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균열 종류
(1) 굳지 않는(미경화) Con'c의 균열
1) 소성 수축 균열
2) 침하균열
(2) 굳은(경화) Con'c의 균열
3. 균열 원인
(1) 재료적 성질에 의한 것
(2) 시공에 의한 것
(3) 설계원인
(4) 환경상의 원인
(5) 마모침식
(6) 화재
(7) 해안 환경
4. 대책
(1) 재료에 관한 것
(2) 시공에 관한 것
(3) 환경에 관한 것
5. 결론
6. 참고문헌
2. 균열 종류
(1) 굳지 않는(미경화) Con'c의 균열
1) 소성 수축 균열
2) 침하균열
(2) 굳은(경화) Con'c의 균열
3. 균열 원인
(1) 재료적 성질에 의한 것
(2) 시공에 의한 것
(3) 설계원인
(4) 환경상의 원인
(5) 마모침식
(6) 화재
(7) 해안 환경
4. 대책
(1) 재료에 관한 것
(2) 시공에 관한 것
(3) 환경에 관한 것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해물이 많으므로 강자갈을 섞어 세척해서 사용
5) 혼화재 사용
- 유동화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증가시킴으로 감수 효과를 기대
- 유동성이 증대되면 콘크리트 내의 공극률이 감소하고 물의 침투를 방지
6) 물, 시멘트 비
- 혼화재를 사용, 시공성이 확보되는 내에서 물, 시멘트 비를 최소화
- 물, 시멘트 비가 낮아지면 건조시 침하균열, bleedign 현상에 의해 균열작아짐
7) 골재의 최대치수
- 골재의 최대치수는 철근간격, 시공연도 내에서 최대로 하여야 단위수량이 적어진다.
- 단위수량의 저하로 균열이 방지된다.
8)잔골재율
- 잔골재율이 작아지면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이 감소되어 균열 방지
- 단위수량이 감소되면 콘크리트의 건조시 bleeding 현상이 적어져서 재료분리에 의한 균열 발생이 적어짐
9) 건조수축
- Con\'c 타설 후 일광으로 인한 급격한 수분 증발을 방지
- 재료 선정시 분말도가 작은 중용열 porlan cement를 사용
10) 혼화재료 : 양질의 Flyash, AE 감수제 사용
(2) 시공에 관한 것
1) 운반
- 기온이 높을 때 mixer truck에 보온덮개를 덮어 slump 저하, 재료분리방지
- 장시간 레미콘 운반 또는 대기시 pump car pipe내의 콘크리트가 재료분리되는 것을 방지
2) 타설
- 수직재의 Con\'c의 타설시에는 slab에 받아 서서히 밀어 넣어야 재료분리가 방지되고 균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진동다짐은 시간과 간격을 준수하여 재료분리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3) 다짐
- 다짐은 진동다짐기계 보다는 손다짐 하는 것이 재료분리가 적어 균열 방지
- 다짐이 과하면 재료분리가 생기고 거푸집 변형이 발생되어 균열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4) 이음
- 이음은 Con\'c의 균열을 억제 또는 유도
- 이음의 설계는 매우 중요하므로 설계시 면밀한 검토가 필요
5) 양생
- 초기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방지를 위해서는 양생을 철저히 하여야 함
- 초기양생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습윤양생을 실시
- 수분증발에 미치는 요인 : Con\'c온도, 대기온도, 상대습도, 풍속
- 서중에는 변형능력이 최소인 시간사이에 증발율을 최소로 하는 것이 필요
- 방풍막 설치
- Con\'c표면에 피막 양생제를 살표하여 Con\'c표면 수분 증발을 최대한 억제
- 피막 양생제는 블리딩수가 증발하고 난 뒤 plastic 수축이 발생하기전에 살포하는 것이 적당
6) 시험
시공 전,중,후에 걸쳐서 시험을 철저히 시행하여야 하며,강도,slump, 연화물 함유량, 공기량, bleeding 등은 레미콘의 현장도착시 품질확인을 위하여 중요한 시험들이다.
