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곡류가공품이란?
2. 곡류가공품의 역사
3. 쌀의 구조와 가공식품
4. 밀의 구조와 가공식품
5. 옥수수의 구조와 가공식품
2. 곡류가공품의 역사
3. 쌀의 구조와 가공식품
4. 밀의 구조와 가공식품
5. 옥수수의 구조와 가공식품
본문내용
증가 시켜주는 것이 가능하며, 면의 수분을 휘발 시키는 한편 면에 기름을 흡착시켜 준다.
⑥ 냉각공정
유탕에서 나온 면을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동시켜 가면서 상온으로 냉각시켜 준다.
⑦ 포장공정
냉각된 면에 포장된 스프를 첨부하여 자동포장기를 이용, 완제품 라면으로 포장한다.
스프제조
①베이스(Base) 제조공정
:소고기 및 그 외의 주원료를 고압에서 처리한 후 진공농축 및 진공건조, 분쇄공정을 거쳐 스프 베이스를 만든다.
육추출물의 분해방법을 초기에는 직화식 가열분해 방식에서 효소분해 법으로 바뀌어 풍미의 손실이 적고 에너지의 소비가 줄었다. 또한 농축방법은 상압농축에서 진공농축으로, 그리고 회분식에서 연속식으로 자동화 되고 있다.
②혼합공정
:스프 베이스(Base)와 각종 조미료 및 향신료 등의 양념류를 특정 비율 등 제품 사양에 따라 혼합한다.
③포장공정
:혼합 완료된 스프를 자동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한다.
첨가물 (스프에..)
쇠고기 등에서 엑기스를 낸 분말
스프의 고기 맛을 내기 위해서 쇠고기나 닭고기, 돼지뼈 등에서 엑기스를 낸 분말이나 쇠고기 향미료 같은 것들을 넣습니다.
여기서 돼지뼈인 경우에는 냉동한 돼지뼈를 가열·여과하여 뼈 자체는 사료용으로 사용되고 뼈에서 추출된 액체성분들을 농축하고 향신료와 우지 등을 혼합하여 만든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불안해 하실 건 없습니다.
쇠고기 엑기스에도 소뼈가 들어갑니다. 쇠고기에서 우려 나오는 물에다 소뼈를 삶아 여과한 후 그 잔여액을 농축해 조미료를 첨가해서 건조분말로 만든 것이 쇠고기 엑기스분말입니다.
그런데 고기 엑기스를 많이 쓰면 좋겠지만 비용이 많이 들어서, 국내에서는 뼈 엑기스를 주로 사용한답니다.
정제소금, 간장분말
스프에 들어가는 감미료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정제소금과 간장분말입니다. 40~ 70% 정도입니다.
그리고 MSG, IMP, GMP와 같은 화학조미료들도 다량 들어갑니다. 이들 중 MSG는 우리가 흔히 \'미원\'이라고 알고 있는 것인데요, 라면스프 전체량 중 적게는 7%부터 많게는 16%까지 들어갑니다.
IMP는 육류나 어류의 구수한 맛을 내주는 핵산조미료이고 GMP도 구수한 맛을 내는 핵산조미료입니다.
캐러멜, 후추분말, 양파분말, 마늘분말 등
모든 스프는 공통적으로 캐러멜, 후추분말, 양파분말, 마늘분말 등이 들어갑니다. 이 외에 생강분말이나 닭기름분말, 식물성단백질조미료인 HVP분말, 포도당 등이 들어가는 스프도 많습니다. 또 파후레이크나 설탕, 호박산나트륨, 고춧가루, 효모엑스 등이 들어가는 스프도 있습니다.
문제점
라면 속에 함유된 영양소는 탄수화물과 지방이 대부분으로 단백질과 비타민, 무기질은 거의 없다. 특히 수프에는 산화방지제, 화학조미료, 인공색소, 방부제 등 인공첨가물이 다량 함유돼 있다.
밀가루
라면의 주성분인 밀가루는 우유 쇠고기 쌀에 비한다면 영양학적으로 완전한 식품이 아니다. 단백가가 낮아 인체의 단백질을 만드는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이 낮고 각종 아미노산이 고르게 들어 있지 않다.
밀에 들어 있는 글루텐이라는 단백질은 소장 점막을 손상시켜 소화장애와 흡수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주위에서 밀가루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하는 사람은 소맥분을 소화시키는 효소가 결여돼 있는데다가 글루텐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방부제
라면에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지만 수입한 밀가루 자체에 방부제가 포함돼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도 한 원인이다.
영양소 부족
라면은 중량에 비해 칼로리가 높은 편이나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등이 다른 식품에 비해 부족하다. 따라서 라면만 먹고 모든 영양소를 섭취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라면의 주성분인 밀가루는 우유 쇠고기 쌀에 비한다면 영양학적으로 완전한 식품이 아니다.
단백가가 낮아 인체의 단백질을 만드는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이 낮고 각종 아미노산이 고르게 들어 있지 않다.
