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봉리 순대 한글 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봉리 순대 한글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무봉리 사업 개요
1) 무봉리 소개
(1) 동두천
(2) 공릉점
(3) 가산점
2) 무봉리 역사
3) 선정 이유
4) 공릉점 주변특성

2. 무봉리 브랜드 소개
1) 무봉리 동영상
2) 무봉리 BI (Brand Identity)
3) 무봉리 CI (Corporate Identity)

3. 무봉리 메뉴소개
* 무봉리 순대 BCG Matrix 분석
* 무봉리 순대 SWOT 분석

4. 외식산업 환경분석
1)외식산업 특징
(1) 입지의존성이 높은 산업
(2) 노동집약적 성격을 가진 서비스산업
(3) 체인화가 용이한 산업
(4) 시간과 장소적 제약을 받는 산업
(5) 다품종 소량의 주문판매 산업
(6) 짧은 분배체인과 시간범위
(7) 자기연출과 무대연출 사업
2)외식산업의 발달과정
(1) 사회적 요인
(2) 경제적인 요인
(3) 문화적 요인
(4) 기술적 요인
3) 외식트렌드
(1) 외식횟수
(2) 외식동기
4) 외식마케팅전략
(1) 외식마케팅전략의 개념
(2) 마케팅 믹스
(3) 외식사업 마케팅 전략의 수립방법
(4) 외부환경 분석
(5) 내부여건분석
5) 프랜차이즈
(1) 프랜차이즈(가맹점) 개념
(2) 프랜차이즈의 공동영역인 제품서비스
(3) 프랜차이즈(가맹점)의 특성
(4) 프랜차이즈 선택시 유의사항
(5) 프랜차이즈 장점과 단점
(6) 프랜차이즈 시스템 개발 순서
(7) 프랜차이즈 산업 환경의 변화
(8) 프랜차이즈 산업의 발전 전망
(9) 프랜차이즈 가입절차
6) 메뉴 관리
(1) 메뉴의 구성과 분류
(2) 메뉴의 역할과 기능
(3) 메뉴의 기능
(4) 메뉴 기획의 중요사항
(5) 다양성
(6) 영양적 요소
(7) 메뉴 기획시 고려사항
(8) 메뉴의 가격결정
7) 사업계획서
(1) 사업계획서의 중요성
(2) 기본 상권 분석
(3) 경쟁점포 조사분석
(4) 경쟁점포의 판매동향조사
(5) 경쟁점포의 인지도 조사
8) 외식통계의 현황과 개선방안
(1) 외식시장의 현황과 특징
(2) 외식통계의 현황과 문제점
(3) 외식통계의 수요조사
(4) 외국의 외식분류와 외식통계 현황 및 시사점
(5) 외식통계의 개선방안

【별첨】
1.국내 외식산업 매출액 증가율 추이
2. 국내 순대집 현황
1) 또순이 순대
2) 병천 순대
3) 백암왕 순대
4) 용가마 순대
3.외식산업 소비자 구매 분석
1) 문화적 요소(cultural factors)
2) 사회적인 요소(social factors)
3) 개인적 요소(individual factors)
4) 심리적 요소(psychological factors)