7) 처짐이 큰 곳부터 콘크리트 타설
8) 정해진 타설속도 유지
9) 다짐 철저
10) Cold joint 발생되지 않도록, 인력, 기상대책 수립
11) 동바리는 침하, 좌굴, 변형되지 않는 것 사용
12) 거푸집은 작용하중에 안전하도록 설계시공한다.
13) 초기 동해 방지 및 철저한 양생실시
(3) 환경에 관한 것
1) 동결융해
- 빙점 이하에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는다.
- 겨울 중 불가피하게 Con\'c 타설시는 양생설비를 ◈ㄴ비하여 시공에 철저를 기하여야 한다.
2) 온도변화
- 콘크리트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온도구배에 의한 온도균열이 발생
- 방지책으로 precooling, pipe cooling 등의 양생법이 있다.
3) 철근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배수, 내구적인 재료 사용
4) 콘크리트 표면이 화기에 접하지 않도록 한다.
(4) 구조에 관한 것
1) 설계하중 계산시 적정 안전율 확보
2) 기초의 부등침하 옛ㅇ시 기초지반처리 등 대책 수립
3) 기계적 작용
- Con\'c 양생 중에 기계적인 진동, 충격 등을 방지
- 타설 후 7일간은 충격을 주지 않는다.
5. 결 론
(1) 콘크리트의 타설 후 초기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전체 Con\'c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Con\'c 타설 후 초기 균열방지를 위해 양생 실시
(2) 양잘의 con\'c를 얻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 시공 등을 통한 품질확보 노력필요, 고강도 고내구성, 고수밀성 및 시공성을 갖춘 콘크리트 개발이 중요
(3) 시공시 초기양생을 꼼꼼히 하여 균열억제 및 초기동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4) 구조물의 균열로 인하여 누수 및 오염이 진행되기 시작했을 경우는 보수, 보강공법을 채택해 진행을 억제하고 구조체의 안정성 및 미관을 회복
(5) 또한, 균열에 저항성이 큰 강섬유, 유리섬유 con\'c로 대체 여부등에
5) 혼화재 사용
- 유동화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증가시킴으로 감수 효과를 기대
- 유동성이 증대되면 콘크리트 내의 공극률이 감소하고 물의 침투를 방지
6) 물, 시멘트 비
- 혼화재를 사용, 시공성이 확보되는 내에서 물, 시멘트 비를 최소화
- 물, 시멘트 비가 낮아지면 건조시 침하균열, bleedign 현상에 의해 균열작아짐
7) 골재의 최대치수
- 골재의 최대치수는 철근간격, 시공연도 내에서 최대로 하여야 단위수량이 적어진다.
- 단위수량의 저하로 균열이 방지된다.
8)잔골재율
- 잔골재율이 작아지면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이 감소되어 균열 방지
- 단위수량이 감소되면 콘크리트의 건조시 bleeding 현상이 적어져서 재료분리에 의한 균열 발생이 적어짐
9) 건조수축
- Con\'c 타설 후 일광으로 인한 급격한 수분 증발을 방지
- 재료 선정시 분말도가 작은 중용열 porlan cement를 사용
10) 혼화재료 : 양질의 Flyash, AE 감수제 사용
(2) 시공에 관한 것
1) 운반
- 기온이 높을 때 mixer truck에 보온덮개를 덮어 slump 저하, 재료분리방지
- 장시간 레미콘 운반 또는 대기시 pump car pipe내의 콘크리트가 재료분리되는 것을 방지
2) 타설
- 수직재의 Con\'c의 타설시에는 slab에 받아 서서히 밀어 넣어야 재료분리가 방지되고 균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진동다짐은 시간과 간격을 준수하여 재료분리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3) 다짐
- 다짐은 진동다짐기계 보다는 손다짐 하는 것이 재료분리가 적어 균열 방지
- 다짐이 과하면 재료분리가 생기고 거푸집 변형이 발생되어 균열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4) 이음
- 이음은 Con\'c의 균열을 억제 또는 유도
- 이음의 설계는 매우 중요하므로 설계시 면밀한 검토가 필요
5) 양생
- 초기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방지를 위해서는 양생을 철저히 하여야 함
- 초기양생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습윤양생을 실시
- 수분증발에 미치는 요인 : Con\'c온도, 대기온도, 상대습도, 풍속
- 서중에는 변형능력이 최소인 시간사이에 증발율을 최소로 하는 것이 필요
- 방풍막 설치
- Con\'c표면에 피막 양생제를 살표하여 Con\'c표면 수분 증발을 최대한 억제
- 피막 양생제는 블리딩수가 증발하고 난 뒤 plastic 수축이 발생하기전에 살포하는 것이 적당
6) 시험
시공 전,중,후에 걸쳐서 시험을 철저히 시행하여야 하며,강도,slump, 연화물 함유량, 공기량, bleeding 등은 레미콘의 현장도착시 품질확인을 위하여 중요한 시험들이다.
