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고찰
-후천성 명역결핍증 정의 및 총체적 설명
1. 원인
2. 발생빈도
3. 전파경로
4. 예방
5. 간호사정
6. 간호계획 및 수행
7. 평가
case
1.간호정보 조사기록
2.Admission Note
3.혈액검사
4.투약
5.간호과정
출처
-후천성 명역결핍증 정의 및 총체적 설명
1. 원인
2. 발생빈도
3. 전파경로
4. 예방
5. 간호사정
6. 간호계획 및 수행
7. 평가
case
1.간호정보 조사기록
2.Admission Note
3.혈액검사
4.투약
5.간호과정
출처
본문내용
통증에는 morphine, hydromorphone(Dilaudid), fentanyl transdermal(Duragesic) 등의 강력한 제제를 사용한다.
③보완-대체요법
심상요법, 전환요법, 점진적 이완요법, 생체회환요법 등을 다른 중재방법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4)영양장애
①약물요법
진균 구내염이 있는 환자에게 ketoconazloe(Niworal)이나 fluconazole(Diflucan)과 같은 항진균제를 구강으로 투여하거나, amphotericin B(Fungizone)를 정맥주사한다. 간호사는 처방대로 약을 투여하고 오심,구토 등 영양상태를 더 악화시키는 부작용을 모니터한다. 구강간호를 해주고 얼음조각을 입에 물려주며 주변환경에서 불쾌한 냄새를 제거한다. 처방된 진토제를 투여한다.
②식이요법
대상자의 체중, 섭취량과 배설량, 칼로리를 확인하고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식과 문화종교적 음식이 무엇인지 사정한다. 고칼로리, 고단백, 저세균성의 영양가가 풍부한 식사에 대해 교육한다. 질병으로 인해 지방불내성이 있으므로 지방식이는 피하도록 한다. 간호사는 영양성이 있으므로 지방식이는 피하도록 한다. 간호사는 영양사와 협조하여 음식을 소량씩 자주, 적당하게 제공한다. 비타민과 수분을 보충한다. 구강섭취가 불가능하면 위관영양이나 정맥수액요법을 한다.
③구강간호
구강궤양이나 감염에 취약한 대상자에게 섬세하게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생리식염수에 sodium bicarbonate를 섞어서 매 2시간마다 또는 하루에 여러차례 입안을 헹구어낸다.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게 하며 수분을 충분히 섭취시킨다. 섭취력을 저해하는 구강통증이 있으면 진통제나 점성 리도카인을 제공한다.
5)설사
대증적 관리를 한다. Diphenoxylate hydrochloride(Diarsed, Lomotil) 같은 지사제를 투여하여 증상을 완화시킨다. 간호사는 영양사와 협조하여 식사에 대해 상담해 주고 적절한 식이를 공급한다, 즉 섬유질과 지방이 적고 잘게 썬 부드러운 음식을 준다. 알코올이나 카페인 성분은 금한다. 유제품을 금하거나 소량의 음식을 자주 먹고 식간에 음료를 충분히 마시면 증상이 완화된다. 대상자가 움직일 수 없거나 항문괄약근이 약해서 또는 배설이 급해서 시간내에 화장실에 갈 수 없다면, 실내용 변기를 제공한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장하고 지지하며 이해한다.
6)피부통합성 장애
Kaposi\'s sarcoma(KS)는 방사선요법, 병변 내 화학요법, 동결요법 등으로 국소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방사선요법은 일시적으로만 효과가 있다.
전신요법은 질병이 빠르게 진행되거나 위장관,폐,기타 장기에 침범되었을 때 사용한다. 단독 또는 병용하는 화학요법,α-interferon을 주거나 α-interferon과 zidovudine을 함께 사용한다.
병변인 통증에는 진통제를 투여하고 안위방법을 취소한다. 배액이 개방되고 배액이 있으면 이차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청결하게 하고 드레싱한다. 피부에 나타나는 KS대상자는 자신의 모습과 HIV 양성으로 알려지는 것을 걱정하게 되는데, 병변부위를 가리기 위해 긴팔 옷을 입고 모자를 착용시킨다.
HSV 농양은 povidone iodine(Betadine) 용액을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소독하고 공기 중에 건조시키거나 열램프로 건조시킨다, 또한 통증에 대해 진통제를 사용하고 적절히 체위를 유지해 지며 그 밖의 안위방법을 사용한다. Burrow 용액(Domeboro)에 담그면 치유가 촉진된다. 구강 또는 정맥으로 acyclovir(Zovirax)를 투여하거나 감염 정도에 따라 피부표면에 도포하기도 한다.
7)사고과정 장애
AIDS 대상자는 많은 상실과 심리적 스트레스로 고통스러워한다. 기억력, 집중력, 정신·행동에서의 변화가 평가된다.