본문내용

외식산업 범위에서 제외되는 숙박업(호텔, 리조트 등)내 식음료 시설과 운송업계 내 식음료매출(고속도로 휴게실, 기내식 등) 등은 성장 속도가 빠르고 업계 내에서 상당 수준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외식산업의 범위 내 분류가 적합하다. 또한 식생활의 간편화와 편리성 추구 경향에 따라 새로운 식품 소비 행태로 자리 잡게 된 조리식품 부문을 반영하기 위해 소비 측면에서 조리식품 지출을, 산업 측면에서 식료품소매업 중 조리식품소매업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일본의 경우 중식시장에 대한 통계조사가 중점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국내철도 식당, 국내선 기내식, 숙박업소 매출도 외식산업에 포함시키고 있다. 미국도 숙박업소의 매출부분과 놀이시설이나 운동시설의 식음료 매출, 이동식 음식시설 매출이 외식산업 범위 내에 포함된다. 전문가들은 숙박업 내 음식점(64.7%), 철도 내 식당차(75.3%),소매점 판매 즉석요리(75.9%)의 경우 외식산업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표준산업분류 방식에 대한 전문가 평가 결과 현행 업종별 외식 분류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산업의 분류는 업체별 구분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52.9%로 절반 정도에 달했으며, 업태별 분류 기준으로는 메뉴(식사 또는 음료 구분), 서비스 수준, 경영활동의 목적(영업, 급식 구분) 등이 적합하다는 의견이었다. 메뉴와 영업의 목적 기준에 의해 분류하고, 일반음식점을 업종과 업태별 세세한 분류를 병행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문가 조사 결과 외식통계 이용 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외식통계의 절대적 부족이 지적된 만큼 외식 관련 통계 개발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산업부문에서 신규 통계가 필요한 분야는 외식시장 규모, 조리식품시장 등 성장부문 관련 통계, 업태별 산업통계, 업체 수 변동 통계, 업체 생산성 향상과 인력관리 프로그램 운영 등을 위한 다양한 경영지표와 원가지표 항목 등이다. 그 밖에 기존 정부통계 중에서 ‘도소매업 서비스 총조사’의 간이 센서스 조사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산업연관표’를 농업 관련 산업의 투입산출구조 파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수정, 재편한 통계생산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외식산업의 식재료 구입과 관련된 통계조사가 일부 연구에서 수행된 바 있으나, 농업과의 연계성 제고 정책을 뒷받침할 만한 통계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농림부는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외식 비중을 감안하여 정기적 또는 주기적 통계 축적이 가능하도록 관련 조사를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
외식소비 관련 신규 통계조사가 필요한 항목은 소비자의 식사 끼니별 외식비중 및 외식품목 등 외식소비 관련 기초조사, 지출액 및 소비량 관련 세부통계, 조리식품 형태의 식품 소비 행태를 뒷받침하기 위한 소비량 및 지출액 자료, 소비자 구매행태 및 의향 등을 파악하기 위한 정기적인 외식 관련 소비자 모니터 조사 등이다.
또한 ‘가계조사’의 경우 외식지출을 세분화하여 조사 집계하는 것이 필요하며, 조리식품 지출액을 별도 분류 조사해야 할 것이다. ‘국민건강 및 영양조사’는 현행 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식사구성비와 결식비중, 식사내용 등의 항목을 추가 산출할 필요가 있다.
신규 외식통계의 개발과 통계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외식통계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기관 설립이 필요하다. 외식통계 담당기관으로는 일본처럼 외식통계를 전담하는 기관을 별도로 설립하는 안과, 현재의 외식 관련 협회나 전문언론기관 등에서 업무를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안이 검토될 수 있다.
외식통계 전담기관을 별도로 설립할 경우 정책적으로 중요한 조사연구가 수행되기 용이하고 객관적인 통계생산이 유리한 반면, 현재와 같이 외식 관련 정부조직이 분산 운영되는 상황 하에서 독립적인 기구 구성은 부서 관할 업무영역까지 포함된 종합적인 통계자료를 생산하는데 업무상, 예산상 부담이 문제로 제기될 수 있다.
한편 기존 조직을 활용할 경우에는 업무와 예산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며, 개발 수요가 높은 외식통계를 부분적으로 신속하게 추진하는데 유리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전면적인 통계자료 생산이 어렵고, 회원사 관련 고유 업무가 있기 때문에 독립적인 방식으로 운영되기 곤란한 점 등이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기존 조직에 특정 통계 관련 예산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적합하며, 장기적으로는 외식통계를 종합적으로 생산 관리하는 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외식통계 전담기관의 주요 사업은 외식정책 및 산업 지원에 필요한 정보창출, 정기적인 외식통계집 발간, 외식정보 DB구축, 외식 관련 인터넷 포털사이트 운영, 외식 관련 연구회 운영 등이 포함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식통계 조사기반 확충을 위해서는 업체의 정보화 기반 구축이 필요하며, 외식산업의 비중과 중요성을 감안하여 농림부에 외식산업 전담부처(팀)를 별도 구성하고 연구개발과 기본통계 확충사업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통계 활용도 제고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므로 외식통계 전담기구에서는 필요한 신규 외식통계 조사를 수행하는 한편, 관련 기관에서 수집된 다양한 자료를 수집, 2차가공하여 수요처에 배포함으로써 홀용도를 제고시키는 업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기존 통계의 경우 적기에 이용할 수 있도록 발표시점을 단축하여 활용도를 제고시켜야 한다. 통계수집을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분산 운영되고 있는 외식 관련 기관간의 협조체제 구축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외식정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농림부, 지방자치단체, 문화관광부 등 관련 기관 협력 사업으로 국내외 외식 관련 정보 제공 사이트를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표3. 외식통계 이용시 문제점>
【별첨】
1.국내 외식산업 매출액 증가율 추이
2. 국내 순대집 현황
1) 또순이 순대
\"또순이 순대보쌈\"의 장대규 사장은 대를 이은 경영으로 어머니가 신림동 시장에서
개발한 맛을 표준화했다.
장사장의 어머니 정인자씨는 지난 1976년 생계를 위해 신림동 1.5평 매장에서 순대장사를 시작했다. 기존 순대와 차별하기 위해 야채를 넣은 순대볶음을 판매한 것이 인기몰이를
  • 가격5,000
  • 페이지수47페이지
  • 등록일2009.01.05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3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