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과거 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 과거 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과거시험의 종류
1) 생진과(소과)
2) 문과(대과)
3) 무과
4) 잡과
5) 부정기 시험

3. 과거의 응시자격

4. 과거제도의 폐단과 개혁론

5. 과거제도의 폐지

본문내용

의 증가로 시관들은 시간에 쫓겨 대강 몇줄만 읽거나, 먼저
낸 시험지만을 科次 시험지를 채점하는 것을 말한다.
하여 서로 먼저 시험지를 내려고 하였다.
㉢ 狹書 - 시험장안에 책이나 문서를 가지고 들어와 보고 쓰는 자가 많았다.
㉣ 借述 - 시험장에서 대리 시험을 치르는 일도 많았다. 따라서 영조때에는 시험 합
격자들을 모아 각기 지은 글귀를 암송하게 하기도 하였다.
㉤ 赫蹄 - 감독관과 응시생이 짜고 부정합격을 꾀하기도 하였다.
㉥ 易書用奸 - 세도가의 자제들은 잘 알고 있는 감독관으로 하여금 易書 답안지의 글씨체가 채첨하는데 영향을 줄 것을 우려하여 서리가 붉은 글씨로 답안을 다시 베껴쓰는 것을 말한다.
할 때
시험지를 고치도록 하였다.
㉦ 竊科 - 감독관을 매수하여 자신의 皮封 시험지 윗 부분이나 끝 부분에 본인의 관직, 이름, 나이, 본관, 거주지와 아버지할아버지증조할아버지외할아버지의 이름과 본관을 다섯줄로 쓰고 관원들이 응시자의 이름을 알아보지 못하도록 그 부분에 종이를 붙이거나 원통처럼 말아올리는 것을 말한다.
을 합격답안지에 붙이게 하였다.
이처럼 과거제가 본연의 성격을 벗어나 여러 가지 폐단과 모순을 드러내게 되자 개혁론이 대두되기 시작했고, 특히 이는 조선 실학자들 사이에서 활발히 전개되었다. 유형원은 과거를 폐지하고 대신 貢擧制를 실시할 것을 주장했다. 貢擧制는 종래의 병립적이었던 학제와 과거제를 통합하여 일원화 하고자 한 것으로, 최고학부인 태학이 薦擧하는 자를 관리로 등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정약용은 모든 부정기 시험을 일체 폐지하고 式年試 하나만을 보강하여 실시하되, 이로 인한 인재 선발의 부족을 막기 위해 薦用制를 병행하여 실시할 것을 주장했다. 이외에도 이익과 정상기는 科薦倂用論을 통해 과거제를 개편하고, 아울러 薦擧制를 따로 실시할 것을 주장했다.
5. 과거제도의 폐지
1876년 개항한 이후 조선에는 서서히 개화의 물결이 일기 시작하였다. 새로운 문물이 들어와 점차 근대적인 사회로 전환해 가는 과정에서 과거제를 통한 관리등용으로는 새 시대에 적합한 근대적인 교양과 전문지식을 갖춘 관리를 선발할 수는 없었다. 이에 따라 1894년 갑오경장때 성균관을 근대적인 교양을 가르치는 학교로 개편하는 동시에 과거제도를 폐지하였다. 그리고 1894년 7월 군국기무처에서 마련한 選擧條例와 銓考局條例를 통해 새로운 관리등용법을 실시하였다. 이는 근대적 관리가 지녀야 할 국문, 산술, 외국 사정 등의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을 고시과목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제도는 배울 기회가 적은 지방민이나 연줄이 없는 자는 응시할 수 없었으므로, 역시 연고성과 폐쇄성을 배제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 참고도서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10 양반관료국가의 사회구조 탐구당. 1989.
2.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 생활사 과거제도 역사비평사. 1997.
3.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권. 청년사. 1996.
4. 변태섭 지음. 한국사통론 삼영사. 1997.
5. 이만규 지음. 조선교육사 I 거름. 1991.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1.03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9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