7) 처짐이 큰 곳부터 콘크리트 타설
8) 정해진 타설속도 유지
9) 다짐 철저
10) Cold joint 발생되지 않도록, 인력, 기상대책 수립
11) 동바리는 침하, 좌굴, 변형되지 않는 것 사용
12) 거푸집은 작용하중에 안전하도록 설계시공한다.
13) 초기 동해 방지 및 철저한 양생실시
(3) 환경에 관한 것
1) 동결융해
- 빙점 이하에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는다.
- 겨울 중 불가피하게 Con\'c 타설시는 양생설비를 ◈ㄴ비하여 시공에 철저를 기하여야 한다.
2) 온도변화
- 콘크리트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온도구배에 의한 온도균열이 발생
- 방지책으로 precooling, pipe cooling 등의 양생법이 있다.
3) 철근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배수, 내구적인 재료 사용
4) 콘크리트 표면이 화기에 접하지 않도록 한다.
(4) 구조에 관한 것
1) 설계하중 계산시 적정 안전율 확보
2) 기초의 부등침하 옛ㅇ시 기초지반처리 등 대책 수립
3) 기계적 작용
- Con\'c 양생 중에 기계적인 진동, 충격 등을 방지
- 타설 후 7일간은 충격을 주지 않는다.
5. 결 론
(1) 콘크리트의 타설 후 초기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전체 Con\'c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Con\'c 타설 후 초기 균열방지를 위해 양생 실시
(2) 양잘의 con\'c를 얻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 시공 등을 통한 품질확보 노력필요, 고강도 고내구성, 고수밀성 및 시공성을 갖춘 콘크리트 개발이 중요
(3) 시공시 초기양생을 꼼꼼히 하여 균열억제 및 초기동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4) 구조물의 균열로 인하여 누수 및 오염이 진행되기 시작했을 경우는 보수, 보강공법을 채택해 진행을 억제하고 구조체의 안정성 및 미관을 회복
(5) 또한, 균열에 저항성이 큰 강섬유, 유리섬유 con\'c로 대체 여부등에
추천자료
[구조실험] 처짐실험(구조실험)
[구조역학실험] Monotonic Tensile Test
건축공학과-콘크리트 비파괴실험2
[구조역학실험] Grillage-Analysis by Intersection Reaction Method
[구조실험] 동적 및 정적 스프링계수 - 질량추의 변화에 따른 고유진동수를 알고 정적 및 동...
구조실험 - 트러스
구조실험 - 처짐의 중첩 원리
[구조실험] 단순보의 휨 모멘트 실험
구조실험 - 처짐 중첩의 원리
구조역학실험 - 굽힘 시험(Bending Test)
[구조역학실험] CTOD (Crack Tip Opening Displacement Test) Test
다항식계산[자료구조/자료구조및실험/c언어/c#/다항식/계산/다항식계산/linklist/텀]
하노이타워/피보나치 수열 과제[자료구조/자료구조및실험/c언어/c#/피보나치/하노이/수열]
트리계산식 과제[자료구조/자료구조및실험/c언어/c#/트리/노드/postfix/true/출력/계산/조건/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