①지남력
지남력이 다시 생기도록 시간, 사람, 장소에 대해 알려주고 간호수행시 설명한다. 달력, 시계, 라디오를 사용하고 침대를 창가에 두어 지남력을 지속시킨다.
지시는 간단히 한다. 즉, 짧고 복잡하지 않은 문장으로 하고 간단한 언어로 활동을 설명하고 매일의 계획표 작성에 대상자를 포함시킨다. 가정과 같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대상자에게 익숙한 물건들을 집에서 가져와 비치한다.
②약물요법
행동문제나 정서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약물요법을 한다. 흔히 항우울제와 불안치료제가 사용한다.
③안위
AIDS로 신경계 손상이 있는 대상자는 손상받기 쉽다. 대상자는 활동이나 주위환경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며 목욕하기, 옷입기, 식사하기, 걷기 등 일상활동에서 도움이 필요하다. 발작을 일으킬 경우 침대 난간에 패드를 대주거나 인공기도를 사용하고 항경련제를 투여한다. 두 개강내압이 상승할 경우 corticosteroid를 사용한다.
④지지
간호사는 질문에 즉각 대답한다. 대상자에게 다시 지남력을 갖게 하는 방법을 가족과 친지에게 교육한다.
8)상황적 자아존중감 저하
의료팀은 대상자에게 신뢰있는 관계를 증진하도록 돕는다. 감정을 표현하게 해주며 해주며 스스로에 대해 긍정적인 면을 확인하게 도와줌으로써 수용하는 분위기를 제공한다. 또한 간호사는 사생활을 허용하면서 대상자를 홀로 있게 하거나 회피하지 않는다. 달성할 수 있는 단기목표를 세우고 격려와 칭찬을 하여 대상자에게 자가간호, 독립, 조절, 의사결정을 격력려한다.
보완-대체요법 : 심상요법이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9)사회적 고립
대상자에게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AIDS 전파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교육한다.
①상호작용 증진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거부감과 고립감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익히게 한다. 이해와 관심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회적 접촉을 저해하는 요소를 감소시킨다. 가족과 친지에게 HIV 전파에 대해 교육하고 대상자와의 접촉을 증진하도록 한다. 자신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대상자를 격려하고 상황조절 능력과 대처 기술을 말하도록 격려한다.
②교육
HIV 전파의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측면은 교육이다. 사람들은 연령, 성별, 인종, 성에 대한 지남력 등에 상관없이 HIV 감염에 민감하다. 그러나 HIV감염은 바이러스 전파 형태와 바이러스의 약한 특성
③보완-대체요법
심상요법, 전환요법, 점진적 이완요법, 생체회환요법 등을 다른 중재방법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4)영양장애
①약물요법
진균 구내염이 있는 환자에게 ketoconazloe(Niworal)이나 fluconazole(Diflucan)과 같은 항진균제를 구강으로 투여하거나, amphotericin B(Fungizone)를 정맥주사한다. 간호사는 처방대로 약을 투여하고 오심,구토 등 영양상태를 더 악화시키는 부작용을 모니터한다. 구강간호를 해주고 얼음조각을 입에 물려주며 주변환경에서 불쾌한 냄새를 제거한다. 처방된 진토제를 투여한다.
②식이요법
대상자의 체중, 섭취량과 배설량, 칼로리를 확인하고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식과 문화종교적 음식이 무엇인지 사정한다. 고칼로리, 고단백, 저세균성의 영양가가 풍부한 식사에 대해 교육한다. 질병으로 인해 지방불내성이 있으므로 지방식이는 피하도록 한다. 간호사는 영양성이 있으므로 지방식이는 피하도록 한다. 간호사는 영양사와 협조하여 음식을 소량씩 자주, 적당하게 제공한다. 비타민과 수분을 보충한다. 구강섭취가 불가능하면 위관영양이나 정맥수액요법을 한다.
③구강간호
구강궤양이나 감염에 취약한 대상자에게 섬세하게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생리식염수에 sodium bicarbonate를 섞어서 매 2시간마다 또는 하루에 여러차례 입안을 헹구어낸다.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게 하며 수분을 충분히 섭취시킨다. 섭취력을 저해하는 구강통증이 있으면 진통제나 점성 리도카인을 제공한다.
5)설사
대증적 관리를 한다. Diphenoxylate hydrochloride(Diarsed, Lomotil) 같은 지사제를 투여하여 증상을 완화시킨다. 간호사는 영양사와 협조하여 식사에 대해 상담해 주고 적절한 식이를 공급한다, 즉 섬유질과 지방이 적고 잘게 썬 부드러운 음식을 준다. 알코올이나 카페인 성분은 금한다. 유제품을 금하거나 소량의 음식을 자주 먹고 식간에 음료를 충분히 마시면 증상이 완화된다. 대상자가 움직일 수 없거나 항문괄약근이 약해서 또는 배설이 급해서 시간내에 화장실에 갈 수 없다면, 실내용 변기를 제공한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장하고 지지하며 이해한다.
