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환아의 일반적 사항
입원기간 : 2008년 8월 13일 ~ 2009년 1월 2일 현재 입원중
입원일수 : 143일
이 름 : 김아기
재태기간 : 38wks+5
성 별 : Male
진 단 명 : 청 색 증 (cyanosis)
출생체중 : 2.44kg (현재체중 :4.36kg)
신체계측 :(신장)45cm (두위)34cm (흉위)28cm
분만형태 :C/sec
환아의 일반적 사항
정의
-청색증은 산소 포화도의 감소로 점막, 피부, 손톱 밑이 청색으로 변한는 것
-이는 산소를 함유하지 못한 헤모글로빈이 혈중 5g/dl이상 존재할 때 일어난다
-산소포화도가 80~85%정도면 나타나기 시작한다
원인
-탈산소화된 정맥혈이 폐순환을 거치지 않고 전신순환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영아에서 청색증을 일으키는 기형은 세 종류가 있다
①폐 순환로의 심한 폐쇄로 인해 심장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단락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활로씨 4징증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②심장 내에서 동맥혈과 정맥혈이 섞이는 것으로 단심실이 그 예이다
③대혈관 전위인데, 여기에는 폐순환과 전신순환이 이어지지 않고 분리된 상태
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현상이 있다
-완전히 산소를 품은 혈액이 다시 페로 들어가고 탈산소화된 혈액이 전신으로 되
돌아간다
-대혈관전위증이 있는 영아는 동맥관개존증, 심실중격결손등을 통한 심장내 혈액
의 혼합의 정도에 따라 산소화가 결정된다
질병의 병태생리적 기전
-청색증이 있는 신생아는 종종 진단에 혼돈이 온다
-환아에 있어 폐질환과 심장질환은 구별하는 어려움 외에도 청색증성 선천성 심
장결손이 폐혈류증가나 감소와 관련된 복합적인 문제가 있다
-폐혈류 감소를 초래하는 결손은 우심방실이나 혈관의 폐쇄가 특징적이다
-청색증은 심각하며 혈관운동상태의 미숙과는 관련이 없다
-중심 청색증은 울면 심해지고 고농도의 산소투여로도 완화되지 않는다
-청색증성 선천성 심장결손이 증가된 폐혈류와 연관될 때의 증상과 징후는 대혈
관전위를 제외하고 청색증은 경증, 중등도, 중증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발적은 경증의 동맥 불포화도를 나타내는 조기증상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청색증 심장질환(Cyanotic Heart Disease)
-활로씨 4증후군
:폐동맥관 협착증, 심실 중격 결손, 우심실 비대, 대동맥 기시부의 우측편위 등 네 가지
이상소견이 혼합된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우심실 비대로 우심실이 좌심실과 압력이 비슷
하거나 높고 폐동맥 협착으로 우심실 혈액이 폐로 가는 출구가 좁아져 폐공맥을 통한
폐혈류가 감소되고 우심실의 혈액도 일부는 폐혈류로, 일부는 심실 중격의 구멍과 대동
맥 우측편위로 인해 정맥피가 대동맥을 통하여 전신으로 흐르게되어 청색증이 나타난다
-대혈관 전위
:우심실에서 대동맥이 나가고 좌심실에서 폐동맥이 나가는 대동맥과 폐동맥의 위치가 바
뀐 상태로 전신을 돌고 온 정맥혈액이 다시 전신을 돌고, 동맥혈액은 다시 폐로 가게
되어 출생 직후부터 심한 청색증을 나타낸다. 심방이나 심실 사이에 구멍이 있어 동맥
혈액과 정맥혈액이 섞여 생존할 수 있다
-삼천판 폐쇄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가는 삼첨판막이 완전히 막혀 있는 기형으로 우심방의 혈액이 난
원공이나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 좌심방으로 가서 폐로부터 돌아온 산화된 혈액과 석여
좌심실로 흘러 들어가 체순환에 합류된다. 폐동맥과 우심실은 형성부전인 경우가 많고
동맥관개존이 폐 혈액공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총동맥 간증
:대동맥과 폐동맥이 나뉘어져 있지 않고 하나의 동맥간이 큰 심실 중격 결손을 가지고
있는 양심실로부터 나와 대동맥과 폐동맥으로 갈라진 기형으로, 압력이 높고 산소가
많은 혈액이 폐동맥으로 가게 되어 폐 소동맥의 이상을 일으켜 조기 수술하지 않으면
치료가 불가능하다
-전
입원기간 : 2008년 8월 13일 ~ 2009년 1월 2일 현재 입원중
입원일수 : 143일
이 름 : 김아기
재태기간 : 38wks+5
성 별 : Male
진 단 명 : 청 색 증 (cyanosis)
출생체중 : 2.44kg (현재체중 :4.36kg)
신체계측 :(신장)45cm (두위)34cm (흉위)28cm
분만형태 :C/sec
환아의 일반적 사항
정의