화학조미료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라면은 매우 자극성이 심한 화학조미료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조미료는 몸에 안 좋을뿐더러 자극성이 심하기 때문에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많다. 라면은 또 스프에 2~3g의 염분이 들어 있기 때문에 하루 4g의 섭취권장량을 뛰어넘기 쉽다.
튀겨내는 기름
라면을 튀겨내는 기름은 오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체로 50만개를 튀긴 후에 기름을 교체하기 때문에 라면이 안 좋다는 말은 그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기름은 오래 끓이면 암을 유발하는 인자가 나온다고 하는 연구결과도 있다.
스파게티
정의와 역사
끈기 있는 단백질인 글루텐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듀럼 밀의 배유에서 추출한 과립모양의 세몰리나 밀가루로 만든다. 리본·끈·관 등 여러 특이한 모양으로 만드는 이유는 원래 열을 보존하거나 소스를 유지하는 힘을 지니게 하기 위해서이다.
파스타 요리가 언제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이탈리아의 파스타가 기원전 3000년경에 중국에서 국수 형태의 음식을 만들어 먹던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는데, 동방견문록에서 원나라 황제인 쿠빌라이 칸의 궁에서 파스타를 먹었다는 기록을 통해 마르코 폴로가 1295년경 이태리로 돌아올 때 파스타를 갖고 왔다는 가설도 있고, 이탈리아 에투르스칸족의 무덤에서 파스타를 만들었던 기구와 파스타 조각이 발굴되었는데, 이것은 기원전 4세기의 것이었다. 따라서 에투르스칸족은 그 당시 이미 밀의 일종으로 파스타를 만들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건조 파스타는 아라비아 상인들이 사막을 횡단하기 위해 부패하기 쉬운 밀가루 대신 밀가루 반죽을 얇게 밀어 아주 가는 원통의 막대 모양으로 말아 건조시켜 실에 꿰어 가지고 다닌 것이 그 유래이다.
그러던 중 11세기경에 아랍인들이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 섬을 점령하면서 건조 파스타가 시칠리아 섬에 전해졌는데, 시칠리아는 파스타를 건조시키기에 유리한 기후 덕분으로 그 생산이 쉬웠다.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의 팔레르모는 건조 파스타 생산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 있는 역사적인 도시이다. 즉 1150년에 아랍의 한 지리학자가 “팔레르모에서는 실모양의 파스타를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칼라브리아 지방과 회교 국가 및 기독교 국가들에 수
⑥ 냉각공정
유탕에서 나온 면을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동시켜 가면서 상온으로 냉각시켜 준다.
⑦ 포장공정
냉각된 면에 포장된 스프를 첨부하여 자동포장기를 이용, 완제품 라면으로 포장한다.
스프제조
①베이스(Base) 제조공정
:소고기 및 그 외의 주원료를 고압에서 처리한 후 진공농축 및 진공건조, 분쇄공정을 거쳐 스프 베이스를 만든다.
육추출물의 분해방법을 초기에는 직화식 가열분해 방식에서 효소분해 법으로 바뀌어 풍미의 손실이 적고 에너지의 소비가 줄었다. 또한 농축방법은 상압농축에서 진공농축으로, 그리고 회분식에서 연속식으로 자동화 되고 있다.
②혼합공정
:스프 베이스(Base)와 각종 조미료 및 향신료 등의 양념류를 특정 비율 등 제품 사양에 따라 혼합한다.
③포장공정
:혼합 완료된 스프를 자동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한다.
첨가물 (스프에..)
쇠고기 등에서 엑기스를 낸 분말
스프의 고기 맛을 내기 위해서 쇠고기나 닭고기, 돼지뼈 등에서 엑기스를 낸 분말이나 쇠고기 향미료 같은 것들을 넣습니다.
여기서 돼지뼈인 경우에는 냉동한 돼지뼈를 가열·여과하여 뼈 자체는 사료용으로 사용되고 뼈에서 추출된 액체성분들을 농축하고 향신료와 우지 등을 혼합하여 만든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불안해 하실 건 없습니다.
쇠고기 엑기스에도 소뼈가 들어갑니다. 쇠고기에서 우려 나오는 물에다 소뼈를 삶아 여과한 후 그 잔여액을 농축해 조미료를 첨가해서 건조분말로 만든 것이 쇠고기 엑기스분말입니다.
그런데 고기 엑기스를 많이 쓰면 좋겠지만 비용이 많이 들어서, 국내에서는 뼈 엑기스를 주로 사용한답니다.
정제소금, 간장분말
스프에 들어가는 감미료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정제소금과 간장분말입니다. 40~ 70% 정도입니다.
그리고 MSG, IMP, GMP와 같은 화학조미료들도 다량 들어갑니다. 이들 중 MSG는 우리가 흔히 \'미원\'이라고 알고 있는 것인데요, 라면스프 전체량 중 적게는 7%부터 많게는 16%까지 들어갑니다.
IMP는 육류나 어류의 구수한 맛을 내주는 핵산조미료이고 GMP도 구수한 맛을 내는 핵산조미료입니다.
