민족 가운데는 러시아인이 가장 많고 우크라이나인과 폴란드인도 있다. 공업화의 영향으로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전체 인구의 1/5을 차지하던 도시인구가 1990년에는 2/3로 늘어났으며 이로 인해 몇몇 교외 지역의 인구는 감소했다. 주요도시로는 수도인 민스크가 있는데 제2차 세계대전부터 1991년 독립할 때까지 소련에서 인구성장이 가장 빠른 도시 중 하나였다.
(※출처 : http://enc.daum.net/dic100/viewContents.do?&m=all&articleID=b09b2639a#T1)
(2) 음식
벨라루스인들은 버섯요리를 좋아하는데, 버섯을 채취하는 것은 일종의 지역의식과도 같다. 많은 요리들이 어떻게든 버섯을 주재료로 사용하며, 풍부하게 소스를 곁들이거나 크림을 채워 넣어서 혹은 버섯 그 자체만으로 요리한다. 유명한 음식으로는 흐리비브슴타네(hrybi v smtane; 시큼한 소스를 곁들인 버섯요리), 흐리브노이수프(hribnoy sup; 버섯과 보리수프)와 코틀레타 포크레스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8.12.29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6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