-청색증은 산소 포화도의 감소로 점막, 피부, 손톱 밑이 청색으로 변한는 것
-이는 산소를 함유하지 못한 헤모글로빈이 혈중 5g/dl이상 존재할 때 일어난다
-산소포화도가 80~85%정도면 나타나기 시작한다
원인
-탈산소화된 정맥혈이 폐순환을 거치지 않고 전신순환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영아에서 청색증을 일으키는 기형은 세 종류가 있다
①폐 순환로의 심한 폐쇄로 인해 심장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단락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활로씨 4징증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②심장 내에서 동맥혈과 정맥혈이 섞이는 것으로 단심실이 그 예이다
③대혈관 전위인데, 여기에는 폐순환과 전신순환이 이어지지 않고 분리된 상태
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현상이 있다
-완전히 산소를 품은 혈액이 다시 페로 들어가고 탈산소화된 혈액이 전신으로 되
돌아간다
-대혈관전위증이 있는 영아는 동맥관개존증, 심실중격결손등을 통한 심장내 혈액
의 혼합의 정도에 따라 산소화가 결정된다
질병의 병태생리적 기전
-청색증이 있는 신생아는 종종 진단에 혼돈이 온다
-환아에 있어 폐질환과 심장질환은 구별하는 어려움 외에도 청색증성 선천성 심
장결손이 폐혈류증가나 감소와 관련된 복합적인 문제가 있다
-폐혈류 감소를 초래하는 결손은 우심방실이나 혈관의 폐쇄가 특징적이다
-청색증은 심각하며 혈관운동상태의 미숙과는 관련이 없다
-중심 청색증은 울면 심해지고 고농도의 산소투여로도 완화되지 않는다
-청색증성 선천성 심장결손이 증가된 폐혈류와 연관될 때의 증상과 징후는 대혈
관전위를 제외하고 청색증은 경증, 중등도, 중증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발적은 경증의 동맥 불포화도를 나타내는 조기증상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청색증 심장질환(Cyanotic Heart Disease)
-활로씨 4증후군
:폐동맥관 협착증, 심실 중격 결손, 우심실 비대, 대동맥 기시부의 우측편위 등 네 가지
이상소견이 혼합된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우심실 비대로 우심실이 좌심실과 압력이 비슷
하거나 높고 폐동맥 협착으로 우심실 혈액이 폐로 가는 출구가 좁아져 폐공맥을 통한
폐혈류가 감소되고 우심실의 혈액도 일부는 폐혈류로, 일부는 심실 중격의 구멍과 대동
맥 우측편위로 인해 정맥피가 대동맥을 통하여 전신으로 흐르게되어 청색증이 나타난다
-대혈관 전위
:우심실에서 대동맥이 나가고 좌심실에서 폐동맥이 나가는 대동맥과 폐동맥의 위치가 바
뀐 상태로 전신을 돌고 온 정맥혈액이 다시 전신을 돌고, 동맥혈액은 다시 폐로 가게
되어 출생 직후부터 심한 청색증을 나타낸다. 심방이나 심실 사이에 구멍이 있어 동맥
혈액과 정맥혈액이 섞여 생존할 수 있다
-삼천판 폐쇄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가는 삼첨판막이 완전히 막혀 있는 기형으로 우심방의 혈액이 난
원공이나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 좌심방으로 가서 폐로부터 돌아온 산화된 혈액과 석여
좌심실로 흘러 들어가 체순환에 합류된다. 폐동맥과 우심실은 형성부전인 경우가 많고
동맥관개존이 폐 혈액공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총동맥 간증
:대동맥과 폐동맥이 나뉘어져 있지 않고 하나의 동맥간이 큰 심실 중격 결손을 가지고
있는 양심실로부터 나와 대동맥과 폐동맥으로 갈라진 기형으로, 압력이 높고 산소가
많은 혈액이 폐동맥으로 가게 되어 폐 소동맥의 이상을 일으켜 조기 수술하지 않으면
치료가 불가능하다
-전
추천자료
노화설 체세포 돌연변이설(Somatic Mutations)노화예정설(Programmed Aging)
신생아의 발작 (Neonatal Seizure)
스트레스, 대처 및 적응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환자의 간호
전해질불균형
신생아황달 [논문]
이론적배경-수영선수의 경쟁상태불안 수준의 관한 연구
렙토스피라(Leptospira) & 쯔쯔가무시 병
[노인간호 복지 및 실습] 노화이론.pptx
-전해질불균형
기초간호과학3공통) 스트레스 질환의 발생요인을 설명하고,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기 쉬운 ...
고지혈증과 심혈관계 질환.pptx
조현병 서론과 문헌고찰
[간호학] 혈액계 건강사정(노화에 따른 혈액계 변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