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도의 정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ttp://100.naver.com/100.nhn?docid=743749
:《사분율(四分律)》에 따르면 가섭 삼형제가 유력인사 220명과 함께 승단에 들어오자 사람이 갑자기 많아져 생활규범이 통일되지 않았다. 심지어 비구가 간호도 받지 못한 채 숨지는 일도 생겨났다. 그래서 승단에 구심점을 이룰 화상제도를 만들었다. 부처는 이 제도를 만들며 '지금부터 화상이 있거든, 화상이 제자를 간호하되 자식과 같이 하고 제자는 화상을 아버지 같이 간호하라. 그렇게 하여 서로 공경하며 정중히 보살피면 정법이 오래 머물러 이로움이 클 것이다'라고 하였다.
위에 화상에 대한 설명을 보면 승단에 들어오는 신도가 갑자기 많아져 생활규범이 통일되지 않아 승단의 구심점을 이룰 화상제도를 만들었다는 설명이 있다.
아도화상의 등장은 화상이라는 제도를 시행할 만큼 신라에서도 불교를 믿는 신도들이 많아짐을 의미한다.
결론
삼국유사, 삼국사기, 해동고승전을 뒤져보며 찾아보았으나 아도가 집단, 무리를 뜻한다는 결정적인 증거는 찾지 못하였다. 그래서 아도가 무리, 집단이었다고 자신있게 주장은 못하겠으나 수백년에 걸친 아도에 대한 기록으로 보아 집단, 무리로 보는게 타당성 있다고 하겠다. 아도가 미추왕때 신라로 온 것은 기록상의 오류로 보이며 처음 신라로 들어온 것은 눌지왕 때로 보인다. 그 이후로 비처왕을 거쳐 계속 적인 포교활동을 하였고 중간에 묵호자라고도 불린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비처왕 대에 이르러 어느 정도 성과를 보이고 그 다음 지증을 거쳐 법흥왕때 불교가 공인되었다. 아도의 기록과 활동은 신라 불교의 정착의 과정과 같이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1.0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2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