캐러멜, 후추분말, 양파분말, 마늘분말 등
모든 스프는 공통적으로 캐러멜, 후추분말, 양파분말, 마늘분말 등이 들어갑니다. 이 외에 생강분말이나 닭기름분말, 식물성단백질조미료인 HVP분말, 포도당 등이 들어가는 스프도 많습니다. 또 파후레이크나 설탕, 호박산나트륨, 고춧가루, 효모엑스 등이 들어가는 스프도 있습니다.
문제점
라면 속에 함유된 영양소는 탄수화물과 지방이 대부분으로 단백질과 비타민, 무기질은 거의 없다. 특히 수프에는 산화방지제, 화학조미료, 인공색소, 방부제 등 인공첨가물이 다량 함유돼 있다.
밀가루
라면의 주성분인 밀가루는 우유 쇠고기 쌀에 비한다면 영양학적으로 완전한 식품이 아니다. 단백가가 낮아 인체의 단백질을 만드는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이 낮고 각종 아미노산이 고르게 들어 있지 않다.
밀에 들어 있는 글루텐이라는 단백질은 소장 점막을 손상시켜 소화장애와 흡수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주위에서 밀가루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하는 사람은 소맥분을 소화시키는 효소가 결여돼 있는데다가 글루텐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방부제
라면에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지만 수입한 밀가루 자체에 방부제가 포함돼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도 한 원인이다.
영양소 부족
라면은 중량에 비해 칼로리가 높은 편이나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등이 다른 식품에 비해 부족하다. 따라서 라면만 먹고 모든 영양소를 섭취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라면의 주성분인 밀가루는 우유 쇠고기 쌀에 비한다면 영양학적으로 완전한 식품이 아니다.
단백가가 낮아 인체의 단백질을 만드는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이 낮고 각종 아미노산이 고르게 들어 있지 않다.
화학조미료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라면은 매우 자극성이 심한 화학조미료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조미료는 몸에 안 좋을뿐더러 자극성이 심하기 때문에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많다. 라면은 또 스프에 2~3g의 염분이 들어 있기 때문에 하루 4g의 섭취권장량을 뛰어넘기 쉽다.
튀겨내는 기름
라면을 튀겨내는 기름은 오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체로 50만개를 튀긴 후에 기름을 교체하기 때문에 라면이 안 좋다는 말은 그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기름은 오래 끓이면 암을 유발하는 인자가 나온다고 하는 연구결과도 있다.
스파게티
정의와 역사
끈기 있는 단백질인 글루텐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듀럼 밀의 배유에서 추출한 과립모양의 세몰리나 밀가루로 만든다. 리본·끈·관 등 여러 특이한 모양으로 만드는 이유는 원래 열을 보존하거나 소스를 유지하는 힘을 지니게 하기 위해서이다.
파스타 요리가 언제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이탈리아의 파스타가 기원전 3000년경에 중국에서 국수 형태의 음식을 만들어 먹던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는데, 동방견문록에서 원나라 황제인 쿠빌라이 칸의 궁에서 파스타를 먹었다는 기록을 통해 마르코 폴로가 1295년경 이태리로 돌아올 때 파스타를 갖고 왔다는 가설도 있고, 이탈리아 에투르스칸족의 무덤에서 파스타를 만들었던 기구와 파스타 조각이 발굴되었는데, 이것은 기원전 4세기의 것이었다. 따라서 에투르스칸족은 그 당시 이미 밀의 일종으로 파스타를 만들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건조 파스타는 아라비아 상인들이 사막을 횡단하기 위해 부패하기 쉬운 밀가루 대신 밀가루 반죽을 얇게 밀어 아주 가는 원통의 막대 모양으로 말아 건조시켜 실에 꿰어 가지고 다닌 것이 그 유래이다.
그러던 중 11세기경에 아랍인들이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 섬을 점령하면서 건조 파스타가 시칠리아 섬에 전해졌는데, 시칠리아는 파스타를 건조시키기에 유리한 기후 덕분으로 그 생산이 쉬웠다.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의 팔레르모는 건조 파스타 생산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 있는 역사적인 도시이다. 즉 1150년에 아랍의 한 지리학자가 “팔레르모에서는 실모양의 파스타를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칼라브리아 지방과 회교 국가 및 기독교 국가들에 수
추천자료
육가공품에 관한레포트
축산물 고르기(식품가공학)
[식품영양학] 곡류, 과일의 시장사진과 정의,효능,조리법,tip등등
<동물성 식품 가공학 레포트>우유 및 유제품을 생산하는 유가공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
두류가공(식품) 종류 제조과정
4쌀의 2차 가공품
냉동 닭튀김 가공식품 브랜드 광고 전략
과일 . 과실 주스의 제조 / 식품가공학 토대로 작성
밀을 주원료로 한 제과제품, 가공식품 (加工食品)
쌀의 2차 가공품
[식품가공] 밀가루 반죽의 팽창력 실험 및 밀가루의 글루텐량
[식품 가공 실습] 소맥분의 글루텐량 측정
농산 식품 가공학 실습 식빵 - 식빵 제조와 글루텐 측정.pptx
냉동가공 식품과건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