6)피부통합성 장애
Kaposi\'s sarcoma(KS)는 방사선요법, 병변 내 화학요법, 동결요법 등으로 국소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방사선요법은 일시적으로만 효과가 있다.
전신요법은 질병이 빠르게 진행되거나 위장관,폐,기타 장기에 침범되었을 때 사용한다. 단독 또는 병용하는 화학요법,α-interferon을 주거나 α-interferon과 zidovudine을 함께 사용한다.
병변인 통증에는 진통제를 투여하고 안위방법을 취소한다. 배액이 개방되고 배액이 있으면 이차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청결하게 하고 드레싱한다. 피부에 나타나는 KS대상자는 자신의 모습과 HIV 양성으로 알려지는 것을 걱정하게 되는데, 병변부위를 가리기 위해 긴팔 옷을 입고 모자를 착용시킨다.
HSV 농양은 povidone iodine(Betadine) 용액을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소독하고 공기 중에 건조시키거나 열램프로 건조시킨다, 또한 통증에 대해 진통제를 사용하고 적절히 체위를 유지해 지며 그 밖의 안위방법을 사용한다. Burrow 용액(Domeboro)에 담그면 치유가 촉진된다. 구강 또는 정맥으로 acyclovir(Zovirax)를 투여하거나 감염 정도에 따라 피부표면에 도포하기도 한다.
7)사고과정 장애
AIDS 대상자는 많은 상실과 심리적 스트레스로 고통스러워한다. 기억력, 집중력, 정신·행동에서의 변화가 평가된다.
①지남력
지남력이 다시 생기도록 시간, 사람, 장소에 대해 알려주고 간호수행시 설명한다. 달력, 시계, 라디오를 사용하고 침대를 창가에 두어 지남력을 지속시킨다.
지시는 간단히 한다. 즉, 짧고 복잡하지 않은 문장으로 하고 간단한 언어로 활동을 설명하고 매일의 계획표 작성에 대상자를 포함시킨다. 가정과 같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대상자에게 익숙한 물건들을 집에서 가져와 비치한다.
②약물요법
행동문제나 정서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약물요법을 한다. 흔히 항우울제와 불안치료제가 사용한다.
③안위
AIDS로 신경계 손상이 있는 대상자는 손상받기 쉽다. 대상자는 활동이나 주위환경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며 목욕하기, 옷입기, 식사하기, 걷기 등 일상활동에서 도움이 필요하다. 발작을 일으킬 경우 침대 난간에 패드를 대주거나 인공기도를 사용하고 항경련제를 투여한다. 두 개강내압이 상승할 경우 corticosteroid를 사용한다.
④지지
간호사는 질문에 즉각 대답한다. 대상자에게 다시 지남력을 갖게 하는 방법을 가족과 친지에게 교육한다.
8)상황적 자아존중감 저하
의료팀은 대상자에게 신뢰있는 관계를 증진하도록 돕는다. 감정을 표현하게 해주며 해주며 스스로에 대해 긍정적인 면을 확인하게 도와줌으로써 수용하는 분위기를 제공한다. 또한 간호사는 사생활을 허용하면서 대상자를 홀로 있게 하거나 회피하지 않는다. 달성할 수 있는 단기목표를 세우고 격려와 칭찬을 하여 대상자에게 자가간호, 독립, 조절, 의사결정을 격력려한다.
보완-대체요법 : 심상요법이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9)사회적 고립
대상자에게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AIDS 전파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교육한다.
①상호작용 증진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거부감과 고립감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익히게 한다. 이해와 관심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회적 접촉을 저해하는 요소를 감소시킨다. 가족과 친지에게 HIV 전파에 대해 교육하고 대상자와의 접촉을 증진하도록 한다. 자신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대상자를 격려하고 상황조절 능력과 대처 기술을 말하도록 격려한다.
②교육
HIV 전파의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측면은 교육이다. 사람들은 연령, 성별, 인종, 성에 대한 지남력 등에 상관없이 HIV 감염에 민감하다. 그러나 HIV감염은 바이러스 전파 형태와 바이러스의 약한 특성
추천자료
미숙아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실
[동맥경화증][암][AIDS][심장질환][간경화][대상포진][치매]동맥경화증, 암, 후천성면역결핍...
[영양][영양소][영양분]영양(영양소, 영양분)의 기능, 종류, 결핍증, 영양소 과잉증과 바람직...
뇌수막염(아동병동케이스)
폐렴간호케이스
케이스 스터티 아동의 폐렴
알츠하이머 케이스
[케이스스터디][정신분열증][위암][아스페르길루스증][담석증]정신분열증 케이스스터디(CaseS...
편도선염 케이스 -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여성건강간호학실습] 난소낭종(ovarian cyst) 케이스 스터디
copd 케이스 정의 원인 병태생리 임상증상 진단 치료 copd 케이스 만성폐쇄성폐질환
간암 간호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