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교사는 지식전달 만이 아니라 바른 인격, 사고, 가치관에 이르기까지 전달 할 수 있어야 한다. 버트란드 러셀은 “교육의 목표는 지배가 아니라 사물에 대한 가치감각을 길러 것이고, 자유로운 공동체의 지혜로운 시민을 양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며, 자유와 개인의 창의성을 시민의식과 결합시키도록 가르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지식을 채워주려 하지 말고 교사의 인격을 전수하고, 또한 아름답게 커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교사는 하나의 모범적인 인격체로서 자신의 마음을 단련시키고 부단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지금은 사회의 모순을 교사의 목소리로 변화시키지 못하지만 이러한 교사와 학교에 교육받은 사람들이 넘쳐날 때 우리가 소망했던 진정한 사회의 모습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은 사회의 모순을 교사의 목소리로 변화시키지 못하지만 이러한 교사와 학교에 교육받은 사람들이 넘쳐날 때 우리가 소망했던 진정한 사회의 모습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교육사회학) 교육내용과 사회학적 관심
[교육사회학]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설명하시오
[교육사회학 (A+완성)] [A+완성] 정치와 교육의 관련성 및 정치발전에 대한 교육의 기여 고찰
[미래사회와교육]미래사회의 변화모습을 설명하고 이에 적합한 평생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제...
(유아사회교육)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 중 사회생활영역의 목표와 내용 체계를 정리하고, ...
[교육사회학]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발전과 교육과의 관계
[교육사회학]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 가능성에 대한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입장을 설명...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이론에 관해서
[교육사회학] 평생교육의 기능과 역할 설명 및 한국평생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제시
신 교육사회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 - 신 교육사회학, 등장배경, 특징
[교육사회학] ‘교육복지우선사업’의 정책 취지를 제시하고, 이러한 정책은 교육적으로 어떠한...
[교육敎育사회학 공통] ‘교육복지우선사업’의 정책 취지를 제시하고, 이러한 정책은 교육적으...
[교육사회학 공통]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대립된 시각(기능이론, 갈등이론)을 비교하고,...
소개글